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개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4 동흡진기(Dynamic Absorber)를 이용한 진동 제어 실험 A+ 자료2025.04.261. 동흡진기(Dynamic Absorber) 동흡진기는 주진동계에 2차 진동계를 결합시켜 주진동계의 과도한 진동을 흡수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동흡진기의 원리와 설계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로 동흡진기를 적용하여 주진동계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동흡진기의 위치에 따른 진동 흡수 차이와 오차 발생 원인 등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2. 진동 제어 이번 실험에서는 동흡진기를 이용하여 주진동계의 공진 현상으로 인한 과도한 진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동흡진기는 주...2025.04.26
-
아주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동역학 및 자동제어 만점 결과보고서2025.01.221. 모터의 정의와 구동 원리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솔레노이드 내부에 균일하면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통해 자기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을 만들 수 있다. 모터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DC 모터와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AC 모터로 나눌 수 있다. 2. 모터의 용도에 따른 제어 방식 모터의 용도에 따른 제어방식은 속도제어, 위치제어, 토크제어가 있다. 속도제어는 회전하는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고, 위치제어는 각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며, 토크제어는 ...2025.01.22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12 PID 모터 위치 제어 A+ 자료2025.04.261. 제어기의 동작 원리와 종류 제어기의 목적은 제어를 하고자 하는 시스템(Process)의 출력값(Output)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Setpoint)과 일치시키는 것이다. 출력 값과 원하는 값의 차이가 오차(Error)가 되며, 이것에 Gain을 곱한 후 다시 시스템에 인가하게 되면, 오차가 0이 될 때까지 제어기가 동작하게 된다. P 제어기, I 제어기, D 제어기 등 다양한 제어 방식이 있다. 2. 모터의 구동 방법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와 인코더를 Motor Shield에 연결해주어야 한다. 모터 구동선(A+, A-),...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11 PWM 모터 구동 A+ 자료2025.04.261. PWM 모터 구동 원리 Pulse-width modulation (PWM)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구동부를 제어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모터와 같은 기계 부품부터 LED와 같은 아날로그 전기소자까지 많은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구동을 위해서는 이상적으로 아날로그 전기소자를 이용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해내는 것이 복잡한 회로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고속의 디지털 신호의 Duty Cycle을 조정하는 것을 통해 실제로 적용되는 전력의 양을 조정하게 됩니다. 2. PWM 모터의 구동 ...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1 진동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영역 해석 A+ 자료2025.04.261. Fourier Series Fourier Series는 모든 주기 함수를 일련의 sine, cosine 함수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가 주파수 영역에서는 어떻게 해석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Fourier Integral Fourier Integral은 Fourier Series에서 주기가 점점 길어져 무한대로 늘어나게 되면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간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다가 극한에 이르러 연속함수가 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3. Fourier Transform Fou...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8 BPF 주파수 응답 특성 파악 A+ 자료2025.04.261. Band Pass Filter (BPF) Band Pass Filter (BPF)는 들어오는 신호에서 주파수의 중간 주파수 대역만 통과하게 하는 필터입니다. BPF는 HPF와 LPF 두 개가 합쳐져 구성됩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BPF를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에서 얻은 입력과 출력 신호 데이터로부터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 Gain Graph 실험으로 측정된 Gain Graph를 그리기 위해 입력과 출력의 진폭 비를 데시벨(dB)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주파수 값에 ...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6 Frequency Response Function 을 통한 외팔보의 고유 진동 모우드 측정 A+ 자료2025.04.261. 외팔보의 고유 진동 모우드 측정 실험을 통해 외팔보의 고유 진동수, 고유 진동 모우드, 감쇠비 등의 진동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주파수 응답 함수(FRF)를 이용하여 1차, 2차, 3차 고유 진동 모우드를 구하였으며,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들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외팔보의 고유 진동 모우드 측정 외팔보의 고유 진동 모우드 측정은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구조물의 진동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물의 설계 및 안전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외...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3 Auto-correlation 과 Spectral density A+ 자료2025.04.261. Random Signal 불규칙 신호(random signal)는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불규칙 신호는 통계적인 방법으로만 그 특성을 묘사할 수 있다. 진동 해석에 있어서 불규칙성은 동일한 방법, 동일한 환경에서 수행한 실험 결과가 각각 다른 응답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답 x(t)는 하나의 신호로써가 아닌 동일한 조건에서 얻어지는 time history들의 일련의 집합(ensemble)으로써 고려하여야 한다. 2. Stationarity 불규칙 신호에 있어서 stationar...2025.04.26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5 외팔보의 고유 진동수 측정 및 스트로보스코프를 이용한 고유 진동 모우드의 가시화 A+ 자료2025.04.261. 외팔보의 고유 진동수 외팔보의 고유 진동수와 고유 진동 모우드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구해 보고, 실험 결과와 비교한다. 그리고 연속계에 대한 고유 진동수와 진동 모우드를 이해한다. 2. 외팔보의 수학적 모델링 굽힘 강성을 갖고 있는 외팔보의 굽힘 진동은 4 차 편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양단에 서 각각 2 개씩의 경계치가 주어진다. 여기서는 이러한 경계치의 문제를 유도하고, 그 경계 조건에 대하여 외팔보의 진동을 논의한다. 3. 단순보 이론 단순보란 미소 입자의 수직 변위에 비해서 회전량이 무시할 만하고 전단력에 의한 변형이 굽...2025.04.26
-
Matlab/Simulink 기반 ADAS 설계 및 응용실험(A+)2025.01.291. 피드백 제어와 PID 제어이론 피드백 제어는 제어 대상의 출력을 측정해 원하는 설정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통해 제어에 필요한 입력값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PID 제어는 비례항(P), 적분항(I), 미분항(D)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이득값(게인)을 조절하여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SCC(Smart Cruise Control) SCC는 기존의 Cruise Control 기능에 앞 차량과의 상대거리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와 차간 간격을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SCC 제어기는 앞 차량...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