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6개
-
산소요법과 흉부배액체계 총정리2025.11.131. 산소요법 산소요법은 대기 중의 산소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하여 저산소혈증을 교정하고 산소분압을 최소 60mmHg로 유지하는 치료법입니다. 저산소혈성, 빈혈성, 순환성, 대사성 저산소증 등 4가지 종류가 있으며, 단기간 또는 장기간 적용됩니다. 산소전달체계는 저유량체계(비강캐뉼라, 안면마스크, 부분재호흡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와 고유량체계(벤츄리마스크, T-tube 등)로 나뉩니다. 합병증으로는 산소독성, 산소유도성 환기저하, 흡수성 무기폐, 감염, 점막건조, 화재위험 등이 있습니다. 2. 흉부배액체계 흉관밀봉배액은 흉관을...2025.11.13
-
성인간호학실습(A+) 흡인성 폐렴 간호진단(비효과적 기도청결, 고체온)2025.01.131. 흡인성 폐렴 흡인성 폐렴은 구강 분비물이나 위에 있는 내용물 등의 이물질이 기도로 흡인되면서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환자의 입 안에 있는 세균이 기관지로 흡인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의식 수준 저하, 삼킴 장애, 기관 내 삽관 등이 위험요인이 된다. 폐렴이 발생하면 감염부위로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확장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며 호중구가 활성화된다. 증상으로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흉부 통증 등이 나타나며, 합병증으로 폐농양, 늑막염, 무기폐, 기흉, 수막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2025.01.13
-
소아폐렴의 원인, 진단, 치료 및 간호관리2025.11.161. 소아폐렴의 원인 및 병원체 소아폐렴은 미생물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염증으로, 영아와 어린 아동에게 가장 흔히 발생한다. 주요 원인은 호흡기 바이러스(30~67%), 세균, 드물게 곰팡이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5세 미만에서 전체 폐렴의 80~85%를 차지하며,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SV가 흔한 원인이다. 세균성 폐렴은 폐렴사슬알균, A군 연쇄상구균, 포도알균,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등이 원인이 되며, 연령과 면역 상태에 따라 원인균이 달라진다. 2. 소아폐렴의 임상증상 및 진단 소아폐렴의 초기 증상...2025.11.16
-
흉막삼출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2025.11.181.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흉막공간에 체액이 축적되는 질환으로 염증성 삼출과 비염증성 삼출로 구분된다. 원인은 모세혈관 압력 증가, 교질삼투압 감소, 흉막 염증, 림프계 기능 손상 등이 있으며 심부전, 결핵, 폐렴, 폐감염, 신부전, 결체조직질환, 폐색전증 등으로 발생한다. 증상은 호흡곤란, 창백함, 피로, 체중감소, 흉막통증, 마른 기침 등이 있고 X-선, CT, 초음파, 흉강천자로 진단된다. 치료는 원인 질환 제거에 중점을 두며 흉막천자, 흉관삽입술, 흉막유착술 등을 시행한다. 2. 밀봉흉관배액(Closed ...2025.11.18
-
ATLS (Advanced Trauma Life Support)2025.01.031. Trimodal distribution of trauma deaths Trauma deaths occur in a trimodal distribution: 1) 병원 도착 전 사망 (두부 파열, 주요 장기손상), 2) 병원 도착 수분 ~ 수시간내 사망 (두부, 흉부, 복부 장기손상), 3) 사고 수일 이후 사망 (패혈증, 다발장기부전) 2. ATLS Primary Survey ATLS Primary Survey는 Airway maintenance with restriction of cervical spine motion, Br...2025.01.03
-
흉관배액(chest tube drainage) ppt2025.04.271. 흉관배액 흉관배액은 폐의 팽창과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기흉, 혈흉, 흉수, 농흉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흉관배액 시스템은 물마개(water-seal)의 원리를 사용하여 공기와 체액이 흉부로부터 배액되도록 하며, 공기가 다시 흉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흉관배액 시스템은 one bottle system, two bottle system, three bottle system 등 3가지 형태로 분류됩니다. 흉관 삽입 시 주의사항과 간호, 제거 시 간호,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등이 중요합니다. 2. 흉관 삽입 및 ...2025.04.27
-
NICU 신생아 재태연령 분류 및 호흡곤란증후군(RDS) 문헌고찰2025.01.201. 신생아 분류 신생아는 재태연령, 체중, 재태연령-체중에 따라 분류된다. '만삭아'는 재태연령 37~42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이며, 재태연령 37주 미만은 '미숙아' 또는 '조산아', 재태연령 42주 이상은 '과숙아'로 분류된다. 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은 '저출생체중아', 1,500g 미만은 '극소저출생체중아', 1,000g 미만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로 분류된다. 재태연령에 따른 출생 시 체중과 관련하여 '부당경량아', '적정체중아', '부당중량아'로 분류할 수 있다. 2. 호흡곤란증후군(RDS) 호흡곤란증후군(R...2025.01.20
-
[아동간호학] A+ 레포트, 무호흡 신생아 간호 레포트2025.04.301. 신생아 활력징후 신생아의 정상 활력징후 범위는 혈압 60~90/20~60mmHg, 심박동수 120~160회/분, 호흡수 30~60회/분, 체온 36.5~37.5도이다. 비정상적인 활력징후에는 폐렴, 호흡곤란증후군, 고혈압 산모의 약물 투여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2. 신생아 호흡기계 사정 신생아의 호흡은 리듬이 불규칙할 수 있으며, 60회/분 이상의 빠른 호흡이나 20초 이상의 무호흡이 관찰되면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호흡음 감소는 호흡활동 저하, 폐기종, 기흉 등의 원인이 있을 수 있고, 호흡음 증가는 폐렴, 제왕절개 출...2025.04.30
-
Pneumonia 폐렴 간호과정(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2025.01.031. 폐렴의 정의와 분류 폐렴은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유발 위험요인으로는 의식 상태 저하, 기관내삽관, 공기 오염, 흡연, 상기도염, 노화, 영양장애 등이 있다. 폐렴은 지역사회 획득 폐렴, 병원 감염성 폐렴, 흡인성 폐렴, 기회감염 폐렴 등으로 분류된다. 2.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이 발생하면 감염부위로 혈류량이 증가하고 혈관 확장 및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며 호중구가 활성화되어 침입한 균을 탐식하고 제거한다. 이로 인해 액체성 삼출물이 폐포를 채워 경화가 나타나고 가스교환 장애가 발생한다. 3. 폐렴의 진단 폐렴...2025.01.03
-
배액관 drainage 학습과제2025.05.011. 배액관의 목적 배액관의 목적은 예방, 치료, 감압 등이 있다. 예방 목적으로는 수술 후 혈종이나 장액종 형성 예방, 오염된 수술이나 장문합 부위 누출 가능성 확인, 수술/시술 후 분비물 양상 관찰 등이 있다. 치료 목적으로는 세균 배출, 이물질/괴사조직 제거를 통한 염증 자극 제거가 있다. 감압 목적으로는 외상 환자의 수술 후 사용, 대표적으로 Chest tube drain이 있다. 2. 배액관의 종류 배액관에는 Open drainage, Closed suction drain, Chest tube drain 등이 있다. Ope...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