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02개
-
소독, 순회, 분만직후 신생아 간호사 업무2025.05.051. 소독 간호사 업무 수술 전 환자 맞이하기, 수술 전 준비 확인하기, 수술 전 손 닦기, 소독 가운과 장갑 착용하기, 수술재료 준비, 수술상 차리기, 마취준비물품, 드레싱 거즈 부착과 정리, 자궁경부 opening, 수술부위 모래주머니와 복대적용, 수술에 참여한 순회 간호사와 기구&needle count 확인, 태반과 Biopsy sample 챙기기 2. 순회간호사 업무 수술 package 옮기기, 소독 확인과 Package 펴기, 장갑 세척용 대야 준비, 수술 재료 준비, 소독 액과 생리 식염수 준비, Resuscitator ...2025.05.05
-
조기진통(PTL), 자연분만 실습2025.01.061. 조기진통(PTL) 조기진통은 임신 20~37주 사이에 자궁의 수축과 함께 산모의 자궁경부가 짧아지고, 자궁경부의 확장이 동반된 상태를 말한다. 조기진통은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조산을 발생시키며 합병증으로 인한 주산기 이환율과 사망률은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기진통의 원인으로는 산과적 요인, 내과적 요인, 양수감염, 사회·행동적 요인 등이 있다. 조기진통의 증상으로는 규칙적인 자궁수축과 함께 골반 압박 증상, 생리통과 같은 통증, 하부 허리 통증, 질 분비물 증가, 피가 섞인 점액성 질 분비물 등이 있다. ...2025.01.06
-
자연분만(NSVD) 간호과정2025.11.171. 자연분만의 정의 및 분류 분만은 자궁으로부터 태아가 만출되는 지속적인 과정으로 자연분만과 제왕절개로 나뉜다. 자연분만은 임신 37~42주 사이에 정상적으로 분만하는 것이며,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이다. 자연분만은 진통 시작부터 자궁경부 완전개대까지의 1기, 자궁경부 완전개대부터 태아 만출까지의 2기, 태아 만출 후 태반 배출까지의 3기, 태반 배출 후 1시간까지의 4기로 구분된다. 2. 자연분만의 진행 메커니즘 자연분만의 과정은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의 3가지 보조진행...2025.11.17
-
여성건강간호학 질분만 산후 과정 케이스스터디2025.11.171. 분만 1기 규칙적인 자궁수축에서 자궁경관의 완전개대까지의 과정으로,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 지속적인 자궁 수축으로 경관의 완전개대와 완전거상이 이루어지며 자궁수축의 빈도와 강도는 점차 증가한다. 간호 사정은 산부의 불안감 완화, 진진통 여부 확인, 태아와 산부의 상태 파악을 포함한다. 간호 중재는 입원 간호, 분만 초기 교육, 심리적 접근, 지지적 환경 제공, 신체적 준비, 통증 완화, 호흡법 지도 등을 포함한다. 2. 분만 2기 자궁경관이 완전개대된 이후부터 태아 만출까지의 단계이다. 내진을 통해 완...2025.11.17
-
분만기 산모 교육안2025.05.011. 분만 전 교육 분만의 전구증상, 분만 준비에 대한 내용을 교육한다. 분만 전 하강감, Braxton Hicks 수축, 질분비물 증가, 체중 감소 등의 생리적 특징과 피로, 분만에 대한 불안 등의 심리적 특징을 설명한다. 호흡과 이완 운동, 분만 준비물 준비 등 도움이 되는 활동을 교육한다. 2. 분만 1기 교육 분만 1기의 생리적, 심리적 특징과 도움이 되는 활동을 교육한다. 맥박, 체온, 호흡, 혈압 등의 건강 사정과 자궁수축 사정, 호흡법, 편안한 자세, 배뇨 관리, 지지적 환경 조성 등의 간호중재를 설명한다. 3. 분만 ...2025.05.01
-
자연분만(N/D, Normal Delivery)2025.11.141. 자연분만(Normal Delivery, N/D) 자연분만은 의학적 개입 없이 산모의 자연적인 진통과 수축을 통해 질을 통해 아기를 출산하는 분만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37주 이후 진통이 시작되면 분만이 진행되며, 산모의 골반 크기, 태아의 위치, 산모의 건강 상태 등이 자연분만 가능 여부를 결정합니다. 자연분만은 회복 기간이 짧고 감염 위험이 낮으며 모유 수유 시작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1. 자연분만(Normal Delivery, N/D) 자연분만은 인류가 수천 년 동안 경험해온 출산의 기본 형태로, 여전히 많은 의...2025.11.14
-
여성, 모성 임신성 고혈압과 관련된 비효과적 조직관류 간호과정2025.04.261.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고 단백뇨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는 임부 나이, 만성 고혈압, 과소체중/비만, 영양결핍, 당뇨, 신장질환 등이 있다. 병태생리는 혈관수축, 혈관경련, 혈관손상이 특징이며, 증상으로는 혈압 상승, 체중증가, 단백뇨, 두통, 상복부 통증, 시력장애 등이 나타난다. 진단은 혈압 상승과 단백뇨 유무로 하며, 간호중재로는 체위 변경, 식이 관리, 검사 모니터링, 약물 투여 등이 필요하다. 2. 분만 간호 과정 분만 간호 과정은 분만실 입원 시점,...2025.04.26
-
정상질식분만 모성간호 실습 케이스2025.11.151. 정상분만의 정의 및 요소 정상분만은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이 없이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 분만이 완성되는 것이다. 정상분만의 5가지 요소(5P)는 산도(Passageway), 만출물질(Passenger), 만출력(Powers), 심리적 요인(Psyche), 산부의 자세(Position)로 구성되며, 이들은 분만 과정에서 상호작용하여 안전한 질식분만을 가능하게 한다. 2. 분만의 4단계 및 각 단계별 특징 분만 1기는 규칙적 자궁수축부터 자궁경관 완전개대까지로 초산모 12~14시간, 경산모 7~8시...2025.11.15
-
정상분만 문헌고찰, 간호과정 2개 - 분만진행과 관련된 급성 통증, 제한된 수분섭취와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2025.04.281. 분만 기전 분만은 주로 태아가 성숙해 출생 준비가 갖추어지는 임신 38~42주 사이에 일어나며,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이론, 옥시토신 이론, 태아 내분비조절 이론, 프로스타글란딘 이론, 자궁신전 이론 등 다양한 이론이 있다. 두정위 질식분만의 기전에는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원상회전, 외회전, 만출 등의 단계가 있다. 2. 분만 분만은 분만 1기(개대기), 분만 2기(태아 만출기), 분만 3기(태반 만출기), 분만 4기(회복기)로 나뉜다. 분만 1기에는 자궁경관 개대와 소실, 태포 형성 등이 일어나고, 분만 2...2025.04.28
-
모성간호학 레포트 라마즈 분만법 문헌고찰2025.01.111. 라마즈 분만법 라마즈 분만법은 1950년대 초 프랑스의 베이비붐 시기에 의사 페르낭 라마즈가 산고의 제거와 완화를 위해 만든 분만법으로, 파블로프의 조건반사법에 기본원리를 두었다. 이는 뇌가 훈련을 통해 주어진 자극을 받아들이고 분석하여 반응을 선택하여 나타낼 수 있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라마즈 분만법은 임신 7~8개월부터 교육을 진행하며, 4~5주 과정으로 주 2~3시간씩 남편과 함께 참여한다. 교육에서는 임신 시 생리, 진통, 분만의 과정과 신체 변화 등을 배워 진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연상법, 근육단련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