•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직의 고고자료와 신라사적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2
50P 미리보기
실직의 고고자료와 신라사적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9권
    · 저자명 : 홍영호

    초록

    이 글은 신라가 최초의 주(州)를 설치한 실직의 고고자료를 검토하고, 실직의 신라사적인 의미를 찾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직 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수용하여 기본적이고 객관적인 고고자료부터 확보하였다. 그리하여 실직 지역의 고고자료 가운데 신라산성과 신라고분을 추출하였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실직의 역사적인 역할을 찾아 보았다. 시간적으로는 5~6세기가 중심 시기가 된다. 이 시기는 이전 시기에 비하여 문헌사료가 풍부한 편이고, 동시에 사료 비판을 통해 삼국의 쟁패와 관련한 역사적 실상에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고고자료가 사료 비판과 역사적 해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이기도 하다. 공간적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행정구역을 기본으로 하였다. 즉 실직의 고고자료는 통일신라시대 삼척군의 군치인 지금의 삼척시와 속현 지역을 포함하여 살펴보 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of Siljik, to which Silla implemented the first province (Ju) an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Siljik in Silla history.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the resul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Siljik areas was critically examined and basic and objective archaeological data were gathered. Then, among the materials related to Siljik areas, mountain fortress of Silla and ancient tombs of Silla were extracted. Moreover,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 historical role of Siljik in the history of Silla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ime, the period between 5th to 6th centuries is the focal period. This period has abundant bibliographic data compared to other periods. Also, historical facts related to the struggle of the three countries can be accessed. At this stage, archaeological areas can contribute largely to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it is a period appropriate for making use of such qualities. In terms of space,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unified Silla is the base. That is,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of Siljik included Sokhyeon area and Today s Samcheok, which was Gunchi of Samcheokgun of unified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map in Samguk Sagi, Ugyehyeon, which is today’s Okgyemyeon of Gangneung-si, is included in Sokhyeon of Samcheokgun. Therefore, Donghae-si and Okgaemyeon of Gangneung-si was also included as the scope of research. As a result, the archeological appearance of Siljik reveals that Ohwari mountain fortress located in Got of Oshipcheon Hagu, has the highest likelihood of being Silla mountain fortress. As for the tomb culture, Silla culture appeared immediately before Hwangnamdaechon Nambun stage in third quarter of 5th century and ancient tombs showed signs of increasing and expanding rapidly from the fourth quarter of 5th century to the first quarter of 6th century. The position of the tombs was dispersed in hilly districts and mountains which is different from Gangneung areas, where tombs are dispersed in dune land. The author hereby attempted to discover the meaning of Silla s Siljik management using the archaeological, bibliographical, historical and geographical data.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 that Ohwari mountain fortress has beol name which originated from Silla, and Jongrajin area also has buri name, the author came to conclude that Oshipcheon Hagu area was the main area of Siljik where Silla village was formed. Furthermore, it can also be presumed that it is very likely that Bukhae Biryesan from unified Silla too is Ohwari mountain fortress and the area around Jeongrajin seashore, which is Oshipcheon Hagu. In conclusion, Silla managed Ohwari mountain fortress in Oshipcheon Hagu as the base and defense base against the army of Goguryeo that attacked Gangneung of East Coast and Samcheok from the side with Jungwon(Chungju) as the base and following Namhanggang. As such, as people of Silla perceived the area around Oshipcheon Hagu as the maritime base, it can be seen that it was included in the four seas at the time of Unified S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