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활시설 지적장애인의 서비스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 : 이용자 참여의 개념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35P 미리보기
생활시설 지적장애인의 서비스 과정에서의 경험과 의미 : 이용자 참여의 개념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8호
    · 저자명 : 박미숙, 김성혜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초록

    본 연구는 생활시설 지적장애인의 서비스 과정에서 이용자 참여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6명의 지적장애인을 심층면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지적장애인의 연구방법으로 활용성이 높은 대화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의 이용자 참여경험은 ‘나의 의지로 거주환경 선택함’, ‘자유로운 환경’, ‘자율적인 삶’, ‘내가 받아들여짐’, ‘독립생활에 대한 희망’이라는 5가지로 표현되었다.
    지적장애인의 이용자 참여경험은 생활시설의 입소과정에서 모두가 자신의 의지로 거주환경을 선택하지는 못했지만 자기결정에 의해 입소한 지적장애인들은 생활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참여자들이 열악한 자신의 집 보다 좋은 주거 환경과 자율적인 식생활, 여가생활, 이성교제 등이 가능한 자율적인 삶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었다. 또한 생활시설에서 의식주와 자신의 의견을 말 할 수 있는 자율권이 여할 확대되고, 친구와 직원들과의 비공식적 지지망을 통해 ‘내가 받아들여짐’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전을 빌미로 한 과도한 통제, 전문가의 관계에서의 억압, 사생활보호의 미비 등이 여전히 문제로 제기되었다. 지적장애인들은 궁극적으로 직업을 자시고 경제생활에 참여하여 독립생활에 희망을 품고 있었다. 위의 결과는 적장애인의 이용자 참여가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변화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적응능력을 높이게 됨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이용자 참여를 좀 더 넓게 포괄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심리적 고립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지지망의 연결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지적장애인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지적장애인의 사회 통합에 기것이다.

    영어초록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 in the levels of participants, this research was done by using qualitative studying method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e research, six participa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reside in the special facility were throughly interviewed and as a method to study the participants who are not able to communicate well, conversation analysis was used which is highly utilizable.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s of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was verified with five categories including "sel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ir own,” "free environment”, "free life” "self acceptance” and "hope for independent living".
    Not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choose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ith their strong will. However, those who willingly entered the facility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because they were leading a flexible life in which they could have meals and have association with opposite gender freely and enjoy free time. Moreover, their rights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their shelters, meals and clothing could be guaranteed and with the support from the friends and staffs,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acceptance in the community. However, some problems such as strict regulations for safety, pressure from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s and invasion of privacy were raised. It was determined that some of the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ve goals of getting a job and be a part of a community and ultimately to have a independent life.
    The results has verified that the research has influenced and changed the lives of participants and these changes strengthen their individual ability to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s. Furthermore, it was also determined that such programs which can embrace the participants, prevent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isolation of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support from the society are necessary. With those programs and the support, the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can establish sense of self and ultimately they could come to contribute to the unity of society.

    Key Word :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