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8
25P 미리보기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7권 / 3호
    · 저자명 : 채구묵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에 대한 논의
    3. 분석자료 및 연구방법
    4.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의 경향 및 관계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초록

    본 논문은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 및 가족복지정책의 변화와 특성을 검토해 보고, 가족복지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 분석해 본 후, 한국의 가족복지정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은 1970년대에 인구대체수준 이하로 떨어졌으며, 그 이후에도 완만하
    게 출산율이 감소했으나, 1990년대에는 출산율이 낮아지는 국가들과 높아지는 국가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출산율 변화 차이는 1970년대 이후 각국이 채택 추진한 가족복지정책과 상당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1970년대 이후 출산율 감소에 관심을 갖고 인구관련 문제
    를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했으며, 가족복지 지원수준을 높여왔다.
    그러나 각국의 가족복지 지원수준과 지원형태(노동중심 또는 양육중심)는 해당국가의 정치적 이념, 문
    화 역사적 배경, 경제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발전되어 왔다.
    OECD 주요 국가들의 가족복지정책을 유사한 특성을 가진 국가군으로 유형화하여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해 본 결과, 가족복지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별 출산율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에서도 가족복지 지원수준
    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증가하거나 출산율 감소
    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과 가족복지정책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출산율 및 인
    구관련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종합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가족수당 신설,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의 기간 연장 및 육아휴직급여의 상
    향조정, 공보육시설 확대 등 가족지원체계를 확대해야 하고, 셋째 양육중심(가족수당 등) 지원수준 보
    다 노동중심(아동보육시설, 출산휴가 등) 지원수준에 비중을 많이 둘 필요가 있고, 넷째 사회구성원,
    특히 청년층에게 자녀를 기르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희망을 갖도록 하는 사회환
    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mily welfare policies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fertility rates and family welfare policies of advanced
    OECD countrie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ertility rates among clusters of
    countries having similar family welfare policies.
    The fertility rates of most advanced OECD countries declined below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in the 1970s, and continuously declined slowly after
    that period. But in the 1990s the fertility rate of some countri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at of other countries declined. Such a difference of fertility rates
    suggests that there is some correlation between the fertility rate and the family
    welfare policy of each country. Advanced countries became concerned about the
    decline of fertility rate, established the government Population Issues Committee in
    order to deal with population problems, and increased family welfare supports. But
    the level and pattern(focusing on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or child-rearing
    supports) of each country's family welfare policies are differently developed
    according to its political ideology,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economic
    environments.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fertility rate among clusters of countries having
    similar family welfare policies demonstrate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welfare supports is and the level of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is, the higher of fertility rate is. And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fertility rate changes among clusters of countries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welfare supports is and the level of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is, the higher the increase of fertility rate is or the lower the decrease of
    fertility rate is.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family welfare polic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overnment Population Issues
    Committee which can study systematically fertility rates and population problems,
    and provide comprehensive population measures. Second, family welfare supports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amily allowances, the prolongation
    of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leave and the upward readjustment of child-care
    leave benefits, and the extension of public child-care facilities. Third, maternal
    employment supports such as 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maternity leave should
    be given more weight than maternal child-rearing supports such as family allowance.
    Fourth, it is required to prepare social environments which can provide the youth
    with the hope that child-rearing is not difficult and gives them happ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