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 설화의 비교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36P 미리보기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 &lt;며느리 고르기&gt;와 &lt;사위 고르기&gt; 설화의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0호
    · 저자명 : 박현숙

    목차

    1. 머리말
    2. 설화와 설화 비교
    3. ‘새식구 들이기’의 인식 층위
    4.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쌀 서 말로 석 달 산 며느리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며느리 고르기>
    설화와《거짓말 세 마디로 사위 고르기》설화를 중심으로 한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를
    통해 설화에 반영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두 시선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며느리 고르기>설화와 <사위 고르기>설화에서 새식구의 자격 조건, 재능시험 목적, 새
    식구 고르기에 임하는 결정권자의 자세 등의 차이를 먼저 살핀 뒤, 두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망 속에서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성인식의 차이
    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더 나아가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코드가 두 설화의 갈래적 차
    이를 형성하는 작동기제임을 입증하였다.
    두 설화에서 며느리 고르기 목적엔 아들과 가문이 중심에 놓여 있다. 며느리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며느릿감 재능시험 전과정에 거쳐 적극적이고 신중한 태도를 취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의 목적엔 결정권자의 사적 욕망이 중심에 놓여있다.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딸
    은 아버지의 사적 욕망의 수단이 된다. 따라서 사위 고르기의 결정권자는 순간적이고 즉흥
    적으로 사윗감의 재능시험 과정을 즐기고 있을 뿐 정작 취재(取才) 성공에는 방관적 태도를
    취한다. 이처럼 며느리와 사위 고르기 설화에서 새식구의 재능을 시험하여 고르려는 목적과 결정권자의 자세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가족관계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식 코드가 발현된 결과라 하겠다.
    ‘며느리’와 ‘사위’에 대한 인식코드는 가족관계망 속에서 가문에서의 지위와 역할, 책임감
    의 유무, 경중(輕重)에 따라 여성(딸), 남성(아들), 외인, 내인이라는 4가지의 핵심 키워드로
    발현된다. <며느리 고르기>설화는 대체로 가문을 상징하는 남성(아들)(+), 내인(內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그에 비해 <사위 고르
    기>설화는 대체로 가문과 아들이 배제된 채 여성(딸)(+), 외인(外人)(+)의 키워드가 작동하여
    부담없이 웃음을 즐기는 서사를 지닌 소화(笑話)와 연결된다. 그러나 <사위 고르기>류의 설
    화에서 사위를 구하는 목적이 가문과 아들을 대신할 남성(아들)(+), 내인(內人)(+)을 얻기 위
    함에 있다면 이는 진지한 서사를 지닌 본격담(本格譚)과 연결된다. 이처럼 한 집안의 아들
    이자 사위이고, 딸이자 며느리인 복합적 가족관계망 속에 존재하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인
    식코드가 <며느리 고르기>설화는 본격담(本格譚), <사위 고르기>설화는 소화(笑話)라는 갈
    래적 차이를 형성하는 중요한 작동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views on ‘daughter-in-law’
    and ‘son-in-law’ reflected in tal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centering around Picking up Daughter-in-law Living Three
    Months with Three Mal of Rice tale with ‘Picking up Son-in-Law’ tale centering
    around Picking up Son-in-law by Listening Three Stories of Lie t ale .
    First, it examined differences in the qualifications of a new family member,
    the purpose of talent test, decision-makers'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picking up a new family member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nd
    ‘Picking u p Son-in-law’ tale and p rove d that t he diffe re nce of re cognition
    between ‘daughter-in-law’ and ‘son-in-law’ wa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recognition of male and female in family relationship shown
    in t he two t ale s. Furthe r, it p rove d that t he pe rce ption code for male and
    female is the operation mechanism forming the differences of the two tales.
    Son and family are at the center of the purpose of picking up daughter-in-law
    in the two tales. The decision-maker of picking up daughter-in-law takes activeand serious attitude throughout all process of testing talent of daughter-in-law
    candidates. However private desire of decision-maker is at the center of the
    purpose of picking up son-in-law. In ‘Picking up Son-in-law’ tale, daughter
    becomes a means of father's private desire. Thus, the decision-maker of picking
    up son-in-law only enjoys the process of talent test of son-in-law candidates
    instantly and impromptu, but takes attitude of a looker-on in the success of
    picking up talent. Like this,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nd ‘Picking
    up Son-in-law’ tale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of testing talent
    of a new family member and decision-maker's attitude can be the result of
    revelation of perception code for male and female in family relationship.
    Perception codes for ‘daughter-in-law’ and ‘son-in-law’ are revealed as four
    key words of woman(daughter), man(son), outsider and insid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roles in the family, whether they have responsibility or not,
    and the weight of it in family relationship. Usually the key words, man(son)(+)
    and insider(+) symbolizing the family operate i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s, connected with ordinary folk-tales with serious narrative. In contrast,
    ‘Picking up Son-in-law’ tales usually excluding the family and son, the key
    words, woman(daughter)(+), outsider(+) operate, connected with jokes
    without serious thinking. However, if the purpose of finding a son-in-law is
    to get man(son)(+) or insider(+) who replace the family and son in ‘Picking
    up Son-in-law’ tales, this is connected with ordinary folk-tale with serious
    narrative. Like this, it is confirmed that perception codes for woman and man
    existing in complicated family relationship in which a son is also a son-in-law
    and a daughter is also a daughter-in-law serve as operating mechanism forming
    the categoric difference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tale as ordinary
    folk-tale and ‘Picking-up Son-in-law’ tale as funny story.
    Key words:Picking up Daughter-in-law, Picking up Son-in-law, Daughterin-
    law Living Three Months with Three Mal of Rice, Son-in-law
    Telling Three Stories of Lie, Daughter-in-law Being Good at
    Housekeeping, Picking up Talent, New Family Member, Son,
    Daughter, Daughter-in-law, Son-in-law, Ordinary Folk-tale,
    Jok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