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87개
-
[A+]floyd 회로이론 예비레포트_ 5 직류회로와 전력2025.05.131. 소비전력 물리학에서 에너지(energy), 다시 말해 일(work)의 단위는 줄(joule)이다. 1줄은 뉴턴(newton) 의 무게(약 102그램)를 1미터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같다. 전기회로에서 전압은 1쿨 롱의 양전하를 전기적 위치(전위)가 높은 곳으로 옮기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같다. 반대로 전위 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이면 양전하는 자기가 가진 에너지를 밖으로 내놓게 된다. 전류가 저항을 통해 흐르면서 전하는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내놓는다. 이 에너지는 저항에서 열 로 바뀌어 소비된다. 소비전력은...2025.05.13
-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01 저항 예비보고서 <작성자 학점 A+>2025.04.281. 저항 이 실험의 목적은 다양한 저항에 대해 익숙해지는 것이다. 특히, 일반적으로 실험에서 쓰는 저항은 컬러코드를 통해 저항값을 알 수 있는데 저항의 컬러코드를 보고 바로 저항값을 떠올리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이 실험을 통해 컬러코드로 저항값을 읽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실험은 멀티미터에 익숙해지기 위함이기도 하다. 저항은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는 부품을 말하며, 옴(Ω)을 단위로 사용한다. 저항의 저항값은 원재료의 저항률과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저항이라고 많이 부르지만 정확한 용어는 저항기이다. 옴의 ...2025.04.28
-
물리학및실험 휘스톤 브릿지 예비+결과레포트2025.05.041. 휘스톤 브릿지 휘스톤 브릿지는 저항 R1, R2, Rk와 Rx를 연결하고, 점 a와 b사이를 검류계 G로 연결하여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알아볼 수 있게 한 장치입니다. 이 브릿지는 R1, R2 및 Rk를 조절하여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영점법을 사용합니다. 검류계의 지침이 0이 되면 a와 b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등전위점이 되며, Ik*Rk = I1*R1 및 Ix*Rx = I2*R2가 성립됩니다. 이를 통해 Rx = Rk * (R2/R1)의 식으로 미지의 저항 Rx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슬라이드 가변저...2025.05.04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2025.05.12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저항(10 kΩ, 1/4, W, 5%, 30 개)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평균값과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병렬 연결된 저항의 표준편차가 감소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 2. 가변저항 가변저항의 구조와 단자 사이의 저항 변화 특성을 설명하였다. 3. 4-wire 저항 측정 4-wire 저항 측정 방식의 원리와 장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전선 길이가 변하면 저항이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였다. 4. 전압 측정 DMM을 사용하여 6 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전압을...2025.05.12
-
기초전자공학 - 전기회로의 기초실습22025.01.041. 저항기의 컬러 판독 실험을 통해 저항기의 컬러 코드와 실제 측정값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오차 범위 내에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저항기의 컬러 코드 판독 방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기 가변 저항기의 단자 간 저항 변화를 측정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R12는 증가하고 R23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13은 손잡이 위치와 관계없이 일정함을 알 수 있었다. 3. CDS 셀의 저항 측정 CDS 셀의 저항을 밝은 환경과 어두운 환경에서 측정하여, 빛에 따른 저항 변화를 확인하였다. 어두운 환경에서 ...2025.01.04
-
[기초전자실험 with pspice] 01 저항 결과보고서 <작성자 학점 A+>2025.04.281. 저항 실험 실험에 사용한 장비 및 부품은 파워 서플라이, 멀티미터, 고정 저항 6개(1KΩ, 4.7KΩ, 15KΩ, 33KΩ, 100KΩ, 470KΩ), 가변 저항 1개(3KΩ)였다. 고정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 이론적인 1%의 오차 범위를 넘는 저항들이 있었다. 이는 저항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변 저항 측정 실험에서도 오차가 발생했는데, 이는 멀티미터의 오차와 측정 시 손이 프로브에 닿은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실험을 통해 저항의 컬러코드 읽는 법을 익힐 수 있었다. 1. 저항 실험 ...2025.04.28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4. Thevenin 등가회로 설계2025.05.031. Thevenin 등가회로 이번 실습에서는 기존의 복잡한 회로를 Thevenin 등가회로로 대체하고, 얼마나 근접하게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Thevenin 등가회로는 기존의 회로에 거의 유사하게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변저항을 이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차율이 적게 계산되어 전체적으로 설계 실습 계획서를 바탕으로 실험이 잘 진행되었다고생각한다. 그러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성할 때 등가저항으로 3핀 가변저항을 이용하였는데, 3핀 가변저항은 저항 내 축을 직접 돌려 저항값을 ...2025.05.03
-
응용물리회로실험 - OP amp circuit2025.05.071. 비반전 증폭기 회로 첫번째 실험은 그림 5의 a)와 같은 비반전 증폭기 회로를 구성하고 Vin에서 전압과 Vout에서 전압을 관찰하는 실험이다. Vin과 Vout의 측정값은 +Vs의 값과 거의 동일하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반전 증폭기 회로 두번째 실험은 그림 5의 b)와 같은 반전 증폭기 회로를 구성하고 Vin에서 전압과 Vout에서 전압을 관찰하는 실험이다. Vin의 측정값은 거의 0에 가까운 전압이 측정되었고, Vout는 약 -6.8V가 측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가변 저항을 이용한 반전 증폭기 회로...2025.05.07
-
전기회로설계실습 7장 결과보고서2025.01.201. RC회로의 시정수 측정 이번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RC회로를 구성하여 커패시터가 전압을 충,방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아보고 Function generator의 파형을 다르게 하여 커패시터와 저항에 걸리는 전압파형을 관찰하며 커패시터의 전압 충전과 방전 과정을 Oscilloscope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커패시터의 역할, 원리, 주기에 따라 RC회로의 응답이 바뀌는 과정을 배웠다. 2.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에 걸리는 전압 1.542V를 통해 계산했을 때, DMM의 내부저항은 10...2025.01.20
-
Floyd의 기초회로실험 5장 직류회로의 전력2025.01.191. 직류회로의 전력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측정하고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저항값을 변경하면서 전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가변저항을 증가시키면서 전력을 측정한 결과, 특정 구간에서 최대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부하저항과 소스저항이 같은 2.7kΩ에서 최대 전력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실제로는 3.0kΩ에서 최대 전력이 발생하였다. 1. 직류회로의 전력 측정 직류회로에서 전력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전압과 전류를 정확히 측정하여 회로의 전력 소비를 파악할 수 있기...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