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3개
-
급성 심근경색 AMI 케이스2025.01.131.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근에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병원입원의 원인 질환이면서 가장 흔한 사망 원인 중의 하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며, 가장 흔한 발생 원리는 관상동맥의 동맥 경화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이다. 2. 증상 가장 흔히 느낄 수 있는 증상은 가슴 통...2025.01.13
-
폐고혈압 환자의 병태생리 및 간호중재2025.11.121. 폐고혈압(PHTN) 폐고혈압은 안정시 25mmHg 이상, 운동시 30mmHg 이상의 폐동맥 압력을 보이는 질환이다. 폐혈관내피세포 손상으로 염증매개물질이 과다 증식하여 혈관벽이 두꺼워지거나 폐모세혈관이 폐쇄되면서 폐동맥 압력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우심실 후부하가 증가하여 우심실 비대가 발생하고, 결국 폐성심으로 우심부전을 초래한다. 진단은 EKG, 심초음파, 혈압 및 중심정맥압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2. 폐렴 및 폐부종(HAP, Pulmonary Edema) T-tube를 통한 인공호흡기 관리 중 그람음성균 감염으로 인한 병...2025.11.12
-
[성인간호학 보고서] 순환장애 대상자 간호 (심장의 구조와 기능, 순환과 전도계, 주요 질환)2025.01.181. 심장의 구조 심장은 종격중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보통 성인의 주먹 정도로 300g 정도이다. 심장의 apex는 횡경막 위에서 앞쪽을 향하며 base는 3번째 늑골에 위치한다. 심장은 1분에 약 72회 박동하는데, 1회 박동에 70ml의 혈액을 내보내 하루에 대략 7000m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또한 심장은 심낭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장측심막과 벽측심막 사이에는 pericardal space가 있어 10-20ml 정도의 심낭액이 흐르는데, 이는 심장 운동 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심장의 구조는 크게 2개의 Atrium...2025.01.18
-
저혈당 문헌고찰과 저혈당쇼크 간호 진단과정 3가지2025.01.161. 저혈당증 저혈당증이란 혈당이 정상인보다 낮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혈당이 50mg/dl 이하일 때를 말한다. 저혈당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혈당 강하제나 인슐린에 있다. 저혈당이 발생하면 뇌와 신경기관에 공급되는 포도당이 부족해지고, 뇌신경계는 에너지 부족을 느끼게 되어 신체의 자율신경계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로 현기증,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해지면 간질 발작과 의식 소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망할 수도 있다. 저혈당증은 방치하였을 경우 단기간에 뇌의 손상을 일으키고 생명을 위협...2025.01.16
-
호흡기계 대상자 간호2025.05.051. 호흡기관의 기능 호흡기관의 주요 기능은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 음식물 전달 통로, 기도 보호, 발성, 호흡 등이다. 코와 부비동은 공기의 이동 통로이자 뇌의 과열 방지 역할을 한다. 인두와 후두는 음식물 전달 통로이며, 후두덮개는 음식물이 기관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성대는 발성 기능을 하고, 기관과 기관지는 호흡 시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섬모운동과 점액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폐포와 모세혈관은 가스 교환을 담당한다. 2. 호흡생리 호흡생리에는 환기, 관류, 기체교환, 폐 순응도, 탄성...2025.05.05
-
[성인간호학] 보건교육안, 당뇨보건교육 계획서 (교육자료 포함, 설문지 포함, A+)2025.05.041. 당뇨병의 정의와 종류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은 상태를 말하며, 우리 몸에서 에너지로 사용되어야 하는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나온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병입니다. 당뇨병에는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이 있으며, 각각 증상과 치료법이 다릅니다. 2.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신체의 작은 혈관들이 손상되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성신증, 당뇨병성망막증, 당뇨병성말초신경병증, 당뇨병성자율신경병증 등이 있습니다. 3. 당뇨병성 말초신경...2025.05.04
-
길랭-바레증후군: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간호2025.11.161. 길랭-바레증후군의 정의 및 특징 길랭-바레증후군은 다양한 수준의 근쇠약과 마비가 특징적인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입니다. 뇌신경과 척수신경의 운동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며칠에서 수주 사이에 급격히 진행하여 완전 마비에 이를 수 있습니다. 약 20%의 환자는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할 정도의 호흡기계 증상을 경험합니다. 남녀 비는 약 2:1이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높아 70~80세에서 호발합니다. 사망률은 약 2~12%입니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길랭-바레증후군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지며(60~70%), 호흡기계 또...2025.11.16
-
실험보고서: 혈류량의 변화2025.05.101. 혈류량 변화 실험을 통해 온도와 팔 위치 변화에 따른 혈류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온도 변화 시 혈관 저항 감소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해지고, 팔을 들어올릴 때 중력의 영향으로 혈액 공급이 어려워져 혈류량 변화가 나타났다. QRS 파형과 맥박 진폭의 변화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심전도와 맥박 심전도의 P파, QRS파, T파는 각각 심방 탈분극, 심실 탈분극, 심실 재분극을 나타낸다. 맥박은 심장 수축에 따른 동맥 팽창과 이완의 변화를 반영한다. 심전도와 맥박 신호의 시간적 차이는 혈액 전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2025.05.10
-
신경계 구조기능 및 일반간호, 신경계 감염성&뇌혈관성&종양&외상질환, 퇴행성&말초신경&경련성질환 파트 요약정리2025.05.051. 신경계 구조와 기능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각 부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뇌는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등의 부위로 나뉘어 각각 다른 기능을 담당한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반사중추와 자율신경계를 조절한다. 말초신경계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 각 부위의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말초로 전달한다. 2. 신경계 감염성 질환 세균성 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염 등의 신경계 감염성...2025.05.05
-
성인간호학 실습 - 심방세동 (A.fib) 케이스2025.05.111. 심방세동의 정의 및 원인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은 부정맥 중 심방에서 발생하는 빈맥(빠른 맥)의 한 형태이다. 이는 심방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부위가 아주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심방수축이 효과적이지 않다. 심방세동의 원인은 다양하며 발생 기전은 아직까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심장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심장 질환 시 볼 수 있다. 2. 심방세동의 병태생리 심방세동의 기전은 크게 두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심방 재형성으로 고혈...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