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2.11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문화재교육의 프로그래밍 방법론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최종호

    목차

    Ⅰ. 문화재와 문화유산, 누리유산의 개념
    Ⅱ. 문화재교육 목표와 교과과정의 문제점 분석
    Ⅲ.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설계모형의 비교
    Ⅳ.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을 위한 ADDIEF 방법론
    참고문헌ㆍ웹사이트

    초록

    이 글은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을 위한 분석, 기획, 개발, 실행, 평가, 환류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고, 표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리고 문화
    재를 기반으로 소기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성취하기 위한 문화
    재교육 프로그래밍 방법론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문화재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개발, 실행, 평가, 환류를 위한 이론과 방법론을 적용하여 창의적 체험학습과
    통섭과 융화를 위한 전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평가, 환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대상으로 또는 문화재를 활용하여 문화재의 역사적, 학술적,
    미학적, 경관적 가치를 밝히고, 문화재 자체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고, 공동체 성원들
    사이에 형성된 문화재의 중요성을 해석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
    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교육은 문화재를 보존, 관리, 보호, 활용
    할 수 있도록 공동체 성원들에게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문화재를 통해서 공
    동체 성원들의 지ㆍ덕ㆍ체ㆍ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문화재를 기반으로 문화재현장교육, 문화재와 학교연계교육, 문화재와 지역사회연계교
    육, 문화재현장과 박물관연계교육 등을 통해서 통섭과 융화를 위한 전인교육 프로그램
    을 제공해야 한다.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은 외부환경과 내부역량 분석을 통해서 공동체 성원들의 요구와 기대, 희망을 수렴하여 교육기관의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고, 지ㆍ덕ㆍ체ㆍ영성을
    함양하기 위한 창의적 체험학습 프로그램이나 통섭과 융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평가와 환류를 통해서 이를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으로 실행하고, 단계
    별 평가를 통해서 환류를 함으로써 교육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수학습설계
    모형이다. 오늘날 문화재교육 프로그래밍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문화재현장 뿐만 아니라 문화재웹사이트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쌍방향 교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 경영 체제의 ADDIEF 교수학습설계 모형을 요구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develop a methodology of programing for the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systematically adaptable to the process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and
    studied the methodology of programing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in order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o achieve the scheduled educational objectives
    intended for the target learners and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has to perform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through finding out the historical, academic,
    aesthetic, and scenary values as the subject of cultural properties or through
    utilizing cultural properties, analyzing the inherent meaning of cultural
    property itself, and interpret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property
    accumulated among the members of by the community. Also it has to provid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eserve, maintain, safeguard, and utilize the cultural properties, to establish
    specialized programs to cultivate the knowledge, virtue, physical, and
    spirituality through cultural properties, and to perform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for the consilience and harmony through cultural site education,
    school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ultural properties, communit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ultural properties, museum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ultural site based on the related cultural properties.
    The methodology of programing for the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can
    be explained as a model of education design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ng the outside environment and the inside capacity,
    designing(establishing) the institutional policies and strategies reflected the
    requirement, expectation, and hope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creative experimental to cultivate the knowledge, virtue, physical, and spirituality, to develop th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nsilience
    and harmony, to implement the educational program ordered, to evaluate the
    program at the stage-wise, and to perform the feedback at evaluation-wise.
    Today's methodology of programing for the cultural properties education
    requires the ADDIEF model of education design with a smart management
    system to perform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not only at the cultural site
    but also on the website of cultural properties between the teachers and
    learners based on the ubiquitous network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