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99개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응급약물 준비 및 투여2025.05.111. 응급약물 준비 및 투여 응급상황에서 정맥로(IV route)는 약물과 수액을 공급할 수 있는 생명선이다. 말초정맥을 천자하여 정맥로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심정맥로가 동시에 확보되어 있는 경우 중심정맥으로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유리하다. 성인의 심폐소생술 시 투여하는 주요 약물에는 Epinephrine, Vasopressin, Amiodarone, Lidocaine, Magnesium 등이 있다. 각 약물의 작용기전, 투여용량, 주의사항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 심폐소생술 중 약물 투여 심폐소생술 중 투여하는 ...2025.05.11
-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심전도 및 제세동기2025.01.19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를 되살리기 위한 치료기술로, 심정지 환자에게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심박동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심폐소생술의 주요 단계는 가슴압박, 기도 개방, 인공호흡, 자동제세동기 사용 등이다. 2. 자동제세동기(AED) 자동제세동기는 심실세동, 심방세동, 심방조동 등으로 심정지가 된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의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도구이다....2025.01.19
-
A+ Carl Shapiro vSim보고서(5,6단계 정답)2025.04.281. 심근경색 대상자의 심전도에서는 심근경색과 일치하는 전방 ST 상승(관상동맥의 완전폐쇄로 인하여 심근의 전층손상이 발생한 경우 상승 소견을 보임)이 나타났다. 급성심근경색을 진단받았으며,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심실세동 13:31~13:39: Ventricular fibillation(심실세동)이 1분가량 지속되었다. 심박수는 측정할 수 없고 리듬은 불규칙하고 무질서하다. P파는 보이지 않으며 PR간격과 QRS간격은 측정 불가능하다. 심실세동의 치료는 즉각적...2025.04.28
-
심정지 간호 레포트 A+2025.01.151. 심정지의 정의 심장 수축력이 감소해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호흡 또는 심박동의 정지로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하며, 임상적으로 맥박이 촉지 되지 않고, 의식과 호흡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6분이 경과되면 지명적인 뇌손상 및 사망을 초래하므로 환자가 발생한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해 행해지는 심폐소생술로 대상자의 생명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2. 심정지의 원인 심근경색, 부정맥, 저 산소증, 급성 뇌졸중 등이 심정지의 주요 원인이다. 3. 심정지의 증상/징후 갑작스러운 의식상실, 호흡 중단...2025.01.15
-
응급재난간호보고서2025.01.161. CPR(심폐소생술) CPR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응급 간호술이다. 가슴 압박의 깊이와 속도, 구조자의 자세, 대상자의 자세 등 CPR 수행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전문심폐소생술(ACLS)의 단계별 과정과 약물 치료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였다. CPR 수행의 시간 경과에 따른 중요성과 목격자 CPR의 생존율 향상 효과 등을 통해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2. 응급 재난 간호술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2025.01.16
-
CPR (Cardiopulmonary Resusitation) [BLS, ALS, PLS, 약물요법, 제세동, endotracheal intubation, Ambu bagging]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2025.05.081. 기본 생명소생술(BLS) 기본 생명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심정지의 발생을 인지하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응급조치이다. 현장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시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소생술이다. 2. 전문생명소생술(ALS) 전문 생명소생술은 심장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전문 기도유지, 약물투여(에피네프린)와 심전도 감시 및 심전도에 바탕을 둔 전기적 제세동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3. 소생 후 치료(PL...2025.05.08
-
성인간호학 질병문헌고찰2025.01.131. 심근경색 심근경색은 심근조직이 갑자기 심각하게 산소공급을 받지 못할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심근의 요구에 대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되거나 심근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색이나 괴사가 발생하게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갑자기 나타나는 격렬한 흉통, 식은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전도, 효소검사, 심장초음파, 관상동맥촬영술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로는 혈전용해요법,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약물요법 등이 있습니다. 2. 스티븐존슨증후군 스티븐존슨증후군은 ...2025.01.13
-
성인간호학_VSIM Carl Shapiro 보고서2025.01.221. 심근경색 환자는 약 3시간 전부터 흉통, 발한, 숨가쁨을 호소하여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초기 심장 박동은 82회/분으로 나타났으며, ECG 결과 전방 심근 경색이 있는 동 리듬이었다. 약 9분 후 심실세동이 발생하면서 심장 박동이 측정되지 않았다.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 후 자발순환이 회복되었다. 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실세동은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응급상황이며, 골든타임 내에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2. 심폐소생술 심실세동 발생 시 신속한 CPR과 제세동기 사용이 필요하다. 흉부 압박은 분당 100-120회로...2025.01.22
-
관상동맥질환 내용 정리 보고서2025.01.151. 관상동맥질환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은 심장 주변의 관상동맥이 혈류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주로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노폐물이 쌓여 혈액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한다. 동맥경화, 혈전 형성, 혈관 경련 등이 주요 원인이며, 이로 인해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2.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에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흡연, 운동부족, 고지방 식습관, 과다한 염분섭취, 과...2025.01.15
-
심정지 후 소생 케이스스터디2025.05.071. 심정지의 정의 심정지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여 발생하며 모든 생체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고 조직의 기능이 정지된다. 최근 들어 급성심질환 및 순환계질환이 사망 및 장애의 중요한 요인으로 차지하게 되었으며 사망원인 통계결과 암에 이어 뇌혈관질환과 심혈관질환이 2,3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심정지는 심질환과 순환계질환의 심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고, 심정지가 3분 이상 지속되면 뇌의 심한 손상이 야기되고 5분 이상 지속되면 사망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인이라면 심정지에 대한 대처방안은 필수적으...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