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실험연구 문헌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실험연구 문헌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통합교육연구 / 8권 / 2호
    · 저자명 : 정유진, 정주영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이루어졌던 국?내외 자기결정 관련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증거기
    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EBP)의 기준이 되는 실험연구 분석의 질적 지표를 적용하여 자기
    결정 관련 실험연구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고, 각 기준을 충족시키는 실험연구들에서 사용한 중재 방
    안과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단일대상연구가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보다 질적 지표를
    더욱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영역에서 단일대상연구와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는 높
    은 수준의 질을 보여주고 있지만, 단일대상연구가 중재 충실도 부분에서만 충분하게 설명하고 측정
    하지 못하여 낮은 점수를 나타낸데 비해, 집단실험 및 준실험연구는 중재자에 대해 적절하게 설명하
    지 못하였고, 유지와 일반화 등 외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결과 제시가 미흡했으며, 중재 충
    실도를 높이기 위한 설명이나 측정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 자기결정 실험연
    구들이 사용한 중재 관련 요소들(연구대상, 연구환경, 중재도구, 측정도구, 중재효과)별로 결과를 살
    펴보면,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지적장애 학생, 초등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았고, 연구환경 측
    면에서는 특수학교, 특수학급, 기타환경과 같이 분리된 환경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많았다. 측정도구
    측면에서는 자기결정 행동의 직접관찰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도구 측면에서는 ‘기존
    의 교수전략들을 토대로 연구자가 새롭게 개발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사용’한 경우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중재의 효과는 크게 자기결정 능력의 증진과 교육적 성과로 요약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대부분의 연구는 자기결정 능력과 교육적 성과를 동시에 효과로 보고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review was considered quality, intervention methodologie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recent studies performed for a decad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using evidence-based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subject studies were met more
    qualitative indicators than the group experimental and the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most areas, all the studies, such as single, group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es
    were shown a high standard. However, the single-subject studies were indicated a low
    score in an intervention fidelity area, whereas the group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shown the insufficient description and measurement in terms of an
    intervention(moderator, intervention fidelity, etc.) and an external validity(maintenance,
    generalization, etc.).
    Second, the earlier studies about on self-determination were shown a tendency to
    repeat studies by borrowing the existing self-determination programs or using as it is.
    More than half of total, 14 studies, were used that the intervention methodologies
    using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were
    shown 'Using researcher developing their own a new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and 7studies were used 'Using existing
    self-determination program' in this case.
    Additionall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was summarized the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It was reported that most of these studies have both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nd educational outcomes at the same time and
    experimental studies on self-determination as an evidence-based practice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largely improve of self-determin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have been summarized. Most of these studies have been reported both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nd educational outcom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합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