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사례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3
20P 미리보기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사례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5권 / 1호
    · 저자명 : 김봉건, 이종목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
    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체육교육학 관련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및 교육 경력 10년 이상인
    초등교사 중 체육과 연구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나타난 구체적
    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측면에 대한 인지적 인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고, 체육과의
    내재적 가치 및 전인 교육을 많이 강조하는 것 같다고 하였다. 또한 신체 활동 가치에 따른 목
    표체제를 활용하고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가치 목표로 나누고 있는 것은 통합적인 면
    에서 바람직한 일이라고 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 영역의 수를 5개 영역(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으로 제시한 것
    과 내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각을, 학년성이나 계열성에 대한 검토와 의견 수렴 등에 관해
    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에서 강조하는 개별성, 통합성, 창의성은 7차 체육과 교육과정과 비
    교해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고 하였다.
    넷째, 평가를 교육과정 목표, 내용, 교수․학습 과정과 연계하고, 가르치는 내용과 평가하
    는 내용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체육과 평가 계획표를 작성하여 활용하였고, 학습의 결과
    뿐 아니라 학습의 과정도 포함하였으며, 교육과정 영역 간 균형성에 맞도록 실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측면을 고루 강조하여 전인을 육성하자는 의도가 반영되
    었고, 여가 교육의 확대가 ‘신체 활동 가치’라는 철학적 배경에 함께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긍
    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degree of teacher understanding of the 2007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2007 EPEC).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Pusan
    with masters in Physical Education or higher and with 10 years or more experience in teaching
    & research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e study.
    Firstly, teachers demonstrated a positive understanding of the purposes suggested by the
    2007 EPEC. According to the teachers, the division of the overall purposes of Physical
    Education from the grade group purposes by the 2007 EPEC strengthened the internal values
    of PE and the aspect of education for the entire person. They approved of the 2007 EPEC
    purpose scheme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the division of purposes into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and leisure indicating that it functioned in an
    integrated manner.
    Secondly, they demonstrat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equences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2007 EPEC. The 2007 EPEC divides the
    content into five areas: health, challenge, competition, expression, and leisure. Teachers
    considered the big changes in sequences,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to be
    positive, compared to the 7th EPEC; but they held some reservations with respect to reviews
    of grades and the sequencing and collection of opinions.
    Thirdly, the teachers did not find any big difference in individuality, integration, creativity
    between the 2007 EPEC and the 7th EPEC. This result could indicate that the 2007 EPEC and
    the 7th EPEC both continuously value teaching methods customized for individual needs as
    well as integrated and creative teaching methodology.
    Fourthly, the research indicated that teachers connected evaluation with purpose,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courses, using using the PE evaluation plan to maintain consistency
    between teaching and evaluation. The test, designed to balance different content areas, included
    not only the learning results but also the learning process.
    Lastly,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tention to enhance the entire person in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as reflected in the 2007 EPEC. They also
    agreed that expanding leisure education was underlined by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