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육 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1.01
22P 미리보기
보육 인력 전문성 제고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제도 개선 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8권 / 3호
    · 저자명 : 김은설, 최윤경, 김문정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는 시설장을 포함한 보육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도입되어야 할 정책적 방안
    들을 검토하여 그 필요성과 현실적 시행 가능 정도를 평가하고, 타당한 근거에 따라 우선적
    으로 추진이 필요한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및 보육교사교육원
    교수직 전문가 108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자문회의 등에서
    제기된 전문성 증진 방안들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하는 방식으로 2차까지
    진행되었다.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전문성 제고와 관련한 네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방
    안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현실화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 양성과
    관련해서 자격취득요건으로는 학점이수제보다는 일정 학과 출신자로 제한하는 방안, 보육교
    사 승급 요건에서 학력에 따른 승급 요구 경력을 차별화하는 방안, 보육시설장 자격의 요건
    으로서 자격취득 전 직무교육 필수 이수 방안, 보육교사 처우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급여 수
    준 인상 및 휴가사용을 보장하는 방안 등이 우선 개선안으로 동의되었다.

    영어초록

    In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policy-makers and child care
    workforce have strived to figure out which issues or strategies have the most priorities and
    feasi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aimed
    to deeply investigate the legislation and status of child care teachers qualification and
    training requirements, specifically through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The exploratory
    research gathered the opinions of child care professionals-college professors and instructors
    of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through two-step Delphi study questionnaires for the
    108 child care professional personnel. It compared their agreements and disagreements
    concerning the impending issues of teachers’ education, qualifications, and salary/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and also identified the legal and societal factors pertaining to the preand
    in-service training requirements and processes, supply and demand of child car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highest figure of necessity concerning the teacher
    education was on the department-based education system (4.61/5.0 point scale), increase of
    required subjects over 35 credits(4.39), and the evaluations on the CDA training centers(4.39).
    Also the differentiated enforcement of required work experiences and time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education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s, especially in becoming center
    director and promoting with first-class teacher qualification. The betterment of salary and
    working condition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consistently high in the figures of necessity
    ratings.
    Comparatively the recognition of feasibility for the prolonged field practicum(3.30) and the
    abolishment of CDA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enter(3.54), were low compared to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for those improvement. The most feasible issues were the application
    of common standardized education curriculum(3.88) for all child care teacher credentials, the
    increase in the required credits(3.77), and the intensification of field practicum process(3.72).
    Secondly, the feasibility of introduc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and the
    on-the-job-training for the entering teachers were low due to the non-converging division of
    opinions among professional respondents. Specifically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the betterment of salaries were very high in the necessity ratings of
    professional respondents, but low in the feasibility ratings, presumably due to the redundant
    failures or neglect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with reasons of lacking in financial budget.
    Nevertheless the child care experts' opinions for the child care teacher professionalism
    have converged on the two main themes through two-step Delphi questionnaires: (1) the
    education and credentials of child care teachers, and (2) the salaries and working conditions.
    This study implies the policy implementation for the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workforce
    has shared common strategies and steps with priorities. They are (1) the intensification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quisition process of higher teacher qualification such
    as director and first class credentials, and (2)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with 8
    hours working a day, and raised salaries applying the extra-hours benefi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