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 | 일본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전근대한일관계사 | 자료 | 4건 |
공통 |
다음을 작성 할 것. 자기 고향이나 고장, 거주지, 연고지 등에서 18세기(1799년)까지 한일관계사 사적지 관련 5곳 이상을 방문하여 사건 및 관련 사항 그리고 자신의 감상을 쓰는 데 반드시 사적지 또는 유물을 배경으로 하여 본인의 얼굴이 들어가도록 촬영한 사진을 첨부한다. 예) 부산 – 자성대, 금정산성 등(부산 시립박물관에서 관련 내용을 조사해본다) 전주 – 인근 남원의 이성계 황산 대첩 관련사적 또는 전주 시내 사적 광주 – 학습관 부근 또는 영산강 일대의 전방후원분. 고려 말 왜구를 무찌른 정지 장 군의 갑옷 등 김해 – 일본과 관련이 있는 가야 고분 등 그 외에 삼포왜란, 임진왜란 < 찾는 방법 > 1. 인터넷에서 ‘한국사 데이터 베이스’를 쳐서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에 들어간다. 2. 검색에서 ‘왜’ ‘왜구’ ‘일본’ 중 하나와 함께 지역명칭, 예를 들면 ‘전주’ ‘부산’ ‘목포’ 등과 같이 자기 고장이나 관심 지역을 써넣어서 관련 사료를 읽어본다. 3.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에서 ‘왜구, 부산’을 치면 총 108건이 뜹니다. 그 기사를 읽어보고 ‘부산포’(현재의 증산 부근)에 가서 사진을 찍고 관련 내용을 쓴다. 또 ‘왜구, 남해’를 검색창에 쓰면 총 32건이 나오는데 그 기사를 읽어보고 남해도의 미조항 등에 가서 사진을 찍고 관련 내용을 쓴다. 이런 방식으로 ‘왜구, 전주’ 또는 ‘왜구, 광주’ ‘왜, 마산’ ‘왜, 한양’ ‘왜, 강화도’ 등 얼마든지 검색이 가능합니다. <참고사항> 1.각 스터디, 또는 학생회, 친구, 친지 등 단체로 답사해도 무방하나 각 보고서의 내용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어야 함. 2.사진은 각 지역별 1장으로 제한하며 용량을 최저 사이즈로 하여 첨부 할 것. 3.참고도서「잊혀진 전쟁 왜구」이영 저/ 에피스테메/ 2007년 4.추후 이영 교수의 일정 여하에 따라, 학생들과 함께 특정 지역에 답사를 갈수도 있으나 답사에 참가한다고 해서 반드시 과제물 점수가 잘 나온다는 보장은 일체 없으니 참고하길 바람. 과제물 점수는 학생들의 과제물 수준에 따라 각각 다르게 평가한다는 사실을 명심하길 바람. 5.오히려 잘 알려지지 않은 자기 고장의 사적지를 발굴하는 학생에게 높은 점수를 부여함 6.인터넷에 실려 있는 사진이나 관련 글을 그대로 복사, 전재 했을 경우에는 무조건 0점 처리 함. 7.과제물 제출 분량은 A4용지 총10page. 이상임. |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