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30개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중앙대 22025.05.021. 건전지의 내부 저항 측정 실험 목적은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하기 위해 건전지의 내부 저항 R1과 외부 부하 저항 R2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합니다. 이상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R1이 0에 가까워야 하며, 좋은 건전지일수록 내부 저항이 0에 가깝게 측정될 것입니다. 2. DMM의 입력 저항 측정 DMM의 측정 단위를 V에 맞추고 저항 양단에 DMM을 연결하여 전압과 전...2025.05.02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예비)2025.01.27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고정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오차 분포를 도시하였습니다. 또한 두 개의 10kΩ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측정하는 방법과 가변저항 측정 방법, 4-wire 측정법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2. 직류 전압 측정 6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건전지 측정 시 예상되는 전압 값이 6V보다 낮은 이유를 서술하였습니다. 3. 직렬/병렬 회로 전압 및 전류 측정 5kΩ, 10kΩ 저항이 ...2025.01.27
-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실습 결과보고서2025.11.141. 농형 유도전동기의 구조 3상 농형 유도전동기는 고정자 권선, 쿨링 팬, 농형 회전자의 단락 환, 고정자와 회전자 간의 공극으로 구성된다. 세 개의 분리된 고정자 권선은 와이결선으로 연결되며, 정격 전압 250V, 정격 전류는 측정값에 따라 0.7~1.2A 범위이다. 전동기의 정격속도는 약 1700~1800r/min이다. 2. 토크와 전류의 관계 유도기의 특성방정식에 의해 토크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실제 측정값을 토대로 그래프를 그려 이 관계를 확인했다. 토크 0.33~1.32N·m 범위에서 전류는 0.702~1.187A로...2025.11.14
-
기초 회로 실험 제 21장 최대 전력전송 (결과레포트)2025.01.211. 직류전원과 부하 사이의 전력전송 직류전원이 일정한 경우 부하 저항이 증가를 할수록 직류전원의 전력이 감소를 한다. 그리고 P(L) = [V(PS)/{R(C) + R(L)}]^2 x R(L)에 의해 부하저항에 전달되는 전력은 부하의 저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부하저항에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는 부하저항의 크기가 전원의 저항과 같을 때 전력이 가장 크다. 2. 최대 전력전송 조건 표 21-3을 통해 부하의 저항을 0Ω에서 102.04mW인 전원 공급 전력을 10kΩ까지 증가시킬 때 전원 공급 전력이 10kΩ에서 9.10mW...2025.01.21
-
부산대_응용전기전자실험2_결과보고서5_전력계통실습장비 [A+보고서]2025.01.291. 상회전 순서 3상 전원의 상회전 순서란 각 상 전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시간 순서를 나타낸다. 실험 결과, 저항과 커패시터를 Y 결선하여 3상 전원에 연결한 경우 상회전 순서는 높은 전압 -> 낮은 전압 -> 커패시터 순서로 나타났으며, 각 전압 위상차가 120도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유효전력은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하며, 무효전력은 인덕터나 커패시터 소자에 축적되었다가 방출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 커패시터 부하는 유효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유도부하와 저항을 병렬로 연결...2025.01.29
-
[A+]floyd 회로이론 예비레포트_ 5 직류회로와 전력2025.05.131. 소비전력 물리학에서 에너지(energy), 다시 말해 일(work)의 단위는 줄(joule)이다. 1줄은 뉴턴(newton) 의 무게(약 102그램)를 1미터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같다. 전기회로에서 전압은 1쿨 롱의 양전하를 전기적 위치(전위)가 높은 곳으로 옮기는 데 필요한 에너지와 같다. 반대로 전위 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이면 양전하는 자기가 가진 에너지를 밖으로 내놓게 된다. 전류가 저항을 통해 흐르면서 전하는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내놓는다. 이 에너지는 저항에서 열 로 바뀌어 소비된다. 소비전력은...2025.05.13
-
일반물리실험2 유도기전력 결과보고서2025.01.171. 유도기전력 측정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선속의 변화가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생성함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을 이해하였다. 1차 코일의 인가 전류, 주파수, 2차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하여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이 증가하고, 2차 코일의 단면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1. 유도기전력 측정 유도기전력 측정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전압 측정이 필요한 다양한...2025.01.17
-
디지털집적회로설계 13주차 실습 - 게이트 회로 분석2025.11.161. OR GATE 지연 및 전력 측정 MAGIC에서 추출한 OR GATE의 특성을 SPICE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tpdr(상승 지연)은 199.6ns, tpdf(하강 지연)은 199.8ns로 측정되었으며, 평균 전파 지연(tpd)은 199.7ns이다. 출력 신호의 상승 시간(trise)은 0.485ns, 하강 시간(tfall)은 0.300ns로 측정되었다. 입력 신호는 AND 게이트와 동일하게 적용되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OR GATE가 제대로 구현되었음을 확인했다. 2. XOR GATE 지연 및 전력 측정 XOR GATE...2025.11.16
-
동기전동기 실습 장비 결과보고서2025.11.141. 동기전동기의 구조 및 특성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고정자는 형태와 특징이 동일하나 회전자에서 차이가 난다. 동기전동기의 회전자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도전동기의 회전자는 외부자기장에 의해 유도자계가 형성되는 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자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면 유도전동기처럼 작동하여 동기 속도인 1800rpm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며, 직류 전원을 인가하면 동기 속도와 같은 1800rpm으로 회전하는 동기전동기로 작동한다. 2. 동기전동기의 전류 특성 입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회전자의 직류...2025.11.14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A+, 보고서 점수 1등 - < 유도기전력 >2025.05.161. 유도기전력 측정 실험을 통해 1차 코일의 인가 전류와 주파수, 2차 코일의 감은 수와 단면적의 크기에 따른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 변화를 확인하였다. 1차 코일의 인가 전류와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2차 코일의 감은 수와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유도기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차 요인으로는 함수발생기의 정확도, 코일 내부 저항, 솔레노이드의 이상적이지 않은 특성, 2차 코일의 위치 오차 등이 있었다. 1. 유도기전력 측정 유도기전력 측정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전자기 유도 법칙에 따...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