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해양바이오에너지 기술 개발의 필요성 및 전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4.06.29 최종저작일 2014.06
18P 미리보기
해양바이오에너지 기술 개발의 필요성 및 전망
  • 미리보기

    목차

    1. 서 론
    1) 예정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 문제
    2) 지구온난화
    3) 곡물 가격상승 및 애그플레이션

    2. 본 론
    1) 차세대 바이오매스
    2) 해양바이오에너지의 경제성
    가. 해조류 바이오에탄올의 경제성
    나.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온실가스 저감편익

    3. 결 론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현황
    2) 국내 해양바이오에너지 기술의 전망과 고찰

    <참고 문헌>

    본문내용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해 불가피하게 예견되는 유가 상승, 화석연료의 남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환경문제의 해결책의 하나로 바이오에너지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와 함께 곡물 수요 증가에 따라 발생한 곡물 가격 상승 및 애그플레이션(Agflation)으로 인해 바이오에너지는 환경파괴 위험과 식용작물을 이용한다는 문제점이 야기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부상한 해양바이오매스는 경작지나 삼림을 파괴하지 않으며, 생 분해가 가능하여 오염의 문제가 없고, 쉽게 키울 수 있음은 물론 여타 바이오매스에 비해 생장력이 높은 다방면으로 우수한 바이오매스이다. 이는 또한 전처리와 당화공정이 단순하여 에너지 전환수율이 높고,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5~8배에 달한다. 이 중 홍조류를 원료로 제조한 에탄올의 경우 공정비를 목질계의 2분의 1 정도로 맞춘다면 기존 바이오에탄올 대비 충분한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며,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온실가스 감축편익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던 점에서 경제성이 입증되고 있다. 게다가 해양바이오에너지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에 유리하다. 영토가 좁은 한국에서는 입지적 제약성이 큰 태양광보다 입지적으로 유리한 해양바이오에너지가 에너지 강국으로 가는 기반을 마련해줄 수 있을지 모른다. 정부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가 가지고 있던 투자대비 저효율의 오명에 얽매여서는 안 된다. 지금은 조력에너지와 같이 해양 환경파괴를 야기하는 ‘모순적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릴 때가 아니라, 해양바이오에너지를 육성하여 진정한 한반도식 신재생에너지를 발굴해야 할 때이다.

    참고자료

    · 김경수,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Bioin 스페셜 WebZine [바이오에너지], 2009.11
    · 김용진, 해양 바이오 에너지, BT NEWS 제16권 제1호, 618, 2009.3
    · 김태영,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ol. 22, No. 2, pp. 184~196, 2013
    · 김태영,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온실가스 저감편익 추정,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지, Vol. 16, No. 3, pp. 217 ~ 225, 2013
    · 이철균, 해양조류유래 해양 바이오 에너지, BT NEWS 제16권 제1호, 1933, 2009.3
    · 정유경, 셰일가스가 가져올 3大 변화, SERI 경영 노트, 삼성경제연구소, 2012.3.15
    · 강미주, 청정에너지와 환경을 둘러싼 조력발전의 딜레마, 미래환경, 2011.9.15(http://www.ecofuturenetwork.co.kr/news/articleView.html idxno=4922)
    · 강보희, [2013결산] 신재생에너지 외면하는 박근혜 정부, 에너지 코리아 뉴스, 2013.12.5(http://www.energykorea.co.kr/news/articleView.html idxno=17595)
    · 권영석, 해양바이오에너지 ‘열쇠’로 미래에너지 ‘문’ 연다, 이투뉴스, 2009.11.2(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 idxno=32230)
    · 김재형, 셰일가스는 우리에게 과연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요 , 인천항만공사, 2014.6.11(http://incheonport.tistory.com/1428)
    · 월간기계기술기자, 바이오 에너지 현황과 미래, Engineering information, 2008.3.1(http://www.manufacturing.kr/content/view.asp idx=7567)
    · 윤병선, 곡물가 급등과 설익은 ‘식량 안보론’, 창비주간논평, 2008.3.18(http://weekly.changbi.com/158)
    · 이상복, 「조력발전 RPS 가중치, 방조제 건설 조장」, 이투뉴스, 2012.3.22(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 idxno=60823)
    · 네이버 금융 시장지표(http://info.finance.naver.com/marketindex/)
    · e나라지표(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 idxcd=1171)
    · Jeff Tollefson, Energy: Not your fathers biofuels, Nature, 451:880883, 2008
    · Julian N Rosenberg, A green light for engineered algae: redirecting metabolism to fuel a biotechnology revolution,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19:430436, 2008
    · RP Siegel, Solar power to hit cost parity next year, Triple pundit, 2013.3.18(http://www.triplepundit.com/2013/03/solarpowerhitcostparitynextyear/)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www.ipccdata.org/)
    ·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www.noaa.gov/)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