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수요자 요구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56P 미리보기
초등학교 국어 수업 컨설팅에 대한 수요자 요구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33호
    · 저자명 : 민병곤

    목차

    1. 서론
    2.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개념적 이해
    2.1. 수업 컨설팅의 개념
    2.2.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개념
    3. 조사 내용 및 방법
    3.1. 설문 내용의 구성
    3.2. 조사 대상 및 분석 방법
    4. 조사 결과 분석 및 논의
    4.1. 응답자 배경 정보
    4.2. 수업 장학 현황
    4.3.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필요성과 내용
    4.4.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방법
    5. 결론

    초록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장학 현황을 진단하고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에 대한 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필자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14개교 48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장학 지도의 현황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장학 지도 경험이 있었는데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장학 형태는 자기 장학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동료 장학, 요청 장학/맞춤 장학 등이었다. 수업 장학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부정적인 반응보다 더 많았는데 교사들은 수업자의 자발성과 장학 담당자의 전문성 그리고 자유로운 협의 분위기 조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국어 교과의 내용에 따른 교수법 활용 능력을 키우고 싶기 때문이라고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국어 교과 내용 영역 중에서는 말하기 영역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았는데 그 이유도 교재 활용, 교수 자료 제작, 교수법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수업 운영과 관련해서는 발문과 피드백, 동기 유발, 학습 활동의 제시와 운영 등에 대한 컨설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어 교과 수업 컨설팅의 방법과 관련하여, 가장 선호하는 컨설턴트는 국어 교과 컨설팅 전문가 교사였으며, 학기 중이나 관련 연수 기간 중에 받기를 가장 선호하였고, 횟수는 필요할 때 수시로 받겠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진행 방식은 수업 동영상과 수업 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면 의견 교환을 가장 선호하였다. 수업 컨설팅의 성공 요소로는 제도적 뒷받침, 교사의 자발성, 전문가의 자질과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결과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나 교사용 지도 자료에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s the present instructional supervis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need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Korean. The participants comprised 482 teachers from 14 elementary schools in the areas of Seoul, Incheon and Gyeonggi.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were obtained.
    We foun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 career as a teacher.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supervision was self-directed development, followed by colleague supervision, teacher-demanded supervision and so on. Further, their responses to the supervision were more affirmative than negative. They believed that such elements were important as they focussed on the willingness and preparation of themselves, the speciality of the advisors and the comfortable atmosphere for discussion after workshop classe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Korean was necessary and desired in order to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subject. The strand in which they wished for maximum consultation was 'speaking': their reasons for the same were as follows: (1) 'not having considerable knowledge on how to use textbooks and produc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2) 'it is the most important strand among the 6 strands'. With regard to managing the instruction, they preferred consultation pertaining to 'question and feedback' the most, followed by 'motivation', 'attracting attention' and 'guiding learning activities'.
    The most preferred consultant was an expert teacher. Moreover, the most preferred time for consultation was during the term and through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mes. Many respondents chose the option 'as and when necessary' as the proper frequency for the consultation. In addition, most teachers preferred face-to-face consultation, aided by the videos and materials of a class. The primary elements for the succes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were institutional backup, teachers' willingness and the speciality of the consultants. With regard to utilising the outcomes of the consultation, most teachers preferred that it be used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mes and for teacher's guide books.
    【Key words】Korean,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sul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