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콘텐츠 활성화 방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9.12
32P 미리보기
농촌어메니티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콘텐츠 활성화 방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 / 3호
    · 저자명 : 김형준

    목차

    Ⅰ. 서론
    Ⅱ. 어메니티 무엇인가?
    Ⅲ. 어메니티를 활용한 박물관 교육 사례
    Ⅲ. 농촌체험 교육콘텐츠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Ⅳ. 결론

    초록

    WTO 출범과 FTA로 인하여 농촌은 힘들어하고 있다. 현재 농촌에서는 대외소득
    기반 향상을 위해 농촌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체험마을은 많은 문제
    점 가지고 있다. 그중 국가지원 체험마을 중 가장 활발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농
    촌전통테마마을 사업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히
    농촌체험마을에 대해 연구가 아니라, 박물관이 참여한 새로운 형태의 체험마을을 운
    영하고자 하는 것을 다룬 연구이다. 현재 농촌전통테마마을을 비롯하여 국가지원 체
    험마을들은 전국적으로 비슷한 주제로 운영되고 있고, 또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마을
    주민간의 갈등 등의 비슷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고자 박물관이
    농촌체험마을과 연계하여 현재의 운영 체계가 아닌 박물관이 참여하는 농촌체험마을
    을 운영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 예시로 들은 농촌전통테마마을은 농촌진흥청
    에서 주관기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협력 기관으로 시군 농업기술 유관기관, 체험마
    을이 3자간의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진흥
    청 및 협력기관은 하드웨어적인 성격(시설, 예산 지원 등), 박물관은 소프트웨어적인
    성격(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운영 방안 등)을 제안 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단순히 박물관이 중심이 되는 체험 교육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
    라 농촌의 어메니티를 활용하여 마을이 중심이되 박물관과 협조 하여 서로 상생하는
    효과를 가지자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실제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과 함께 하는 민속마을여행”이라는 체험마
    을 교육프로그램을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 농촌진흥청의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지정된 강원도 인제
    군의 냇강마을을 사례를 들어 박물관의 전문성을 통해 체험마을을 운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새로운 모형은 박물관 뿐만 아니라 시군 관청이 직접 마을을
    지원해 주면서 체험마을을 문화상품 및 관광자원화하는 시켜야 할 것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박물관은 체험마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반드시 그 지역의 어메니
    티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establishment of WTO and FTA, rural communities have started running 'day
    out' program letting visitors experience rural lives. This program, however, has obvious
    problems in particular this rural industry with governmental supports. This paper examines
    that museums can involve out-of-museum program with rural communities.
    Apart from this theme villages with rural traditions, other similar programs are
    nation-widely operated with similar themes and show similar problematic outcomes. In
    particularly one of examples in this paper is mainly perform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a kind of trilateral cooperation with related body of farming technology
    and the village itself. But two years after initial appointment as a experiential village, it is
    supposed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from the RDA's budget. This causes some
    problems: administrator of this program and nation-widely spreading programs make
    residents who usually spend their lives in farming, face with conflicts among themselves
    and some them have the question of maintenance.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hat
    museums should play a crucial role in solving these problem.
    This paper explores actual cases titled "a terrific overnight experience at a Korean folk
    village with the Museum" operated by the NFMK; suggests new concepts and models of
    'Museum involved experience program at a folk village' by analyzing the cases in different
    perspectives. The result of case, Naegang village, In-je, Gangweon provinc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s shown as operating about "a theme village on astate of
    keeping rural through a specialty of museum. In addition, the new models indicate that
    direct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 should generate cultural products of the village and
    reproduce the place as a tourism attraction. Moreover, when museums develop their education program, they should consider the local ame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박물관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