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시민참여와 비형식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1
29P 미리보기
청소년 시민참여와 비형식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민청소년학회
    · 수록지 정보 : 시민청소년학연구 / 2권 / 1호
    · 저자명 : 최윤진

    목차

    I. 서 론
    II. 비형식교육 논의의 발전과정
    III. 형식교육의 한계와 비형식교육의 보완적 특성
    IV. 결론 : 청소년 시민참여와 비형식교육

    초록

    근래에 나타나는 주요 사회 변화 양상은 삶의 양식의 개별화와 분절화,
    그리고 위험사회 요소의 증가 현상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청소년들로 하여
    금 다양하고 복합적인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교
    육에 있어서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청하고 있는데 즉, 보다 개방적이고
    학습자 중심적이며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학습의 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비형
    식 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탈 근대적 성격을 보여주는 오늘날, 시민성의 개념도 변화하고 있다
    고 볼 수 있는데 즉 기성 사회에 순응하고 정치적 책임과 권리를 수행하는 시민
    상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자신이 속한 경제, 사회 문화 각 공동체적 삶에서
    적절한 역할과 지위를 행사하며 때로는 비판적이고 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공
    동체에 기여하는 적극적 시민상을 의미하는 새로운 시민성이 요구되고 있다.
    청소년들이 이러한 적극적 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형식교육과 비형식교
    육이 결합된 보다 복합적인 교육의 장이 요구되고 있다.
    비형식 교육의 개념은 196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었고 당시에는 형식교
    육의 기회를 놓친 성인들을 위한 보충교육이나 저개발 국가의 학교교육의 부실
    함을 보완할 구호 교육적 성격이 주요했었던 것에 반해서 21세기에 들어서면
    서 평생교육 이념에 근거해 참여적 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 그 중요성
    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형식교육의 몇 가지 주요 특성을 분
    석하면서 비형식교육이 기존 형식교육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권위적 통제방식,
    타율적 학습과정, 고정적이고 결과중심의 교육과정 등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
    는 대안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이
    분법적 접근은 적절치 않으며, 적극적 시민성을 청소년들에게 함양시키기 위해
    서는 두 가지 교육의 장이 균형있게 같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한 바 있다.

    영어초록

    Recent discussion on social change has emphasised the phenomena of
    individualisation, fragmentation and increasing social risks which have caused
    young people to develope their heterogenous and multiple identities. These
    changes of youth field seems to emphasise the importance of non-formal
    education as educational thinking which cherishes the multiplicity of learning
    environments, a learner-centered approach and an openness to new forms of
    learning relationship.
    Our postmodern societies also need new active citizenship not only as the
    politic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citizens but also as their status and role i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 of life. Active citizenship and non-formal
    education are closely related concepts. For young people to become active
    citizens, an educational input combining formal and non-formal learning are
    required.
    The original version of non-formal education emerged in 1968 (Coombs
    1968). It arose in the context of thewidespread feeling that school educationwas
    failed. Today, there is a new interest in the concept of non-formal education. It
    comes froma very different arena - western post-industrial societies, and froma
    very different source - the discourse of lifelong learning/educa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on-formal education in terms of
    bottom-up control system, learner's self-directed participation, contextual
    formation of educational purposes, and process 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analysed.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non-formal education
    could redress undesirable qualities of formal education.
    Conclusionally,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are not to stand in
    opposition to each other, dichotomy ruled. For youth to become active citizens,
    we have to use both types of education-formal and non-formal for more
    inclusive, flexible, applicable education to the changing re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민청소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