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고슬라비아 口碑文學 硏究 : 유고슬라비아 口碑文學의 歷史와 그 政治․社會的 側面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2.01
33P 미리보기
유고슬라비아 口碑文學 硏究 : 유고슬라비아 口碑文學의 歷史와 그 政治․社會的 側面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5호
    · 저자명 : 김상헌

    목차

    1. 서론
    2. 유고슬라비아 구비문학의 갈래
    3. 유고슬라비아 구비문학 발전을 위한 역사적․사회적 배경
    4. 구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의 이행
    5. 유고슬라비아 구비문학 연구사
    6. 결론

    초록

    이 논문은 유고슬라비아 구비문학(이하 유고 구비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개관을 목적으로 한다. 이미 A. B. Lord의 저서 The Singer of tales를 통해서 유고슬라비아의 구비서사시가 국내에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유고 구비문학에 대한 연구의 역사가 오래지 않고, 깊이 있는 논의를 전개하기에 부족한 면이 적지 않음에 주목했다.
    우선 형식과 내용에 따른 유고 구비문학 갈래분류 체계를 살핀다. 구비문학의 하위갈래들이 무엇을 목적으로 구연되며, 어떠한 배경 속에서 구연되고 있는가를 살폈다. 또한 구비문학에서 기록문학에로 이행되는 시기의 여러 가지 특징들(궁정歌客에 의한 이행형태, 도시민의 서정시에 의한 이행형태, 구비시가에 기반을 둔 개인시)과 최초의 구비문학작품 채록과 함께 시작되는 유고슬라비아의 구비문학 연구사가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를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The Yugoslav oral tradition was the product of a combination of some factors. The masses naturally brought traditions with them from their ancient Slavic homeland to the lands where they settled on the boundary of the civilizations of East and West. This was combined with the tradition they had encountered in the new land, which was the direct contact with the classical heritage. Later on, it developed further as it defended itself from oriental influences, while accepting elements of those influences at the same time.
    From the 15th century, there are mentions and recordings in a book of orally transmitted process and poetry. They functioned within the bounds of the poetics of written literature, at times surfacing as independent entities and giving testimony to the high level of development in the system of orally transmitted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give a conspectus of Yugoslav oral literature. As an introduction, notions of two terms for Yugoslav oral literature, ‘narodna književnost’ and ‘usmena književnost’ were presented. And the 2nd chapter deals with the classified systems of oral literature by genres in Yugoslavia. In the 3rd and 4th chapters are treated with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for the development of oral literature and the transition from the oral literary works to the documentary literature. The 5th chapter is the outline of researches for Yugoslav oral literature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country.
    From the manuscript collections of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Serbian historian Baltazar Bogišić published a volume entitled 󰡔Songs from the older, mostly coastal manuscripts󰡕. The first large collection of folk songs in decasyllabic verse was copied down at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by an unknown Austrian officer somewhere along the Military Border which was under Austrian control at that time. It was published in 1925 under the title The Erlangen Manuscript by the German Slavist, Gerhard Gesemann. At the beginning an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first systematic collections of Serbian folk songs, folktales, riddles and proverbs were published. They had been collected by Vuk Stefanović Karadžić from the lips of the masses. - A Small Simple-Folk Slavonic-Serbian Song(1814), Serbian Folk Song(Vols. I-IV, Leipzig edition, 1823-1833; Vols. I-IV, Vienna edition, 1841-1862), Serbian Folk Tales (First edition, 1821 and second 1853), Serbian Folk Proverbs and Other Common Expressions(1834).
    Yugoslav folk poetry created a great sensation, as it appeared in Europe when romanticism was in full bloom. Their folk poetry, which appeared in Karadžić's anthological collections, met the expectations of the educated European audience, offering a living confirmation of Herder's and Grimm's ideas about the oral tradition. And Jacob Grimm began to learn Serbian so that he could read the poems in the original. Thanks to Jacob Grimm, moreover to the initiatives of the well-educated Slovene Jernej Kopitar who was been Karadžić's counselor and protector for Yugoslav oral traditions and Serbian standard language, Yugoslav folk literature found its place in the literature of the world and acquired his own reputation. Yugoslav folk songs (and folk-tales) were translated into German practically as quickly as they were published in Yugoslavia and Germany, sometimes beforehand, coming directly from Karadžić's manuscripts or dictations. Kopitar translated the entire first volume of the Yugoslav Folk Song for Grimm, followed by a series of other poems in his review of the Leipzig edition. Grimm himself began to translate them as well.
    On the basis of his translations, others were done in many foreign languages. There were translations into English by John Bowring, into French by Elisa Voilar, into Swedish by Johan Runeberg and into Russian by Pushkin. And the poems were translated into all Slavic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