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6개
-
아미노산의 구조와 종류 및 특징2025.11.121. 아미노산의 구조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기본 구성 단위로 아미노기(-NH₂), 카르복실기(-COOH), 수소원자(H), R기로 구성된다. 화학식은 NH2CHRnCOOH이며 아미노기가 결합한 탄소의 위치에 따라 α-아미노산, β-아미노산, γ-아미노산으로 분류된다. 천연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글리신을 제외하고 비대칭탄소원자를 가지며 D-형과 L-형의 광학 이성성체가 존재한다. 아미노산은 양쪽성 물질로 알칼리 첨가 시 수소이온을 잃고 산 첨가 시 수소이온을 포착하여 완충작용을 가진다. 2. 산성 아미노산 산성 아미노산은 아스파르...2025.11.12
-
임상화학 총론, 탄수화물, 단백질 한눈에 보기 (정리)2025.01.021. 임상화학 총론 임상화학 검사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구와 방법, 검체 관리, 정도관리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피펫, 원심분리기, 진공채혈관, 완충용액, 생리적 변동 오류, 검체 관련 오류 등에 대해 정리하고 있습니다. 2. 탄수화물 탄수화물의 종류와 특성, 대사 과정인 해당, 글리코젠 합성 및 분해, 당신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의 구조와 특성, 그리고 이와 관련된 검사 방법 등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3. 단백질 단백질의 기준범위, 측정 방법(뷰렛법, 자외부법, 켈달법 등), 알부민 측정법...2025.01.02
-
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검정2025.05.131.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는 작은 구성인자의 중합체이며, 1차 구조, 2차 구조, 3차 구조, 4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백질은 효소, 호르몬, 항체, 수송 단백질, 수용체 단백질, 운동 단백질, 구조 단백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단백질은 pH, 염의 농도, 온도 등의 변화에 의해 변성될 수 있다. 2.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 분리 전기영동은 전기적 힘을 이용하여 단백질과 같은 큰 분자들을 gel에서 이동시켜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기술이다. SDS-PAGE는 SDS와 polyacrylamide를 이...2025.05.13
-
DNA 전기영동 실험 예비 보고서2025.01.031. DNA DNA는 deoxyribonucleic acid의 약자로, 핵산을 구성하는 기본 구조인 리보스의 2번 탄소에서 산소 원자 하나가 제거된 형태의 핵산을 의미한다. DNA는 여러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연결되어 있는 폴리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이중 나선 가닥 형태이다. 생명체의 DNA는 보통 유전 정보를 보관하는 데에 이용된다. 2.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기장 내에서 용액 속의 펩타이드, DNA, RNA, 단백질 등의 하전된 물질들이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해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때 하전된 물질의 전하량이나 크기, 모양,...2025.01.03
-
[생화학실험] A+, 동물세포 배양 및 세포계수2025.01.031. 효소 반응 및 활성 이 실험에서는 효소인 트립신을 이용하여 우유의 주요 단백질인 카제인을 분해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온도에 따른 트립신의 활성을 확인하였는데, 0°C에서는 거의 활성이 없었고 37°C와 65°C에서는 카제인이 분해되어 우유의 투명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효소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온도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2. 단백질 분해 효소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트립신은 단백질을 펩티드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트립신은 아르기닌, 리신 등의 C말단 펩티드 결합을 절단하는 엔도펩티다아...2025.01.03
-
Human Reproductive Biology 정리노트 Ch01 The Brain and Pituitary Gland [뇌와 뇌하수체]2025.01.181. 내분비계 시스템 내분비계는 외분비계와 구분되며, 인접한 조직 공간에 호르몬을 분비하고 혈류를 통해 전달하는 장거리 신호전달 시스템입니다. 내분비샘과 그 분비에 대한 연구, 측분비 현상도 포함됩니다. 2. 호르몬과 수용체 호르몬은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펩타이드, 아미노산 유도체, 지방산 유도체,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조직의 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신호전달을 개시합니다. 3. 뇌와 뇌하수체의 역할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는 생식 기능을 조절하는 주요 내분비선입니다. 시상하부에서 분비되...2025.01.18
-
수분의 영양소 대사에서의 필수적 역할2025.11.161. 수분과 탄수화물의 상호작용 수분은 탄수화물 대사에서 중추적 역할을 합니다. 탄수화물은 소화 과정에서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에너지로 변환되는데, 이 과정에서 수분은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물은 탄수화물이 소화관을 통해 이동하고 효소의 활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글리코겐의 합성과 혈당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 저장, 혈당 조절에 있어 필수적이며 건강한 대사 활동을 위해 필요합니다. 2. 수분의 단백질 대사 역할 수분은 단백질의 소화 및 신체 조직 ...2025.11.16
-
식품생화학 대사의 통합2025.05.071. 호르몬 호르몬은 내분비선이나 세포에서 분비되고 혈액을 통해 작용대상이 되는 세포로 이동하여 호르몬의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생체 조절 기능(몸의 항상성 유지)을 하는 물질이다. 호르몬은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아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호르몬의 작용은 매우 정교한 조절 시스템이 관여하는데 특히 시상하부, 뇌하수체, 특수한 내분비선에는 더 정교한 시스템이 작용하게 된다. 2. 신호전달 호르몬은 특정한 수용체에 도달하면 세포 안에서 연쇄적인 여러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호르몬이 수용체에...2025.05.07
-
A+ 생화학실험 <13주차. His6-tagged Protein Purification> 레포트2025.01.201. 단백질 정제 단백질 정제(Protein Purification)는 생물학적 연구 및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단백질을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고 정제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여러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에서는 단백질의 용해도, 크기, 전하, 결합 친화도 등의 단백질 간 서로 다른 특성을 활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한다. 첫 번째 단계는 세포 용해(Cell Lysis)로, 세포벽을 파괴하여 세포 내의 단백질을 방출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affinity chromatography이다. 이 방법은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를 ...2025.01.20
-
일상생활 속 작동하는 신경화학물질과 실천방법2025.05.081. 신경전달물질 신경의 신호 전달은 전기적 신호나 신경화학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의 세포체에서 생성되어 축삭말단의 시냅스 전 세포에 위치하며, 시냅스를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로는 도파민, 엔돌핀, 세로토닌 등이 있습니다. 2. 도파민 도파민은 보상 및 동기부여 시스템과 관련되어 있으며,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와 관련이 깊습니다. 도파민 수준이 낮으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도파민 유지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이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