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95개
-
한국어 자음체계와 외국어 자음체계의 특징 비교2025.05.011. 한국어 자음체계 한국어 자음체계는 조음위치와 조음방식에 따라 다양한 자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음은 장애음과 공명음으로 나뉘며, 장애음은 폐쇄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구분됩니다. 한국어 자음체계의 특징으로는 마찰음 계열이 적고, 폐쇄음에서 평음, 격음, 경음의 삼지적 대립이 있다는 점 등이 있습니다. 2. 프랑스어 자음체계 프랑스어 자음체계는 폐쇄음과 협착음으로 크게 나뉩니다. 폐쇄음은 구강폐쇄음과 비강폐쇄음(비음)으로, 협착음은 마찰음, 유음, 전동음으로 세분화됩니다. 프랑스어의 특징은 폐쇄음 발음 시 기식음이 거의 섞이...2025.05.01
-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특성과 발음 교육 방법론2025.11.141. 평음, 경음, 격음의 정의 및 분류 한국어 자음은 기의 세기에 따라 평음, 경음, 격음으로 분류된다. 평음은 구강 내부의 기압이 낮아 약하게 파열되는 자음(ㄱ, ㄷ, ㅂ, ㅅ, ㅈ)이며 예사소리라 한다. 경음은 후두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면서 기식이 거의 없이 내는 자음(ㄲ, ㄸ, ㅃ, ㅆ, ㅉ)으로 된소리라 한다. 격음은 숨이 거세게 나오는 자음(ㅊ, ㅋ, ㅌ, ㅍ)으로 거센소리라 한다. 이는 다른 언어에서 잘 나타나지 않은 한국어의 특징이다. 2. 평음, 경음, 격음의 공통점 평음, 경음, 격음의 공통점은 모두 장애음에 속한...2025.11.14
-
한국어 단모음 체계와 표준발음법 교육2025.11.131. 한국어 음운론의 기초 개념 음운은 말의 뜻을 구분해주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음성학과 음운론은 말소리를 연구대상으로 하지만 음성학은 발음 기관을 통한 물리적 성질에, 음운론은 말소리의 구조와 체계, 기능에 관심을 둔다. 국제음성기호(IPA)는 정밀한 음성 전사를 위해 사용되는 통일된 기호 체계이다. 2. 모음의 분류 기준과 10개 단모음의 IPA 모음은 혀의 높낮이, 혀의 전후 위치, 입술의 모양에 따라 분류된다. 한국어 10개 단모음은 전설모음(ㅣ, ㅔ, ㅐ, ㅟ, ㅚ)과 후설모음(ㅡ, ㅏ, ㅓ, ㅗ, ㅜ)으로 나뉘며, 혀의...2025.11.1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종성(받침소리) 교육 과제(task) 개발 및 활용방안2025.05.161. 종성(받침소리) 교육 과제 개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종성(받침소리) 교육은 중요한 부분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종성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 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의 인기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대사를 활용하여 종성 발음 교육 과제를 만들었다. 단어의 올바른 종성 찾기, 올바른 종성 사용 구분 등의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종성 발음을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2. 종성 발음 교육의 활용방안 개발된 종성 발음 교육 과제는 외...2025.05.16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모음 발음 교육2025.11.171. 한국어 모음 발음 오류 유형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보이는 한국어 모음 발음 오류는 주로 모국어의 음운 체계 간섭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오류 유형으로는 /ㅓ/를 [ㅗ]로 발음하는 오류, /ㅕ/를 [ㅛ]로 발음하는 오류, /ㅓ/와 /ㅡ/의 혼동, /ㅓ/와 /ㅜ/의 혼동, /ㅗ/와 /ㅜ/의 혼동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들은 중국어에 한국어의 정확한 대응음이 없거나, 혀의 높낮이, 입의 개구도, 입술의 원순성 등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2. 발음 교육 방법론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은 여러 방법을 활용합니다. 교...2025.11.17
-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종성(받침소리) 교육 과제(task)를 개발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시오2025.05.151. 한국어의 종성 한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ㄸ, ㅃ, ㅉ/를 제외한 나머지 자음은 모두 종성 위치에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표준발음법의 제8항에서 종성은 [k, n, t, l, m, p, ŋ] 의 일곱 가지 종류로만 발음할 수 있다. 또한 종성에서 원래 음을 발음할 수 없을 경우 /ㄲ,ㅋ/을 [ㄱ]으로 /ㅅ, ㅆ, ㅈ, ㅊ, ㅌ/을 [ㄷ]으로 /ㅍ/을 [ㅂ]으로 발음하며 기타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은 원래 속한 음만 발음할 수 있다. 2. 종성 발음 교육 과제 개발 및 활용 종성 발음 교육의 목적은 성...2025.05.15
-
한국인의 외국어 학습 어려움2025.01.031. 발음 한국어에 없는 발음체계를 학습할 때 한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있다. 성인의 뇌는 모국어 중심으로 언어를 인식하기 때문에 모국어 체계에 없는 발음을 정확하게 구현하기 어렵다. 대표적으로 영어의 [f], [r], [v], [z] 발음이 한국어 발음 체계에 없어 정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또한 독일어의 움라우트 발음도 한국인 학습자에게 큰 어려움을 준다. 2. 단어 한국어와 달리 유럽어에는 단어의 성별 구분이 있다. 명사가 남성, 여성, 중성으로 구분되고 이에 따라 관사와 동사 활용이 달라진다. 이러한 개념이 없는 한국...2025.01.03
-
자음과 모음의 특징 및 분류2025.05.021. 자음의 특징 한국어 자음은 19개의 자음과 2개의 반자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은 첫째,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없는 대신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다. 둘째, 한국어의 평음은 일반적으로 무성음에 가깝게 발음되지만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발음이 된다. 셋째, 한국어의 음절말 자음이 모두 불파음으로 실현된다. 2. 모음의 특징 한국어 모음은 10개의 단모음과 11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모음체계의 특징은 첫째, 모음은 공기가 입 안에서 어떤 장애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둘째, 자...2025.05.02
-
한국어 음운 규칙의 이해와 교육2025.01.061. 한국어의 음운 동화 한국어에서는 단어나 구절을 구성할 때 음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변동이 일어나는데, 이를 음운 규칙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대표적인 음운 규칙 중 하나가 음운 동화이다. 음운 동화는 두 분절음 사이에서 한 소리가 다른 소리의 영향을 받아 영향을 준 소리와 같거나 비슷하게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동화는 자음동화, 모음동화, 자음과 모음 간 동화로 구분되며, 정도에 따라 완전동화와 부분동화로 나뉜다. 또한 방향에 따라 순행동화, 역행동화, 상호동화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동화 규칙으로는 비음동화, 설측음화, 구개음...2025.01.06
-
한국어 모음 분류의 3가지 기준2025.11.171. 모음 분류의 3가지 기준 모음은 자음과 달리 조음 시 특정한 장애가 없으므로 혀의 높이, 혀의 위치, 입술 모양이라는 3가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혀의 높이는 혀의 최고점과 입천장 사이의 거리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구분되며, 혀의 위치는 혀의 최고점이 입의 앞쪽(전설모음), 중간(중설모음), 뒤쪽(후설모음)에 있는지에 따라 분류됩니다. 입술 모양은 입술이 동그랗게 되는 원순모음과 평평하게 되는 평순모음으로 나뉩니다. 2. 한국어 단모음의 분류 표준발음법에 따라 한국어의 단모음은 10개(ㅣ, ㅔ, ㅐ, ㅟ, ㅚ, ㅡ, ...202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