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18 민중항쟁과 시민 주도적 자치공동체: 『오월의 사회과학』의 ‘절대공동체’ 논의와 한나 아렌트 정치이론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5·18 민중항쟁과 시민 주도적 자치공동체: 『오월의 사회과학』의 ‘절대공동체’ 논의와 한나 아렌트 정치이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24권 / 3호
    · 저자명 : 서유경

    목차

    I. 머리말
    II. 문제 제기:『오월의 사회과학』의 이론적 폐색(閉塞)
    III. 5·18 민중항쟁의 사건 개요 및 전개 양상
    IV. 한나 아렌트 정치철학과 정치이론의 핵심요소
    V. 5·18 “절대공동체” 출현의 정치존재론적 함의
    VI. 맺음말: 5·18 담론의 한국적 특수성 탈각을 위하여
    참고문헌

    초록

    1980년 5·18 민중항쟁이 일어난 지도 어언 35년을 바라보는 오늘 이 시점, 필자를 비롯
    하여 이 땅의 많은 사람들이 그 때 한국민주주의의 제단에 목숨을 바친 민주투사들에 대해
    근원적인 부채감을 안고 살아간다. 이에 필자는 이 글을 통해 20세기의 가장 독창적인 정치
    철학자 중 한 사람인 한나 아렌트의 정치이론적 관점에서 5·18의 정치철학적 측면들에 관해
    함께 성찰해 볼 특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논문에서 필자의 주장은 다음 세 가지다. 첫
    째, 최정운의 독창적인 개념 범주로서 “절대공동체”는, 비록 저자 자신은 그 가능성을 부인하
    는 듯하지만, 다른 서구 정치철학적 어휘로도 적절히 설명될 수 있으며, 특히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과 정치이론은 보다 새롭고 풍요로운 담론의 장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을 담보한다.
    둘째, 결국 1980년 5월 광주는 우리 한국인의 잠재의식 속에 하나의 섬광처럼 찾아드는 심미
    적인 초월의 가능성으로서의 정치적 모멘트, 즉 “아렌트적 모멘트”가 도래한 현장이었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우리가 서양의 이론을 통해 5·18 절대공동체를 설명하는 일은 분명 그 정
    신을 세계민주주의운동사와 인류문명사에 접맥시킴으로써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광주시민들의 고귀한 희생의 의미를 더욱 더 잘 기리는 일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oday, it has been almost 35 years since the 5·18 Democratic Uprising took
    place in 1980 and many of the countrymen including myself still live feeling
    fundamentally indebted to those democracy defenders who selflessly sacrificed
    their lives onto the altar of the Korea’s democracy. In this regard, I propose to
    take this rare occasion to reflect upon the politico-philosophical aspects of the
    5·18 incident from the theoretical standpoint of Hannah Arendt, one of the most
    original political philosophers in the 20th century. My main argumen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e “absolute community,” which is Prof. Choi Jeong
    Wun’s intuitive concept category, can b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vocabulary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nd/or theory regardless of his denial of such a
    possibility. In my view,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theory of Hannah Arendt
    appears to posit a fresh possibility of opening up a newer and richer discourse of
    the 5·18 Democratic Uprising; secondly, in retrospect, the May 1980 Gwangju
    could be considered as the very spot where the political moment or “the Arendtian
    moment” or a fleeting possibility of aesthetic transcendence has come to realization
    in our subconsciousness; and, lastly, explaining the 5·18 absolute community in
    terms of some Western political theory may help render its spirit incorporated
    into the entire world history of democratic movement as well as the history of
    humankind. In so doing, however, we can undoubtedly pay a meaningful tribute
    to the noble sacrifices of Gwangju citizens in the cause of our country’s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