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17개
-
공중위생관리법 및 식품위생법 과제, 보고서, 레포트 A+2025.01.041. 공중위생관리법 공중위생관리법은 공중이 이용하는 영업과 시설의 위생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공중위생영업의 신고 및 폐업신고, 공중위생영업자의 위생관리의무, 이용사 및 미용사의 면허, 공중위생감시원 운영, 공중위생영업자단체 설립 등이 있습니다. 2. 식품위생법 식품위생법은 식품으로 인한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식품영양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며 식품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위해식품 판매 금지,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식품...2025.01.04
-
식품위생학 - 위생지표, 미생물 세균성 식중독2025.05.091. 위생/오염지표 미생물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에서 유래한 세균 중 분변과 같이 외부로 배출된 후에 증식하지 않고 장기간 생존만 하는 세균을 위생/오염지표 미생물이라고 한다. 이들은 식품의 제조, 가공, 조리, 저장 등의 과정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수산물, 축산물, 농산물 등이 위생적으로 안전한 환경에서 생산되었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표적인 위생/오염지표 미생물로는 대장균군, 대장균, 장알균 등이 있다. 2. 식중독 식중독은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매개로 하여 발생되는 질병으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원충류 등 뿐만 아...2025.05.09
-
식품위생학 위해물질의 저감화2025.05.071. 위해물질의 저감화 안전한 식품을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에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식품으로부터 위해물질을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세척방법으로 효율이 높으나 미생물, 화학물질 등 미세하거나 부착성이 강한 물질은 단순 세척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위해물질 저감화 조치가 필요하다. 위해물질 저감화 조치의 다양한 방법에는 생물학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 화학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 물리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이 있다. 2. 세척 세척제는 살균이 아니라 단순히 위해...2025.05.07
-
식품위생학 - 독소형 식중독, 곰팡이성 식중독2025.05.091. 독소형 식중독 독소형 식중독에는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늄(Clostridium botulinum),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등이 있다. 이들 균은 식품에서 독소를 생성하여 식중독을 유발하며, 증상, 발생현황, 원인식품, 예방법 등이 각각 다르다. 2. 바이러스성 식중독 바이러스성 식중독에는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로타바이러스(Rotavirus), 아데노바이러스(Adenov...2025.05.09
-
인수공통 전염병 특성 및 그 종류에 따른 식품위생사고 사례조사2025.01.221. 인수공통 전염병의 의미 인간과 동물 간 전파가 가능한 형태의 전염병을 의미하는 인수공통 전염병은 생태학적으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 위생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이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인수공통 전염병의 특성 인수공통 전염병은 병원체를 가진 동물과 인간 간의 접촉으로 발발하기 때문에 최초에는 특정한 지역에서의 풍토병(Endemic)으로 등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병원체의 특성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3. 인수공통 전염병의 종류와 식품위생사고 역사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의 사...2025.01.22
-
결시추가 식품영양4 식품위생학 HACCP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선행요건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HACCP의 선행요건 프로그램 HACCP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위생관리기준인 SSOP(위생표준 운영절차)와 GMP(우수제조기준)를 충족시켜야 한다. 선행요건 프로그램에는 각 분야별 개별 관리기준서가 작성되어야 하며, 운영자는 이를 작업장에 적용하고 효과를 평가하여 부족한 점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2. HACCP의 7원칙 12단계 HACCP은 준비단계 5절차와 HACCP의 7원칙을 포함한 총 12단계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준비단계에서는 HACCP팀 구성, 제품설명서 작성, 용도 확인, 공정흐름도 작성 및 현장 확...2025.01.26
-
식품위생학 세균성 식중독 사고와 관련하여 최근 10년 이내에 보도된 뉴스 기사2025.04.291. 세균성 식중독 사고 최근 10년 이내에 보도된 뉴스 기사에 따르면,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A김밥전문점 2개의 지점에서 발생된 식중독 사고의 원인은 살모넬라균으로 확인되었다. 살모넬라균은 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소화관에 서식하며, 감염 시 위장염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감염경로는 덜 익힌 닭고기, 달걀,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섭취 및 오염된 식재료 취급 시 교차오염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확산 방지 및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식재료 관리, 조리 시 주의사항, 조리 후 관리 등 전반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2025.04.29
-
(식품위생학) 최근 5년 이내에 일어난 세균성 식중독균 관련 사고 한 건을 선정하여 다음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261. 세균성 식중독균 사고 뉴스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건을 보도한 곳은 YTN이며, 보도 날짜는 2023년 11월 29일이다. 기사 제목은 "[단독] 어린이집에 단체 식중독 증세...살모넬라균 검출"이며, URL은 "https://www.ytn.co.kr/_ln/0103_202311291647204116"이다. 2. 세균성 식중독균의 종류와 특징, 감염증상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성 식중독균에는 감염형, 독소형, 독소감염형 3가지 유형이 있다. 감염형에는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비브리오, 캠필로박터 제주니, 리스테리아 모노...2025.01.26
-
식품위생학-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정의, 특징, 감염경로 및 기작 등)2025.01.201.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그람양성 구균으로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균이며 포자, 편모, 협막이 없는 균이다. 황색 색소를 생산하고 혈장응고효소(coagulase) 양성이며 용혈작용이 있다. 탄수화물(과당, 젖당 등)을 발효하여 산과 젖산을 형성하지만 가스 생성능은 없다. 내열성과 내염성이 있어 거의 모든 식품에서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최적 온도는 35~38°C, 최적 pH는 7.0~7.5이며 이 조건에서 가장 많은 장독소를 생성한다....2025.01.20
-
식품 이물질에 대한 심각성과 개선 방안2025.05.131. 배달음식 이물질 신고 증가 최근 코로나 장기화로 배달음식이 증가함에 따라 식품 이물질에 대한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배달음식 플랫폼으로 주문한 음식에 이물질이 섞여 있다는 신고가 최근 3년간 3.5배 급증했다. 배달음식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아졌지만 정부는 제대로 감시하지 않았다. 2. 배달음식 시장 확대와 식품위생 단속 인력 부족 배달음식 플랫폼 시장이 두 배 넘게 성장하는 동안 단속 인원은 사실상 제자리였다. 특히 서울은 감시원 수가 2019년 377명에서 올해 334명으로 되레 43명 줄었다. 식품위생...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