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사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0.12
11P 미리보기
자연사박물관의 현황과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이병훈

    목차

    한국의 아름다운 자연
    세계와 국내의 자연사박물관 현황
    한국에서의 현황
    국내 자연사박물관 (설립 연도순)
    국립자연사박물관 부째로 인한 손실
    자연사박물관의 미래와 한국에서의 과제
    참고문헌

    초록

    우리는 누구나 우리의 금수강산을 자랑한다. 산하가 수려하고 경관이 아름다워 외국 관광객
    도 많이 찾아들고 따라서 우리는 나라의 자연을 잘 관리, 보존하여 후대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고 말한다. 사실상 한반도는 지형지세가 복잡하여 가히 자연의 걸작이라 할만하다. 산림들 사
    이사이에 발달한 하천과 습지, 호수가 국토를 수놓아 다른 빗빗한 대륙국가들에 비해 아기자
    기하기 그지없다. 게다가 해안선의 길이는 17,000 킬로미터에 이르고 서해안의 조간대는 세계
    5 대 갯벌에 들어갈 만름 잘 발달해 있다. 한반도에 살고 있는 생물만 해도 온대지방 국가로
    서는 매우 높은 다양도를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꽃식물이 한반도에는 약 3,300종이 보고되
    어 있는데 이 숫자는 영국의 1. 400종에 비하면 두 배가 넘는다. 곤충인 개미를 들어도 영국에
    는 불과 40여종이지만 한반도에는 알려진 것만 120여종이니 3배가 넘는다. 고유종(固有種)의
    경우도 영국에 사는 꽃식물 1400여종 가운데 영국 고유종은 불과 43종( 3.1 %)이지만 한반도
    의 꽃식물 약 3300종 가운데 고유종은 640여종이나 되니 ( Lee, 1994 ) ( 20% ) 영국의 5배를
    넘는다.
    결국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은 생태계의 종류와 생물종 수로 보아 열대국가들에 비하면 적지
    만 영국. 독일, 프랑스와 같은 북반구의 온대국가들에 비하면 훨씬 많아 가히 생물다양성 부국
    (富國) 이라 할 만 하다.
    그러면 이렇게 독특하고 풍부한 자연자원들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연구기관이 있는가? 외국
    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국립자연사박물관을 비롯하여 공,사렵 자연사박물관들이 하나 불행히도
    한국은 이러한 자연사박물관이 국제 통계상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왜 그럴까? 이를 국제
    적 상황에 비추어 살펴보기로 한다.

    영어초록

    Korea is known as one of the most beautiful countries of the world. Her topography with
    rivers and mountains is winding through the peninsula shaping landscapes of exquisite delicacy
    which gave rise to a variety of habitats resulting in evolution of high biological diversity.
    Korea has a record of about 29,000 species of living organisms. It is estimated, however,
    only one thirds of actual number of species in the wild. Among them are known about 200
    speci않 either under threat of extinction or in need of protection, which, notwithstanding, could
    stand for only tiny portion of a far greater number of threatened species in the wild. All
    these poor inventories inherently come from lack of accumulated data, shortage of scientif?c
    studies and, eventually, from non-existence of any national center for conserving the natural
    heritage of the country.
    The number of natural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nevertheless, in fact, enumerates
    around ten even though it is noted zero in a world statistics( Mares, 1993), A recent status
    survey by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at from eight museums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number of scientists working in the museums was only 20 in total and
    merely three museums published periodicals for circulating their scientific studies. The number
    of biological specimens amounted to 228,000 throughout the collections. The museums housed
    in an independent building numbered but two in all. Merely five museums were operating any
    educational programs, with visitors to the eight responding museums amounting to 1.362,000 in
    the year 1999. All the museums responded were suffering from extreme financial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at poor level of operation in all sense may explain why the international
    statistics of natural history museum came to put the figure zero to South Korea.
    With ever increasing rate of extinction as well as disappearance of natural history
    specimens in biology, ge이ogy and humanity along at an accelerated pace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Korea would be deemed one of the countries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s most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twenty six scientific societies and organizations in the nation initiated a national campaign in
    1991 asking the Korean government to develop one which, at length, was accepted in 1995. A
    series of planning study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three years and forty four
    autonomous local governments applied for the museum project by proposing the offer of
    certain land areas to build one. Fourteen sites were finally selected as possible localities
    meet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national museum project. The plan came to a complete
    halt, however, in 1999 with no budget at all, allegedly due to financial crisis of IMF. The
    situation with no money to the project, nevertheless, lasted up to the current year.
    This project. now taking another stance to develop the natural history museum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 is now facing the most serious challenge of cost-effect analysis
    to be carried out by a governmental institute of think-tank in economy. The outcome of the
    study will direct the destiny of the Museum project in consideration whether to be set up or
    no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however. that national identity and cultural pride. not
    accountable in any currency. will be the best reason and rationale why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has to be established. It will be only for additional reason and available
    benefit that it needs to be set up to play the role of scientific center by preserving biological
    diversity and developing any natural products even though it is to get through the exam of
    cost-effect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