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생의 학년별 체격, 체력 및 신체특성 비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13P 미리보기
초등학생의 학년별 체격, 체력 및 신체특성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13권 / 2호
    · 저자명 : 장동진, 이형준, 이기청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초등학생 시기는 신체의 변화 및 성장․발달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다. 또한 평생 건강을 위해 체력의 기초가 다져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적절한 신체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 교육의 현실은 아동의 적절한 신체활동보다는 학교와 학원에서 공부하는데 더욱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관광부(2004)가 실시한 ‘국민체력 실태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체격은 소폭의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 체력은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추세라고 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비만의 직접적인 원인인 고칼로리의 패스트푸드의 섭취를 들 수 있다. 이에 반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students’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change each stage of their physic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1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6 grad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data, mean (M), standard deviation (SD), and the F value were extractedand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to examine difference between ages. In result of the one-way ANOV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ost-examined by Scheffe.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α<.05.
    The following lists the conclusion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First, in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both weight and height (physique categories). This tells us that male students grow in height first and then in weight, whereas female students grow in both height and weight at the same time.
    Secon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growth in the categories of physical fitness 50m track, sit-ups, long jump, 1,000m track, and crunch-ups. However, their overall physical fitness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Considering that students increase in body fat rather than body muscles, the reason of it would be students’ reducing hours of physical activities or improper eating habi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body composition such as moisture content in cells, moisture content outside cells, protein, minerals, and body fat. This is probably because proper development has constantly increased students’ height and weight. In case of male students, body fat generally increases as they grow, but body fat around the abdomen area stays consistent. This means that their body fat accumulates in areas other than the abdomen area. For female students, body fat decreases from 5th grade to 6th grade, probably because this is when they gain interests in appearance and body figure.
    Fourth,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gain strength in arms and legs and female students gain strength in right legs. However, male students tend to lose strength in arms and legs as they grow. It is probably becaus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cess calorie intake accumulates more body fat compared to body muscles. Female students also lost physical fitness in lower bodies, because they are not using their legs as much as male students do and are accumulating more body fat in the lower body than they are in upper body.
    As proven above, elementary students’ physique is becoming taller and heavier, but their physical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obesity), and balance have worsened.

    ※ Key Words : physique, physical fitness, body composi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