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지원제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구축을 중심으로 -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5.06 최종저작일 2005.01
17P 미리보기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지원제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구축을 중심으로 -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저자명 : 유호열

    목차

    1. 21세기세계화와신남북관계하의군의위상과역할
    2.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제도화를 위한 개념
    3. 제대군인 사회복귀의 유형과 문제점
    4. 제대군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새 시스템 구축의 원칙과 과제
    5. 남북화해시대의 제대군인 사회복귀의 제도화

    초록

    남북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60만 국군을 유지하고 있
    다. 우리 사회에서 군은 단일 조직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큰 조직이면서 일반 사
    회와는 다른 특수 조직체로서 구성원은 독특한 구조와 운영체계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우리 군은 크게 장기, 중기, 단기복무자로 구성되어있는데 이에 따라 군에
    서 제대한 이후의 문제들도 각기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수적으로 가장 많은 단기복무자의 경우 2년간 의무 복무기간을 마치면 대부분
    사회로 복귀하는데 복무기간이 평균 2년 정도이기 때문에 복귀에 따른 문제가
    비교적 경미한 경우이지만 10년 이상 장기복무자의 경우 매년 약 3000명 정도
    제대하고 있으나 연금 및 기타 법적 지원책이 마련되어 있음에도 재정 확보 및
    시행상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매년 4000명에 달하는 중기 복무자의 경우 아직
    법적, 제도적 장치가 충분히 마련되지 않아 징병제에 따른 단기 의무복무자를 제
    외하곤 소위 직업군인들의 제대후 사회복귀에 대한 대책은 충분치 못한 것이 현
    실이다.
    탈냉전 후 전 세계적 차원에서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었으나 동북아지역에서는
    냉전구조가 해체되지 않고 있다. 북한은 심각한 경제난에도 불구하고 체제고수를
    위해 핵무기 개발과 함께 막강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여 우리로
    서도 군사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실정이다. 따라서 해마다 수천명의
    장기복무자들과 30만 가까운 단기복무자들이 일정 기간 군이란 특수 조직에서
    사회로 복귀해야하는 문제에 대한 보다 적실성있고 정당한 제도적 장치들이 마
    련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새로운 환경 속에서도 대규모 군을 유지해야하는 우리 사회가 놓여
    있는 구조적 현실과 6.15공동선언이후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신남북관계의 특성
    을 감안한 새로운 형태, 보다 발전적인 제대군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제도화작업
    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 군과 관련한 21세기 한반도정세 및 신남북관계의 구조적 특성은 첫째, 미
    국과의 동맹을 중심으로 국방안보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도 협력적 자주국방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고, 둘째, 남북화해협력의 시대에서 북한은 주적이라기보
    다 군사적 위협세력으로서 긴장완화 및 군축을 위해 협의해야할 상대로 성격이
    변화되고 있으며 셋째, 세계화의 거센 물결 속에 사회의 전반적인 지배구조가 변
    화하는 과정에서 국방안보 분야에 있어서도 시장경제의 논리가 확산되는 새로운
    사회구조형성과정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이다.
    변화하는 국제질서와 21세기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을 감안할 때 제대군인의
    사회복귀에 관한 제도화 논의도 기존의 진로지도, 취업알선 및 복지제도를 뛰어
    넘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시스템의 창출은 첫째, 복무연한에 관계없이 군 복무중 개인의 역량을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연계하고, 둘째, 동북아 냉전구조해체와
    신남북관계의 형성에 따른 새로운 안보 형태에 맞춰 제대군인의 사회적 역할을
    제고하고 셋째, 군과 사회를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는 기존의 준거틀을 군을 사회
    의 일부분으로 과감히 편입시켜 시장의 기능을 군 구성원들에게도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제대군인들의 사회복귀의 새로운 제도적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Militarily confronting with the North, South Korea maintains 600,000
    military forces. In Korean society, the military is the largest unit with its
    service members working in a distinct operation structure. Since it consists
    of short, medium and long-term servicemen, the possible issues related to
    ex-servicemen are various depending on their service terms.
    The short-term ex-servicemen,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in
    military, do not experience much difficulty in adjusting to the society after
    their two-year service; but the situation of long-term ex-servicemen is not
    the same. Each year, approximately 3,000 servicemen discharge from the
    military after serving more than 10 years. However, pension and any legally
    supporting measures to assist those long-term ex-servicemen are not well
    implemented due to a lack of budget and other reasons. In addition, the
    mid-term ex-servicemen, which amount to 4,000 each year, are not even
    provided with legal and systemic measures enough to support their smooth
    return to the societ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military tension has eased. However,
    Korea still has to keep developing its military capacity to respond to the
    ever-strengthening military power of the North that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lso, Korea has been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North since the 6.15 Joint South-North Declaration. Against this backdrop, we could find some structural features related to the
    Korean military. First, Korea set a goal to realize self-defense while
    maintaining cooperation with the US and allies. Then, it understands North
    Korea as a militarily threatening power whom it has to negotiate for
    reducing tension and armament. Lastl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 is faced
    with the expansion of market economy into the national defense area, as the
    society is experiencing a change in its structure overall.
    In Consideration of this unique background, it is very urgent for Korea to
    come up with a more advanced system for ex-servicemen to help them well
    adjust to the after-service living in society. Specifically, the new system
    should provide more than vocational training and pension.
    A new systemic paradigm that supports former service members to return
    and adjust to the society can be established through followings. First,
    ex-servicemen should be provided with supporting measures, regardless of
    their service terms.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ex-servicemen’s role
    should be leveraged as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two Koreas has been
    established. Third, to be reconsidered as part of the society, the Korean
    military should introduce the market economy principle into its organization
    and flexibly apply it to serviceme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보훈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