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연구 / 23권 / 2호
    · 저자명 : 허영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중학교 통합학급에서 발생하는 학생들간 갈등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간의 갈등 속에 드러난 갈등 양상과 갈등 구조를 파악하
    기 위해 장애학생 2명과 일반학생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설정된 연구문제
    에 초점을 맞추어 심층면담, 참여관찰, 연구자 메모를 통해 갈등 경험을 수집하여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
    인 NVivo 10을 통해 입력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학생간의 갈등 양상을 살펴보면, 통합학급 학생간 주요 갈등 양상으로는 첫째, 일
    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의한 갈등 양상인 나는 너희랑 같아 VS 넌 우리와 달라, 둘째,
    장애학생의 자기중심적 태도와 일반학생의 낮은 공감 수준으로 인한 갈등 양상인 나를 위한 학급 VS 우리
    들의 학급, 셋째, 일반학생의 만만한 행동과 장애학생의 특이한 행동에 의한 갈등 양상, 넷째, 소수의 약자
    로서 장애학생이 겪는 침묵과 인내의 고통과 일반학생의 도움과 배려의 의무에서 오는 갈등 양상, 다섯째,
    장애학생을 사이에 두고 벌어지는 일반학생간 갈등 양상인 막 대하지마 VS 뭐 참견 하지마, 마지막으로 갈
    등을 통해 공감수준이 높아지고 통합학급의 가치를 발견해 가는 긍정적 갈등 양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겪는 갈등의 구조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통합
    학급 학생의 갈등 촉발 요인으로는 신체적, 언어적, 행동적, 심리적, 인지적 요인을 토대로 표면구조와 심층
    심리구조로 갈등 층위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통합학급 학생의 갈등 관계도에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질성에서 오는 반복적 대립과 갈등의 악순환으로 인한 중심 갈등이 나타났다. 더불어 갈등 당사자인 일
    반학생과 장애학생을 옹호하는 일반학생간의 파생적 갈등이 나타났으며, 교사의 개입에 의한 영향도 중요
    한 변인으로 드러났다. 또한 통합학급의 갈등 참여 형태로는 방화군(放火群), 소화군(消火群), 기자군(記者
    群), 행인군(行人群)으로 갈등에 참여하여 통합학급의 갈등 조정과 재통합의 역할을 수행하여 갈등 해결능
    력을 습득하고 통합학급의 안정성과 조화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ith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our common students as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collected data on conflict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researcher's memo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structures of various conflicts that the
    subjects experienced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Collected data were entered and analyzed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program called NVivo 10. The data entered in the program were encoded through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conceptualized as nodes in the analysis system, and categorized into the upper and lower category of similar concepts.
    Firs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x major patterns of conflicts between them: the first one was “I am
    like you” vs. “You are different from us,” a conflict pattern derived from common students'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again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one was “the class for me” vs. “Our class,” a conflict pattern caused by the
    self-centered attitud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low sympathy level of common students; the third conflict pattern
    stemmed from the soft behavior of common students and the uniqu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fourth conflict
    pattern was caused by the suffering of silence and patience amo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weak minority and the
    duties of assistance and consideration among common students; the fifth one was “Don't treat them badly” vs. “Don't
    meddle,” a conflict pattern o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common students; and the final one was a positive conflict
    pattern to raise the sympathy level and discover the values of inclusive classes through conflicts.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regarding the structures of conflict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mon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n middle school was examined. The factors to trigger conflict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were physical, verbal,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ones in a conflict hierarchy of superficial and
    deep psychological structure.
    The diagram of conflic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student groups in inclusive classes highlighted central conflicts
    caused by repetitive confrontations due to heterogeneity between them and the vicious cycle of conflicts. There were also
    derivative conflicts between common students that were involved in the concerned conflicts and common students that
    advoca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fluence of teacher interference turned out to be an important variable.
    They participated in conflicts in the forms of the arson, extinction, reporter, and passerby group, acquiring the abilities of
    solving conflicts and making a contribution to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inclusive classes by regulating conflicts and
    promoting reintegration in those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