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변 조선족 자치주 민족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29P 미리보기
연변 조선족 자치주 민족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적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 5권
    · 저자명 : 김해영, 김유리, 양진건

    목차

    1. 서론
    2. 민족의식 확립으로서의 민족문화 교육
    3.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민족문화 교육의 활성화 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중국 조선족이 이주 150년의 역사 속에서 해방 전의 일제의 식민지배, 항일투쟁 및 해방 후 중국 사회의 격변에 따른 심한 고초를 겪었음에도 민족의 언어문자와 전통을 고수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민족문화와 함께 민족적 주체의식을 전승하는 교육의 역할이 컸다고 본다. 민족의식은 한 민족이 생존·발전할 수 있는 정신적 지주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러한 민족정신을 유지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콘텐츠가 민족문화일 것이다.
    그런데 연변 조선족 교육하면 으레 제도적인 학교 교육, 즉 민족교육이 논의의 대상이 되고 연구의 역점을 초중고를 포함한 청소년 교육에만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제도적인 학교 교육이라는 것은 지극히 근대적인 산물로 그 역사가 길지 않다. 오히려 오랜 세월 민족의 정신과 문화를 지켜준 것은 가정교육이나 사회교육, 평생교육과 같은 비형식적 교육이었다. 따라서 그동안 민족의 문화는 오히려 의도적인 학교 교육에서보다 무의식적인 가정교육이나 사회교육에서 더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러한 무의식의 전승에서 노출시켜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민족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ethnic Chinese Korean community, which has the immigration history of more than 150 years, is the 13th largest in population among 55 ethnic minorities in China, and is regarded as the group of the highest educational potential. As the representing ethnic minority not only having the self-governing territory but also well preserving its ethnic culture, and they have played a unique role as a messenger in exchang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However, some recently circulated public opinions of which the community may collapse or the ethnic education is in crisis throw them into confusion and raise an issue of the preservation of ethnic culture.
    Although Korean and Chinese scholars have been working on measures dealing with losing ethnic culture, we find that a lack of serious consideration and detailed plans for its preservation. Since the ethnic culture establishes the identity and plays as a medium for keeping ethnic life, history and tradition, its existence can decide the fate of an ethnic group.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ethnic culture in consideration of Chinese Korean community’s ignorance about it, and discusses its options through the digital storytelling. In addition, we examine how the alternatives can be applied to school, social, and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he entire Chinese Korean society, and their possi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