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순,「『한중록』에 나타난 사도세자의 사인」,이화사학연구소,『이화사학연구』3권0호, 1968
· 이은순,「18세기 노론 일당전제의 성립과정 - 신임사화와 천의소감의 논리를 중심으로」, 역사학회,『역사학보』110권0호, 1986
· 이은순,「조선 후기 당쟁의 성격」, 朝鮮時代史學會,『朝鮮時代史學報(The Journal of Choson Dynasty History)』39권, 2006
· 이은순,「18세기 노론 일당전제의 성립과정 - 신임사화와 천의소감의 논리를 중심으로」, 역사학회,『역사학보』110권0호, 1986
· 이해웅,「조선시대(朝鮮時代) 현종(顯宗), 숙종(肅宗), 경종(景宗), 영조(英祖)의 질병(疾病)과 치료(治療)」,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권3호, 2006
· 조성산,「헤경궁 홍씨는 왜 『한중록』을 지었는가?」,『내일을 여는 역사』3호, 2000
· 손태수.「한중록 과 붉은 왕세자빈 에 나타난 문화 횡단성 연구 - 사도세자의 죽음을 중심으로 한 심층심리학적 고찰」,『정신문화연구』31권1호, 2008
· 정병설,「길 잃은 역사 대중화-이덕일의『사도세자의 고백』에 대한 비판 」,『역사비평』94호, 2011
· 김성윤,「영조대 중반의 정국과 "임오화변" -임오화변의 발생원인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역사와 경계』43권0호, 2002
· 조미은,「朝鮮時代 王世子 代理聽政期 文書 硏究」, 한국고문서학회,『고문서연구』36권,2010
· 최성환,「한중록의 정치사적 이해」,『역사교육』115집, 2010
· 최옥환,「思悼世子의 罪와 罰」, 전북사학회,『전북사학』24호, 2001
· 김영민,「정조대 "임오화변" 논의의 전개와 사회적 반향」, 조선시대사학회, 『조선시대사학보』40권0호, 2007
· 최성환, 「임오화변(壬午禍變) 관련 당론서(黨論書)의 계통과 ‘정조의 임오의리’」, 역사와 현실, 『한국역사연구회』85호, 2012
· 정별설,『권력과 인간』, 문학동네, 2012
· 『景宗實錄』
· 『英祖實錄』
· 惠慶宮洪氏,『閑中錄』, 혜원출판사, 2000
· 김용숙,『閑中錄硏究』, 정음사, 1987
· 정은임,『한중록연구』, 국학자료원, 2013
· 이덕일,『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 2003
· 이덕일,『조선왕 독살 사건』, 서울: 다산초당, 2005
· 이덕일,『사도세자의 고백』, 푸른역사, 1998
· 최홍규, 『정조의 화성 건설』, 서울 : 일지사, 2002
· 이근호 등, 『승정원 일기 : 소통의 정치를 논하다』, 서울 : 산처럼, 2009
·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 서울 : 동방미디어,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