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1개
-
우리나라의 고대시가2025.05.091. 고대시가 우리나라의 고대시가에는 고조선 시대의 작품인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를 비롯하여 고구려 유리왕의 작품인 황조가(黃鳥歌), 가야국의 시가인 구지가(龜旨歌), 백제의 시가인 정읍사가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의 작품인 공무도하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시가라고 할 수가 있고요 고구려 유리왕의 작품인 황조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정시입니다. 2. 공무도하가 공무도하가는 중국 후한의 채옹이 펴낸 금조에 채록되어 내려오는 고대가요인데요 백수 광부의 아내가 지었습니다. 진(晋) 나라 최표가 지은 고금주(古今注)라는 책에는 공무도하가와 관련한...2025.05.09
-
고려시대의 한문학2025.01.131. 고려시대 한문학의 특징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한문학이 발전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인 변화와 함께 문학적 활동도 활발했습니다. 고려시대의 한문학은 사직문학, 문인의 독립성 강화, 소설, 시와 가사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직문학은 궁궐에서 활동한 문인들이 지은 문학으로 왕실의 주도 아래 발전했으며, 문인의 독립성 강화로 정치적 표현과 사회 비판을 담은 작품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소설은 '홍길동전'과 같은 작품이 창작되었고, 시와 가사도 다양한 주제로 창작되었습니다. 2. 고려시대 한문학 대표 작품 고려시대 한문학 작품...2025.01.13
-
나계종 연보2025.05.061. 나계종 나계종(羅繼從)은 고려 시대 후기의 충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전리좌랑, 예문관제학 등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공민왕에 대한 절의를 지켜 삼은각에 배향되었으며, 조선 개국 후에도 태조의 부름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한시 85수를 창작하고 성리학을 논한 서간을 저술했으며, 특히 오언 절구와 칠언 율시에 뛰어났다고 평가된다. 그의 저서 『죽헌유집』은 1650년 조선 시대에 간행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2. 고려 시대 문신 나계종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성균관순유박사, 춘추관검열, 사헌부...2025.05.06
-
실크로드와 한반도2025.01.041. 실크로드와 신라의 공예품 실크로드를 통해 신라와 페르시아가 만났으며, 이를 통한 동서양의 문명 교류가 신라의 찬란한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경주에서 발견된 북방 유물과 로마 문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공예품들은 실크로드가 한반도까지 이어졌음을 증명한다. 특히 로만글라스와 유리구슬은 신라와 서역, 로마의 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 실크로드와 신라의 공예품 실크로드는 고대부터 동서양 문화와 상품을 교류하는 중요한 통로였습니다. 신라는 이 실크로드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기술을 접하고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신라의 공예품은 ...2025.01.04
-
신라의 밀교: 역사, 승려, 그리고 신인비법2025.11.141. 신라 밀교의 정의와 분류 밀교는 비밀리에 전해지는 종교적 사상으로 폐쇄적으로 전해지는 신비주의를 가리킵니다. 밀교는 크게 힌두교계 탄트라와 불교계 탄트라로 나뉘어집니다. 신라에 최초로 밀교를 전한 승려는 안홍으로, 진평왕 시기에 중국으로 가서 서역승 세 사람과 중국승려 두 사람을 데리고 귀국하여 황룡사에서 여러 경전을 번역하였습니다. 2. 신라의 주요 밀교 승려 신라의 밀교 승려로는 안홍, 명랑, 혜통, 현초, 의림, 혜일 등이 있습니다. 명랑은 당나라에서 3년 동안 밀교를 공부하고 귀국하여 자신의 집을 금광사로 고쳐 짓고 밀...2025.11.14
-
우리나라의 전통 음악2025.01.271. 우리나라의 전통음악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궁중에서 각종 의례에 쓰였던 아악과 당악, 속악 등을 포함한 정악과 민속음악으로 나뒤어 집니다. 정악과 민속음악으로 구분되며, 유교를 국가경영의 원리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실이 앞장서서 궁중음악을 장려했습니다. 고려때 송나라에서 들여온 아악은 주로 왕실의 의례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제례에서 연주되었습니다. 향악은 당악이 들어오기 이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을 말하며, 민속음악은 민중의 기층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된 음악입니다. 대표적인 민속음악으로는 민요,...2025.01.27
-
동양의 사상2025.01.141. 유교(Confucianism) 유교는 고대 중국에서 발전한 주요 사상으로, 주로 사회적 질서, 윤리, 정치, 가족 및 교육 등에 대한 가르침을 강조합니다. 공자(Confucius)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사대조(四大家)의 한 축인 유학(Confucian scholars)은 중국 사회의 학문적 지식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2. 도교(Taoism) 도교는 중국에서 발전한 다른 주요 사상으로, 주로 '도' 또는 '태'라고 불리는 자연의 힘에 대한 이해와 조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합니다. 도교는 또한 몸과 마음의 내적 평화와 ...2025.01.14
-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2025.01.25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 비교 구석기시대는 인류가 돌과 나무를 이용하여 도구를 만들고, 사냥과 채집을 주요 생활 수단으로 삼았다. 이 시기에는 인류가 움직이며 살아가면서 생활했으며, 주로 동굴이나 특정 지역에 임시 거처를 마련했다. 반면에 신석기시대에는 금속 도구의 등장으로 인해 농경과 축산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류의 생활은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농경과 축산은 더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로써 인구 증가와 함께 마을과 도시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2.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 삼국시대의 ...2025.01.25
-
경주 문화 유산 답사2025.05.071. 대릉원 대릉원은 신라 왕이나 왕비, 고위 귀족들의 거대한 무덤이 모여 있는 곳이다. 대체로 다른 왕들의 무덤보다는 천마총 때문에 잘 알고 있는 곳으로 수학여행이나 외국인들이 자주 오는 곳이다. 천마총 내부는 관광객들이 안에 들어가서 구경 할 수 있도록 잘 되어 있다. 2. 신라 동궁과 월지(안압지) 안압지는 야경으로 아주 유명한 유적지다. 조명은 안압지를 금으로 만든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킬 정도로 아름답다. 하지만 물이 말라 있어 실망감을 받았다. 3. 월성(반월성) 반월성은 신라시대에 궁궁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은 건물 한 ...2025.05.07
-
영일 냉수리신라비, 포항 중성리신라비, 냉수리 고분, 비학산과 법광사지2025.01.061. 영일 냉수리 신라비 영일 냉수리 신라비는 신라 시대에 세워진 비석으로, 사라 훼부 사부지왕과 내지왕 두 왕의 교지로써 진이마촌에 사는 절거리가 재물을 얻은 증거로 삼으라고 하명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 비석은 신라 시대 지배체제와 관등제도, 지방통치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2. 포항 중성리신라비 포항 중성리신라비는 도로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신라 시대 비석으로, 과거에 모단벌의 재물을 다른 사람이 빼앗은 사건에 대해 조사하여 진실을 밝히고 본래의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 비석은 신라 시대 지방통...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