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5개
-
국제간호학 - 항생제 내성 이슈에 관하여2025.01.161. 항생제 내성 이슈 항생제 시대 이후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면서 단순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박테리아들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진화시키기 때문이다. 항생제 내성으로 인해 암 환자, 장기이식 환자 등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어려워지고, 수술이 불가능해지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 항생제 사용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농업에서의 항생제 사용 제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1. 항생제 내성 이슈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2025.01.16
-
[A+ 보장!] 연세대 의대 의예과 1학년 General Biology 실험 레포트 Gram staining2025.01.141. 세포벽의 구조와 기능 세포벽은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세포벽은 서로 다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핵생물역에 속하는 식물계는 셀룰로스로 구성된 세포벽을, 균계는 키틴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가지며, 원핵생물역에 속하는 진정세균계는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가진다. 2. 그람 염색법 그람 염색법은 세포벽의 구조를 기준으로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그람 염색법은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요오드를 이용해 세균 시료를 염색한 다음 알코올로 세척하고...2025.01.14
-
세포 배양법2025.05.141. 세포 배양법 세포 배양은 생물체에서 분리해낸 세포를 체내 환경이 아닌 액체 배지, 고체 배지와 같은 외부 환경에서 키우는 것으로, 의과학과 생물학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술이다. 세포 배양은 목적한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관찰하기 때문에 세포에 따라 온도, pH 등과 같은 적절한 생장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지에는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amino acid, glucose와 같은 영양분이 첨가되며, 때로는 목적한 세포를 제외하고 모두 제거하기 위해 항생물질을 첨가하기도 한다. 2. LB 배지 LB는 Lysoge...2025.05.14
-
Lewin's Essential GENES 분자생물학 4판 정리노트 09. 복제는 세포주기와 연결되어 있다2025.05.101. 세포주기와 복제 세포주기는 G1, S, G2, M 단계로 구성되며, 복제는 S 단계에서 일어난다. 복제는 세포주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세포가 분열하기 위해서는 복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박테리아의 경우 복제 속도를 높이기 위해 multiforked chromosome을 생성할 수 있다. 세포 분열 시 septum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FtsZ 단백질이 필요하다. 또한 MinD, SlmA 등의 단백질이 septum 형성을 조절한다. 유전체 분리를 위해서는 site-specific recombination이 일어나...2025.05.10
-
Motility test와 API kit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2025.11.151. API 20NE Kit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 API 20NE kit는 그람 음성간균의 동정에 사용되는 도구로, 건조된 기질을 함유한 20개의 튜브로 구성된 스트립이다. 세균 부유액을 접종하여 배양하면 생성된 반응 산물에 의해 색이 변화하거나 보조 시약 첨가로 색이 변화하여 결과를 판단한다. NO3에서 PNPG까지는 생화학적 검사로 물질의 대사 유무를 판정하고, GLU에서 PAC까지는 동화 검사로 당 이용 가능 여부를 탁도 변화로 판정한다. 2. Motility Test (운동성 검사) 박테리아의 운동성을 테스트하는 방법으로, ...2025.11.15
-
급성신우신염의 임상적 이해와 간호과정2025.11.161. 급성신우신염(APN)의 정의 및 분류 급성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의 신우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질환이다. 신우신염은 임상증상과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요도에 발생한 감염은 요도염, 방광에 발생한 감염은 방광염이라 한다. 급성신우신염은 박테리아에 의한 요로감염이나 도뇨관 삽입, 방광경검사 등의 시술 후에 주로 발생한다. 2. 급성신우신염의 원인 및 감염경로 급성신우신염의 주요 원인은 대장균을 포함한 박테리아 감염이다. 감염은 주로 방광에서 요관을 통해 상행하여 신장에 퍼진다. 요관역류와 요관폐쇄는 상행...2025.11.16
-
DNA 연결 및 형질전환 실험 결과2025.11.131. DNA Ligation (DNA 연결) DNA 연결은 DNA 단편들을 DNA 리가제 효소를 이용하여 공유결합으로 연결하는 분자생물학 기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플라스미드와 목적 유전자의 양 끝에 있는 인산디에스터 결합을 형성하여 재조합 DNA를 만듭니다. 적절한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 수행되며, 연결 효율은 DNA 농도, 리가제 양, 반응 시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2. Transformation (형질전환) 형질전환은 재조합 DNA를 숙주 세포(주로 박테리아)에 도입하는 과정입니다. 화학적 형질전환이나 전기천공법 등의 방법으로...2025.11.13
-
<현역의대생> 엥겔만의 광합성_실험보고서_동아리(세특)2025.01.111. 엥겔만의 광합성 실험 1800년대 말 엥겔만은 태양광을 프리즘으로 분산시켜 수생 조류인 스피로기라에 비추었을 때, 특정한 빛의 색깔이 비친 부분에 호기성 박테리아가 모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적색과 청색광이 비추인 부분에서 광합성으로 인한 산소발생이 많기 때문에 호기성 박테리아가 모임을 알 수 있었다. 엥겔만의 실험은 광합성의 장소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2. 광합성 실험 방법 호기성 세균과 해캄을 암실에 두었다가 빛을 프리즘으로 분광시켜, 호기성 세균의 분포상태를 관찰하였다. 단색광을 얻는 방법으로 필터 이용...2025.01.11
-
박테리아에서 DNA 분리2025.01.271. plasmid DNA 분리 실험 목적은 plasmid DNA 분리에 대해 이해하고, 그 과정 중 하나인 plasmid mini-preparation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plasmid DNA 분리법의 공통적인 세 단계는 overnight culture, mini preparation, 순수한 plasmid DNA 분리 과정이다. mini-prep은 plasmid DNA를 소량 분리하는 방법으로, 알칼리 조건에서 세포를 파괴시켜 DNA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2. plasmid DNA 분리 시약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LB 배지...2025.01.27
-
생명과학실험2 내부공생 레포트2025.01.241. 내부공생(Endosymbiosis) 내부공생이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나 엽록체(plastid/ chloroplasts)의 기원에 대한 가설입니다. 분자적, 생화학적인 증거에 의해 미토콘드리아는 proteobacteria로부터, 엽록체는 cyanobacteria로부터 진화되었음을 추측합니다. 2. 1차 내부공생 1차 내부공생은 원생생물이 독립영양생물인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를 잡아 삼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삼킨 후, 먹힌세포(시아노박테리아)에서 숙주로 유전자를 전송함으로써 숙주세포는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