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파트 전형적 평면의 실 크기와 치수 특성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11
12P 미리보기
아파트 전형적 평면의 실 크기와 치수 특성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19권 / 6호
    · 저자명 : 윤재신, 전남일, 김도연, 김민경, 김준래

    목차

    I. 서 론
    II. 아파트 전형적 평면의 정착과 주거수준
    III. 전형적 평면의 실 크기와 치수에 대한 사례분석
    IV. 평면 전형의 실 크기와 치수 및 주거기준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한국은 꾸준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까운 미래에는 거주자들이 더 다양하고 개성적인 평면들과 더 높은 주거수준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현재 아파트 생산의 패러다임과 설계 관행들은 그 미래의 새로운 요구에 적응하며 진화할 것이다. 또한 전형적 주택평면의 실 크기와 치수들은 문화적 지속성을 매개로 우리 주거문화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며, 현재의 평균 주거수준은 미래에는 사회적 약자인 저소득층의 주거수준으로 하향 전이(trickle down)될 개연성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래상에 주목하여 현재 한국의 아파트 평면에서 가장 많이 보급된 규모, 즉 소위 32평형대(전용면적 85 m2)와 25평형대(전용면적 65 m2)의 전형적 평면들을 선택하여, 여기서 계획된 각 실의 크기와 치수들을 통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미래의 주거요구, 특히 사회적 약자인 저소득층의 주거 요구에 대응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첫째, 전형적 아파트 평면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각실 평균 크기와 치수 도출이다. 다수의 거주자에게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보편적인 실 크기와 치수 계획은 합리적인 주택 설계의 전제 조건이며, 하위계층을 위한 주거 기준의 경우는 특별히 유효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각 실의 크기와 전면 폭 및 깊이는 한 시대의 특정 계층에서 통용되는 생활ㆍ문화적 가치(living-cultural value)를 담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 보통 가구 즉,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소규모 핵가족의 수용을 전제로 계획된 32평형대와 25평형대의 전형적 평면에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표준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 둘째, 전형적 아파트 평면에서 실 치수의 변이 분포와 주거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도출이다. 아파트는 규모에 따른 평형별로 실 배치가 전형화 된 몇 개의 특정한 평면 형식들로 범주화될 수 있어 정성적(qualitative)으로는 유형적 분류가 분명하다고 할 수 있지만, 각 아파트마다 실 치수가 서로 조금씩 모두 다른 미묘한 차이가 있어 정량적(quantitative)으로는 항상 편차를 보이고 있다.그러므로 주택 내장부품(infill)과 건축부재의 규격화에 적합한 표준 치수의 산정은 이러한 치수의 편차에 기초하여 보다 체계적인 도출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다양한 실 치수들의 평균치와 편차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주택 내장부품체계(infill system)의 규격화 및 대량생산과 비용절감을 위한 주택생산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표준 주거기준의 산정에는 현재 주거수준에서 보이는 평균적 치수를 근거로 하고 그것에 더하여 생활ㆍ문화적 가치에서 오는 정성적 지표, 그리고 법규 등을 통해 정해진 주거수준들과 최소주거기준 등의 정책적 지표들이 동시에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적인 실 치수를 도출하여 이를 주거기준의 산정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derive regular sizes of average dwellings in Korea and to examine minimum living standards in light of those regular dwellings in order to meet future housing requirements of low income households.Two plan types of unit floor area 60 m2 and 85 m2 have become prevalent and ubiquitous so as to reflect the basic requirements of ordinary living standards. Thus,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those two plan types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The background of regular plans and their popularized process is first reviewed and the 120 cases of apartment units which were constructed between 2000 and 2007, are selected from thosethree regional groups and surveyed in detail. The area, depth, width and proportion of each space of unit plan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various aspects. As a result, proper space sizes and standards for low income households are reviewed and compared. The regional difference of space dimensions is not significant as expected but area and siz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s very much regularized and obvious. And it is argued that thos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should convey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of Korean housing. The average dimensions of each spaces of surveyed apartment unit turns out to be much closer to guidable living standards rather than minimum living standards. Thus, it isvery probable that the present guidable living standards could be upgraded to become the future minimum living standards so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