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7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2
78P 미리보기
6~7세기 고고자료로 본 동해안과 울릉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1권
    · 저자명 : 홍영호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의 동해안 진출의 초기 양상
    Ⅲ. 6~7세기 동해안의 고고자료 현황
    Ⅳ. 울릉도의 고고자료 검토
    Ⅴ. 신라의 동해안 진출과 문헌고고학적 해석
    Ⅵ. 맺음말
    참고사진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은 신라의 江原道 東海岸 및 鬱陵島 진출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短脚高杯段階로부터 통일신라 초기까지의 유물.유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필자는 황남동 109호 3.4곽을 4세기 후반~말기, 황남대총 남분을 5세기 3/4분기 訥祗王의 무덤으로 보는 입장에서 고고학적 물질자료를 해석하였다. 그 결과 강원도 동해안의 강릉은 이미 황남동 109호 3.4곽 단계부터 신라의 문화가 나타나며 , 威勢品으로 보나 고분군의 규모로 보나 강릉이 최고의 거점지역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부산 복천동 집단을 강릉으로 徙民시켰고, 이들의 후예들을 異斯夫의 울릉도 정벌에 활용하였을 가능성도 제기해 보았다. 이후에도 강릉을 비롯한 강원도 동해안 지역은 지속적으로 경주와 連動하여 橫口式.橫穴式 무덤이 조성되며, 遺物相도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반면, 울릉도는 육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고분이 조성되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고 있다. 울릉도의 고분은 追加葬이라는 횡구식 아이디어를 받아들였으며, 처음에는 屍身을 안치하였지만, 점차 佛敎의 영향으로 火葬을 하고 藏骨容 器를 埋納하는 방식으로 추가장을 하면서 많은 고분이 조영될 필요성이 없어졌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울릉도식 고분은 6세기 중후반 이후에 갑자기 나타나고 있다. 발굴 자료가 거의 없어 단정할 수 없지만, 그 이전의 선행 묘제가 없는 까닭에 외부로부터의 徙民도 생각해 볼 수 있고, 울릉도 土着人들이 횡구식 묘제를 받아들여 변형시켰다고도 볼 수 있으나 자료의 증가와 검토가 필요하다. 울릉도는 이사부의 정벌 이후 銅冠으로 상징되듯 완전히 新羅化되었고, 원거리에 위치한 섬이라는 특성상 간접지배를 받았다고 보인다. 고고학적 자료로 보건대, 울릉도 고분이 외형상 독특하고, 동일한 고분형식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횡혈식석실분으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가 없는 점 등에서 알 수 있다. 한편 울릉도와 강원도 동해안에서 6세기 중.후반~7세기에 보이는 고고학적 물질자료들은 뚜렷한 차별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이 시기의 물질문화가 신라의 전체 영역에서 동시에 유행하는 齊一性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Shilla's advance to the East Coast of Gangwon-do and Ulleungdo.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d the artifacts and remains from the period of the pottery with a short stand to the early years of Unified Shilla. First of all, the author analyzed archeological material data from the viewpoint that dates Coffins No. 3 and 4 in Tomb No. 109 in Hwangnam-dong to the third quarter or end of the 4th century, and sees the southern tomb of Hwangnamdaechong as the tomb of King Nulji of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ulture of Shilla already appeared in Gangneung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from the period in which Coffins No. 3 and 4 in Tomb No. 109 in Hwangnam-dong was built, and that Gangneung was the best foothold in view of prestige goods and the size of tombs. The author also presented the possibility that the group of people from Bokcheon-dong, Busan was migrated to Gangneung, and their descendents were utilized during Yisabu's conquest of Ulleungdo. Afterwards,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s' and 'walk in stone chamber tombs' continued to be built in the East Coast area of Gangwon-do, including Gangneung as well as in Gyeongju, and the artifacts of this area are similar to those of Gyeongju. On the other hand, unique tombs, unseen in the mainland, continued to be built in Ulleungdo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he tombs of Ulleungdo adopted the idea based on the 'front open stone chamber' featuring additional burial. At first, they enshrined corpses, but as cremation became more prevalent due to the influence of Buddhism, cremation potteries were buried and additional burial was gradually introduced, there was no need to build many tombs. However, these Ulleungdo-style tombs suddenly appeared in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the 6th century. As there is hardly any archeological finding, it is impossible to draw any conclusion, but since there is no preceding tomb burial system, migration from outside is a possibility, and it is also likely that the indigenous people of Ulleungdo adopted the tomb burial system based on the 'front open stone chamber' and modified it, but more data and careful consideration will be needed. After Ulleungdo was conquered by Yisabu, it became completely part of Shilla as symbolized by the bronze crown, and as it is a remote island, it seemed to be indirectly ruled. Based on archeological data, the tombs of Ulleungdo are apparently unique, and the same tomb style was maintained continuously, and there is no example that shows the process of change to 'walk in stone chamber tombs.'From the mid and upper part of the 6th century to the 7th century, Archaeological data is not distinct betwee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and Ulleungdo. Because, it is estimated that Shilla culture spread out simultaneously with her's whole terri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