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형 평화모델 정립에 관한 시론 :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경제적 복지공동체 대안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23P 미리보기
제주형 평화모델 정립에 관한 시론 :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경제적 복지공동체 대안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6권 / 2호
    · 저자명 : 김진호, 김성수, 오상준

    목차

    Ⅰ. 서 론
    Ⅱ. 지역경제공동체의 대안적 모델
    Ⅲ. 신자유주의와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확대
    Ⅳ. 경제적 복지공동체 대안으로서 스웨덴식 모델의 함의
    Ⅴ. 결 론

    초록

    평화 논의의 다양성은 평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타당성과 적실성이 담보된 제주형 평화모델의 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그렇지만 공교롭게도 제주도민들이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구체적이며 현실적인 평화 논의는 아직 전문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오늘날 평화란 전쟁의 상대적 개념으로만 소극적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다양한 구조적 폭력이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현재 제주도민이 겪는 가장 중요한 구조적 속박은 경제적 불평등일 것이다. 도민 개개인의 경제적 안정 정도를 분석하는 것은 인간으로써 누려야 할 가장 원초적인 평화에 대한 접근이다. 실제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경제 및 복지정책의 결과로 상당수의 제주도민들은 파산과 실업의 고통을 겪고 있다. 그리고 서민층의 빈곤은 시간이 갈수록 경제적 양극화의 심화로 인해 가장 심각한 구조적 비평화 문제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제주가 지향해야 할 평화 모델은 소외계층을 포용하는 경제적 평등 개념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평화 모델로 ‘경제적 복지공동체’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계층 간 소득격차를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대안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소개했다. 또한 그 사회민주주의에 기초한 스웨덴식 모델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경제적 불평등의 완화와 해소를 지향하는 제주형 평화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스웨덴은 대표적인 사회민주주의 체제의 국가이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친노동자적이며, 분배위주, 그리고 조합주의를 중요한 가치로 생각한다. 이런 가치는 코포라티즘적 제도, 보편주의적 복지정책, 그리고 적극적인 고용정책 등을 출현하게 했으며 결과적으로 고소득을 바탕으로 한 빈부격차의 해소를 이루어내게 하였다. 물론 스웨덴 역시 최근 과도한 복지정책에 따른 재정 부담으로 종전의 방식을 다소 수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들은 사회민주주의 자체를 포기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국제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좀더 발전적인 사회민주주의적 정책 대안을 찾고 있는 과정에 있다. 따라서 제주의 경제적 평화모형을 추진하기 위해 스웨덴식 모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스웨덴의 사회민주주의 모델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평화의 섬, 제주’를 빈부의 격차가 최소화된 ‘경제적 평화 공동체’로 만들어야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주는 세계에서 가장 평화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중심의 모범적인 평화지대가 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적극적 평화 개념으로서 우리가 정립해야 할 ‘제주형 평화모델’인 것이다.

    영어초록

    Jeju Province was designated as 'the island of world peace' at the country level in 2005. Taking this opportunity, the study on which 'Jeju peaceful model' has been various. It is representative from among others that 'the peaceful zone mode towards a neutral or demilitarization', 'the island model of peace․prosperity․welfare towards making a special economic zone' and 'the model of peace island towards academy․culture․tourism level', and so on. But the one has character which can be discussed at a central government level, then the other and the third have characters which can be discussed at a local government level. Although the Jeju peaceful model has not set concretely yet, the peaceful events is held various and it is also prepared continuously. This situation is an evidence that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NGO, and scholars make an effort to seek a peace model of Jeju in various fields, while it means that everyone has an oppose each others. Variety of peace discussion has contributed in appearance of Jeju peaceful model that propriety and relevance is included, rising interest in peace. But a concrete and realistic discussion of peace that the local residents in Jeju can realized directly does not become accomplished specially yet. Today concept of peace is appreciated that positive one which be free from structural violence or restraint various rather than native one which contrary to war. In this level currently the most structural restraint that local residents has been undergoing is economic inequality. The analysis about economic stable degree of residents each person approach the most basic peace that must enjoyed as human. Actually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neoliberalism economic and welfare policies made local residents suffer from bankrupt and unemployment. and the problem of the poor is appearing one of the most structural non-peace issue by reflecting the economic polarization deepen over time. This paper insists that peace model of Jeju should embrace concept of economic equality from now on, and present that its one is called 'economic welfare community'. A social democracy theory were introduced to explain alternative theory that can contribute to relieves incom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Also this paper presents that a possibility of Jeju peaceful model towards easing and narrowing of economic unequality, its model is examined through Swedish model base on social democracy. Sweden is a representative social democracy country. So Swedish believes that it is important worth that policies of pro-laborer, distribution putting first, and unionism. This worth makes to appear corporatism system, universalism welfare, and positive hiring policy, and its policies achieve that national high-income and narrowing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Of course Sweden is revising their policies including welfare policy for relieving the financial burden. But they are not give up its own social democracy, in the process of seeking an alternative plan for adapt themself to new chan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refore, Jeju needs to be concerned about Swedish model to promote economic peace model of Jeju style. We should be carrying on study on Swedish social democracy model, so have to found 'Island of peace, Jeju' as 'economic peaceful community' that minimize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By doing so, Jeju can be the most anthropocentric and effective peace area in the world. That is 'peaceful model of Jeju type' to our duty to do as positive concept of peac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