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결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1
26P 미리보기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결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5권 / 3호
    · 저자명 : 성기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도
    입의 강약점을 분석하고 향후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자립형 사립고등학교는 1995년
    5.31교육개혁안 발표에서부터 출발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논의를 거쳐 2002년부터 시범운영을 실
    시하기에 이르렀다. 2002년 3개 학교, 2003년 3개 학교가 시범운영을 실시하여 2005년에 운영결
    과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한편에서는 사립학교의 자율성 확보, 교육의 다양화, 학생의 학교선택
    권 보장, 교육의 경쟁력 제고, 평준화의 단점 보완 등의 논리를 통해서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운
    영의 정당성을 부여받기도 하였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자립형 사립고등학교가 평준화 정책의 근
    간을 흔들어 공교육체제를 붕괴시킬 수 있으며, 계층간 위화감을 조성하고, 입시명문고를 부활시
    켜 입시위주의 교육이 강화될 수 있다는 등의 부작용을 심각하게 초래하므로 도입을 해서는 안
    된다는 반대논리가 강하게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쟁들을 정리하고 지난 2~3년
    간의 6개 학교 시범운영의 결과를 토대로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제대로 운영이 되었는지, 운영결
    과를 통해서 어떠한 강점과 약점이 드러났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자립형 사립고등
    학교 관련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의 시범운영을 통해
    서 자립형 사립고등학교는 선정기준을 어느 정도 맞추어 운영했으나 학생선발시 국?영?수 중
    심의 성적에 기초하는 경우가 많고, 계층간 불평등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입시위주의 교육
    을 보다 더 강화하고 있다는 부작용 및 학부모 부담 교육비의 급증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새 유형의 학교가 건전하고 투명한 사학 운영의 모델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긍정적
    측면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제도가 갖는 다양한 사회적, 교육적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적 평가를 내릴 만한 단계가 아니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results of running the self-funded private high school and discussed
    the meaning and effects. So many debates and discussions about the self-funded private high school
    policy have been from 1995 when the white paper called '5.31 education reform plan' was
    announced. At last in 2002 the policy was started with 3 private high schools and next year another
    3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During 2 or 3 years, the new forms of private school
    could have a right to select the students, make a decision on the curriculum and set the level of
    tuition fee independently. But the other private high school in Korea can not select the students
    independently and can not modif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an not raise the tuition fee level
    without the permiss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o the self-funded private high school has been
    regarded as a special case to experiment the diverse and specialized high school model. But there
    have been so many people who disagree with this forms of high school. For example, they thought
    that new model might harm the stability of national public education system and make a conflict
    between social classes on the educational equality. And also they worried the subordina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o the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competition.
    I could review the evaluation reports on the results of new high school model running. There
    were so many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unexpected not good effects. One of them are about the
    selecting of new student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new model school guideline the writing
    exam on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subjects was not allowed . But many schools of
    them did interview- exam on the three subjects. So if some student want to enter these schools, then
    he/she have to go private-sector education market and pay so much money for that program. As a
    result the economic burden of parents was so severe. Second, the specialized school curriculum and
    program was not actualized because of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burden. But I could not
    evaluate all the diverse effects of this new policy. If we want to know the balanced results of this
    school model, then we must test the long-term effects and make comprehensive study plans. At least
    the self-funded private school model have now so many problems and so it must not be expen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