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상미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 체험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0
22P 미리보기
임상미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한 준비과정 체험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5권 / 2호
    · 저자명 : 김시내, 장연집

    목차

    서 론
    연구방법 및 절차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논의 및 결론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의 유형 중에서 특히 임상미술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 준비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체험을 하는지 탐색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미술치료사가 정신과
    에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미술치료를 하게 될 때 준비도를 갖게 하고, 임상 현장에서 자리매김
    하는데 도움을 주며, 임상미술치료 전문가 과정을 구축하는데 초석이 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의 체험에 관심을 갖고 그들이 경험하는 것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4월에서 2013년
    5월까지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연구 참여자를 심층면접 했다. 연구 참여자는 총 6명으로 임상미술
    치료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고자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석사과정 중 정신과에서
    1년 이상 임상실습을 하고, 석사 졸업 이후 정신과에서 진단을 받은 환자를 1년 6개월 이상 3년 미만 임
    상미술치료 한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사이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연구문제에 따
    른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를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임상미술치료 전문
    가가 되기 위해 준비해가는 과정 중인 연구 참여자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임상미술치료사는 치료진과 환자들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하게 되고, 환자의 보호자에게는
    상담자 및 교육자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임상 현장에서 정신과 임상실습 때보다 실수가 줄었음을 알게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성장한
    본인의 모습을 발견하면서 임상실습의 중요성을 알게 되며, 환자가 가진 본연에 모습에 다가가기
    위해서 환자의 가족, 환경, 기질 등 다각도로 접근하려는 시도를 한다.
    셋째, 임상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가 환자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하고 환자와 소통하는데 중
    요한 접근이라는 것을 재인식하게 되며, 미술치료사로서 미술작업과 미술언어를 다루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며 임상미술치료사의 정체성을 갖게 된다.
    넷째, 임상미술치료를 자신 있게 다루는 임상미술치료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되고, 지식의 심화를 도모하며 내적인 자기성장의 욕구를 가지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is to explore what types of
    experiences “Clinical Art Therapist” trainees could encounter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better professionals and to understand the true nature and meaning of such experiences. In
    essence, this is to prepar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for their actual performances of clinical art
    therapy on diagnosed psychiatric patients in the field, to assist new professionals to settle
    successfully in their professions, as well as to lay a solid foundation upon which they will
    build their art therapist careers.
    In this research we have actively appli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Lived Experience methodology that helps us to gain deeper understanding
    and insights into human experiences. The research performed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voluntary participants from 2013 April to 2013 May. The total of 6 voluntar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ose who had performed at least 1 year of clinical art therapies at psychiatries
    during their master's programs or those who already had obtained their master's degrees and
    also performed actual clinical art therapies on diagnosed psychiatric patients for at least 1 and
    a half years, but no longer than 3 years. This specific pool of research participants resulted in
    8 fundamental topics and 20 sub topics on this research matter. Based on these topics and the
    inputs from participants who are yet to be refined professional clinical art therapists, our
    research has reached to following four conclusions.
    Firstly, clinical art therapists are important intermediaries between patients and psychiatrists as
    well as educators/consultants of patients' guardians.
    Secondly, clinical art therapists are likely to realize that clinical training helped them reduce
    the number of mistakes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linical training in the field. As a
    result, they will make various attempts to approach patients' true characters such as their
    families, personalities, and environments.
    Thirdly, clinical training help art therapists to recognize once again that allowing patients to
    freely explore themselves is one single important approach, to gain pride as art therapists who
    utilize art projects and the language of art to cure patients, and to discover the true identity as
    art therapists in general.
    Finally, clinical training equips clinical art therapists with strong desire to become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clinical art therapy and to further improve themselves in pursuit of more
    intensive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치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