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제과학에 비추어 본 교육공학의 궤도이탈 :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오류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1996.11
24P 미리보기
체제과학에 비추어 본 교육공학의 궤도이탈 :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오류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13권 / 2호
    · 저자명 : 유영만

    목차

    Ⅰ.문제의 제기
    Ⅱ.체제과학의 핵심개념 및 원리와 학문적 발전과정
    Ⅲ.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적용 :誤解·誤用의 시작과
    Ⅳ.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함축 :교육공학의 軌道進入을 지향하며
    참고문헌

    초록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개념은 학문간 경계를 넘나들며 각각의 분과학문 발전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지만 특정 학문 분야에서 借用되는 개념은 해석주체의 학문적 성향이나 借用하는 학문 공동체의 학문적 성향이나 특징에 따라 때로는 본래적 의미를 편파적으로 誤解하여 稀釋, 退色, 脚色되어 자기편의주의적으로 誤用되는 부정적인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체제, 체제접근, 체제적 사고와 같은 개념이 교육공학에서 활용될 때의 의미와 체제과학에서 이러한 개념이 창안되었을 때의 의미간에는 많은 격차가 발생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글은 체제과학의 본질적 속성과 원리를 전체성, 동형성, 창발성이라는 핵심개념에 비추어 개관하고, 체제과학의 학문적 발전과정을 분과학문별로 살펴봄으로써 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誤解·誤用과정을 이론적 化石化(pertification) 현상과 방법론적 聖化現像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시사점을 다음 5가지로 대별하여 논의한다; 첫째, 체제적인 관점에서 교육공학 연구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탐구논리의 재정립; 둘째, 설계과학과 체제과학의 통합화 추구; 셋째, 학문간 同型性발견을 통한 통일과학의 가능성 탐색과 절합적 통합추구; 넷째, 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적용과정에서 제기되는 본질적 이상의 실천적 적용의 어려움과 불가능함의 구분이다. 결국 본 논문은 상식화, 당연화된 세계, 즉 “교육공학은 체제과학, 특히 일반체제이론을 받아 들여 이론적, 방법론적 기초로 삼고 있다”는 주장의 이면을 파고들어 체제과학의 교육공학적 적용과정에 나타나고 있는 誤解·誤用과정을 정면에 노정시켜 체제과학의 학문적 이상과 본질에 비추어 교육공학의 궤도이탈과정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은 언제나 錘가 지나간 그늘진 곳에서 잿더미를 헤쳐야 할지 모른다. 그것이 그들의 운명이요, 그들의 가장 큰 보람 또한 거기에 있다” 이홍우

    영어초록

    Systems concep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have had a majo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showing that systems science, in particular, systems approach was the often stated theoretical justification behin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However, systems concepts comming from systems science have been misunders tood and mis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Systems thinking was dominated by the positivism and functionalism characteris tics of the traditional version of the scientific method, leading to the misconceptualization of concepts related to sys tems such as systems, systems approach and systems thinking, which are far from the nature of original notion of systems science. Consequently, there are huge gaps between meaning of systems concepts from systems science and meaning of those from educational technology.Given the fundamental differences in orientation between the competings trands of the systems science and educational technology, the nature and the as sumption of systems science are explored by looking into the core concepts like wholeness, isomorphism, andc emergence while outlining the basic viewpoints of systems movements which are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different discipline. This is the basic building block for deconstructing how educational technologist misunderstand the original notion of systems concepts and principles of systems science in terms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tification. Finally, four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are drawn: ① reorient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epis temoiogical and methodologically in terms of systemic concepts ; ② efforts to integrate design science into systems science; ③ exploration of universal science and articulation by identifying isomorphism among different disciplines ; ④ clear differentiation of academic difficulty from impossibility related to applying systems science to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sum,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isconceptualization of systems science by educational technologist and recast the directions of educational technology from the lens of systems 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