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37개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2)_휘트스톤브릿지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2025.01.161. 휘트스톤 브리지 이번 실험은 영점법을 사용하는 휘트스톤 브리지 장치를 통해 미지저항의 값을 찾는 실험이었다. 영점법은 휘트스톤 브리지의 저항 R1과 R2를 적당히 조절하여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평형조건을 찾는 것을 말하고, 검류계의 지침이 0이 되는 것은 곧 R1과 R2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미지저항 측정 습동선형 휘트스톤 브리지에서 단위 길이당 저항은 일정하고 각 선분의 저항 R은 그 길이에 비례하므로 R1과 R2의 값을 측정하여 미지저항 Rx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오...2025.01.16
-
일반 물리학 및 실험1 - 측정 연습2025.01.271. 측정 연습 이번 실험에서는 물체의 길이와 두께를 버니어 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운동기록 센서와 자를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결과에 미치는 정도를 계산하였다. 여러 번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는 이유는 불확실성과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운동기록 센서와 자를 이용한 측정 결과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은 이유는 센서 자체의 문제, 측정 방법의 차이, 실험실 환경 등의 요인이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향후 실험에서는 센서 상태 확인, 실험 환경 고려, 디지털 측정 기구 사...2025.01.27
-
고체의 비중 측정2025.11.161. 비중 측정 고체의 비중은 고체의 질량을 같은 부피의 물의 질량으로 나눈 값으로,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비중 측정은 고체 시료의 질량을 정밀 저울로 측정하고, 물 치환법이나 비중병을 이용하여 부피를 결정한 후 계산합니다. 측정 시 온도 변화에 따른 물의 밀도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이 필요합니다. 2. 물의 밀도 보정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정확한 비중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온도에서의 물의 밀도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20°C에서 물의 밀도는 0.99862 g/cm³이며, 18°C에서는 다른 ...2025.11.16
-
저항 색띠 읽기 및 측정 실험2025.11.171. 저항의 색띠 표시법 저항의 값은 색띠로 표시되며, 각 색깔이 특정 숫자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3~4개의 색띠가 사용되며, 마지막 색띠는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금색은 ±5%, 은색은 ±10%의 허용오차를 의미한다. 5개의 색띠를 가진 저항도 있으며, 이 경우 4번째 색띠가 10의 거듭제곱 횟수를 나타내고 5번째 색띠가 허용오차를 나타낸다. 2. 저항 측정 및 오차 분석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저항값을 직접 측정하고, 색띠로 읽은 표시값과 비교한다. 백분율 오차는 (표시값-측정값)/표시값×100%로 계산된다. 실험 결과 모든...2025.11.17
-
전류계 및 전압계 사용법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81. 전류계 및 전압계의 사용법 디지털 멀티미터를 활용하여 직류전압에 따른 각 저항의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저항값 R₀=1kΩ, R₁=R₂=2kΩ으로 설정하여 5V, 6V, 9V, 12V의 직류 전압대에서 전류(I₀, I₁, I₂)와 전압(V₀, V₁, V₂)을 측정하였다.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측정 오차를 분석하고 내부저항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2. 저항의 직렬 및 병렬 연결 병렬 연결된 저항에서는 전류가 저항값에 따라 분배되며, 전체 전류는 각 저항을 통한 전류의 합과 같다. 직렬 연결된 저항에서는 전압이 분배...2025.11.18
-
전압계와 전류계를 이용한 저항 측정2025.11.131. 저항 측정 전압계와 전류계를 이용하여 미지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입니다. 옴의 법칙(V=IR)을 적용하여 전압과 전류의 측정값으로부터 저항값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전자회로 실험에서 기본적인 측정 기술로 사용되며,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기의 내부 저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2. 전압계와 전류계 전압계는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기기로 회로에 병렬로 연결되며, 내부 저항이 매우 큽니다. 전류계는 회로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기기로 직렬로 연결되며, 내부 저항이 매우 작습니다. 두 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2025.11.13
-
[건국대학교 물리학및실험 A+][2024 Ver] 버니어 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 - 결과레포트2025.01.201. 버니어 캘리퍼 버니어 캘리퍼는 물체의 외경, 내경, 깊이 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주척의 눈금을 더 잘게 나눌수록 더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버니어 캘리퍼를 만들 수 있다. 물체의 측정 방법으로는 부척의 눈금과 주척의 눈금이 일치하는 곳을 찾아 주척과 부척의 눈금값을 서로 더해주면 된다. 2. 마이크로미터 마이크로미터는 주로 물체의 미세한 두께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물체의 측정 방법으로는 버니어 캘리퍼와 마찬가지로 슬리브(주척)의 눈금과 심블(부척)의 눈금이 일치하는 곳을 찾아 슬리브와 심블의 눈금값을 서로...2025.01.20
-
3주차 에탄올 밀도 측정 실험2025.01.111. 에탄올 밀도 측정 이 실험은 에탄올의 밀도를 측정하고 비중과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실험에서는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밀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였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의 원인으로는 비중병 및 비이커의 불순물, 시료 양의 정확한 계량 실패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실험 결과,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밀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에탄올 밀도 측정 에탄올 밀도 측정은 에탄올 함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에탄올 함량은 주...2025.01.11
-
중앙대학교 A+ 클리퍼, 클램퍼 결과 보고서2025.01.291. 직렬 클리퍼 직렬 클리퍼는 다이오드가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형태이고, 다이오드의 순 바이어스 구간이 출력으로 나타난다. 바이어스 될 경우 (-)바이어스는 입력전압이 바이어스 전압만큼 감소되어 출력되고, (+) 바이어스는 바이어스 전압만큼 증가하여 출력된다. 2. 병렬 클리퍼 병렬 클리퍼는 저항과 병렬로 연결된 형태이고, 다이오드의 역 바이어스 구간이 출력으로 나타난다. 입력전압의 양의 peak 값을 Vm이라고 할 때 출력전압의 음의 peak값은 -Vm이다. 3. 클램퍼 클램퍼는 입력되는 파형의 형태는 변화시키지 않고 입력 파형...2025.01.29
-
전류계 분류기 및 전압계 배율기 실험2025.11.181. 분류기(Shunt)를 이용한 전류측정 분류기는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본 실험에서는 150Ω, 200Ω, 300Ω의 부하저항을 사용하여 직류 9V 조건에서 전류를 측정했다. 옴의 법칙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할수록 전류값이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했으며, 측정값과 이론값의 차이는 저항의 허용오차와 전원공급기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배율기(Multiplier)를 이용한 전압측정 배율기는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장하는 장치로, 본 실험에서는 가변전압을 2V에서 10V까지 변화시키면서 ...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