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0개
-
아주대 재료공학실험1 금속재료의 미세조직 관찰 보고서2025.01.181. 미세조직 미세조직이란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정립 크기 및 형태, 결함 유무, 상분포, 분포 형상, 편석의 형태에 대한 이미지이다. 재료의 성질이나 특성은 그 재료의 내부조직과 관계가 있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금속재료의 조직은 돌담 모양을 한 결정립의 집합체로 결정립의 집합상태와 격자결함의 양, 상태 등에 따라 금속의 기계적, 물리적, 전기적 물성에 영향을 끼친다. 2. S45C S45C는 탄소의 함량이 약 0.45wt%인 탄소강을 의미한다. Fe-C System에서 eutectoid point(0.76%C)를...2025.01.18
-
재료공학기초실험_광학현미경_저탄소강미세구조관찰2025.05.081. Etching Etching은 화학조성, 응력, 결정구조 등에 따라 방법이 다른데 본 실험에서 사용한 Etching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화학부식 방법인 Nital을 사용하였다. Etching은 그 금속표면을 부식을 시킴으로서 입자의 관찰이 용이하게 해준다. 광학 현미경으로 시편을 관찰 한다고 할때 광학 현미경은 반사방식에 의해 조작된다. 나타난 영상에서의 명암은 미세구조의 여러 구역에서의 반사도 차이에 의한 결과이다. 이 미세구조는 적당한 화학 시약을 이용한 표면처리인 etching 에 의해 관찰된다. 만약 시편을 준비할 때...2025.05.08
-
재료의 전기화학적 성질, 미세구조 및 열적 특성 분석2025.05.161. 광학 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및 분석 광학 현미경은 볼록렌즈를 통해 시료의 상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polishing과 etching 과정을 거쳐 시료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Al-Ni 합금의 미세구조를 200배율로 관찰하였지만, 배율이 낮아 lamella 구조를 관찰하기 어려웠고 초점 및 대비가 좋지 않았습니다. 2.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관찰 및 분석 주사 전자 현미경(SEM)은 진공 중에서 시료 표면을 전자선으로 주사하여 미세조직과 형상을 관찰할 수 있는 장치...2025.05.16
-
인하대학교 / 기계공학실험A_금속재료_결과보고서2025.05.061. Fe-Fe3C 평형상태도 탄소 동소체는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시멘타이트)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다른 종류의 금속을 형성하므로 중요성이 있다. 페라이트는 비교적 무르고 연성이 있으며 상온에서 768℃까지 자성을 띤다. 오스테나이트는 강의 열처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페라이트보다 치밀하고, 단상 FCC 구조로 인해 고온에서의 연성이 높아 성형성이 우수하다. 시멘타이트는 매우 단단하고 취성이 높으며 강의 성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2. 열처리의 종류 풀림, 불림, 담금, 뜨임, 항온열처리, ...2025.05.06
-
냉매에 따른 Fe-C 시편의 결정크기 및 경도 비교2025.11.161. 열처리 및 냉각속도 Fe-C 시편(0.4wt%C)을 900℃에서 1시간 열처리하면 오스테나이트 철로 변태하고, 냉각속도에 따라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등으로 변태한다. 냉각속도가 빠른 순서는 소금물, 소주, 얼음물, 기름, 공기 중 냉각이며,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경도가 높아지고 결정립이 작아진다. 실험 결과 공냉과 기름 열처리는 느린 냉각으로 결정립이 크고 경도가 낮으며, 얼음물과 소금물은 빠른 냉각으로 결정립이 작고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2. 금속 시편 준비 및 폴리싱 Fe-C 시편의 표면은 열간 압연 공정에서...2025.11.16
-
STS 304, S45C, AZ91HP의 미세조직 관찰 실험2025.11.161. 스테인리스강(STS 304) STS 304는 Fe-base에 18Cr-8Ni 성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입니다. 크롬 12% 이상 함유로 표면에 Cr2O2 피막이 형성되어 우수한 내식성을 가집니다. 상온에서 등축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직을 나타내며, 결정립계에 M23C6형 탄화물이 석출됩니다. 내식성, 내열성, 저온강도가 우수하고 열처리로 경화되지 않으며 자성이 없습니다. 주방기구, 화학설비, 배관, 전자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2. 탄소강(S45C) S45C는 Fe-base에 0.45% 탄소를 함유...2025.11.16
-
SM45C 강재의 열처리 방법에 따른 충격흡수에너지 비교2025.11.151. 충격시험(Impact Test) Pendulum을 이용한 충격시험기에서 시편의 v-notch 부분에 충격을 가하여 시편이 흡수하는 에너지를 측정하는 실험 방법. 시편의 인성과 취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충격시험기의 에너지 손실을 먼저 측정한 후 시편 충격 시 측정값에서 이를 차감하여 실제 충격흡수에너지를 계산한다. 2. 열처리(Heat Treatment) - Normalizing과 Quenching SM45C 강재에 적용된 두 가지 열처리 방법. Normalizing은 재료를 가열 후 공냉하는 방법으로 연성을 증가시키고,...2025.11.15
-
금속 조직 및 경도 실험2025.11.141. 열처리 공정 열처리는 금속재료의 특성을 개량하기 위해 가열 또는 냉각을 적당한 속도로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주요 열처리 방법으로는 담금질(퀜칭), 뜨임(템퍼링), 풀림(어닐링), 불림(노멀라이징)이 있습니다. 담금질은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 후 물이나 기름에 급격하게 냉각시켜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 변태시키는 방법이며, 뜨임은 퀜칭으로 형성된 불안정한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인성을 개선합니다. 풀림은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고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불림은 강을 표준상태로 만들어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킵니다. 2. 금속 조직 및 상태도 금속 ...2025.11.14
-
SAC305 솔더의 냉각속도에 따른 미시조직 분석2025.11.161. 솔더(Solder) 미시조직 분석 반도체 제작에 사용되는 SAC305 솔더의 미시조직을 광학현미경(OM)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실험이다. 시편 제작, 연마, 부식 과정을 거쳐 미시조직을 관찰하고, Linear Intercept Method를 사용하여 평균 결정립 크기를 측정한다. 냉각속도가 느린 경우 평균 입자 크기는 1750.01μm, 빠른 경우 640.457μm로 측정되었다. 2. 냉각속도와 결정립 성장 SAC305 솔더의 냉각속도에 따라 결정립 크기가 달라지는 이유는 액체 상태 지속 시간의 차이 때문이다. 냉각속도가 낮으면...2025.11.16
-
금속조직학 및 미세조직 관찰2025.01.151. 마운팅 마운팅은 시편의 가장자리 및 표면을 보호하고, 다공성 재질의 기공을 채우며, 시편을 다루기 쉬운 일정한 크기로 만드는 과정이다. 핫마운팅과 콜드마운팅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시편 표면의 그리스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시편과 수지 사이의 접착력을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2. 그라인딩 & 폴리싱 그라인딩은 절단작업에서 발생된 손상을 제거하기 위한 중요한 시편 준비 작업으로, 웨트 그라인딩을 이용하여 열 발생을 최소화하고 페이퍼의 수명을 연장한다. 폴리싱은 고반사도, 스크래치 제거, 시편의 편평도를 유지하기 위해 ...202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