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개
-
[A+ 리포트] [일반물리실험] 탄동 진자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2025.05.021. 탄동진자 탄동진자를 이용하여 운동량 보존 법칙, 에너지 보존 법칙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탄환의 속도를 측정한다. 선운동량 보존법칙에 따라 충돌 전, 후에 계의 전체 선운동량은 항상 일정하며, 완전 비탄성 충돌 상황이기 때문에 충돌 후 탄환과 합쳐진 진자의 운동에너지는 진자의 위치에너지로 바뀌게 되어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이 성립한다. 2. 선운동량 보존법칙 선운동량 보존법칙은 충돌 전, 후 각각의 입자의 선운동량은 변하지만, 계의 전체 선운동량은 항상 일정하다는 원리이다. 이번 실험에서 나타날 충돌은 완전 비탄성 충돌로,...2025.05.02
-
[건국대학교 물리학및실험 A+][2024 Ver] 자유낙하 실험 - 예비레포트2025.01.201. 자유낙하 실험 이 실험의 목적은 자유낙하 하는 물체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 g값과 포물선 운동을 하는 물체에서 측정된 g값이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자유낙하 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이며, 이를 통해 시간에 따른 속도와 위치를 구할 수 있습니다. 포물선 운동의 경우 x축 방향의 가속도는 0이지만 y축 방향의 운동은 자유낙하와 동일합니다. 실험에 사용되는 기구로는 I-CA 시스템, 스크린, Drop-Shot 장치 등이 있으며, 실험 방법은 카메라 세팅, 기준자 설치, 형광구 발사 및 촬영, 분석 메뉴 실행 등의 순...2025.01.20
-
선운동량 결과보고서2025.05.061. 선운동량 보존 실험 이번 실험은 이차원 충돌 장치를 이용해서 두 물체가 충돌할 때, 충돌 전과 후의 선운동량이 보존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을 하였다. 입사구를 굴려서 표적구와 충돌시키는 과정들을 통해 각각의 운동량, 운동량 벡터 사이의 각도들을 구할 수 있었다. 구한 운동량 P1, P1', P2'를 한 변으로 하고, P1과 P1' 사이의 각도가 θ1과 P1, P2' 사이의 각도가 θ2인 삼각형이 그려지면 운동량 보존 법칙이 성립함을 알 수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삼각형이 그려지지 않았다. 외부의 힘을 받지 않는 고립계에서...2025.05.06
-
일반물리실험 탄동 진자 예비보고서2025.01.221. 충돌에서의 운동량 보존 고립계에서 두 물체가 충돌할 경우, 각 물체가 상대 물체에 의하여 받는 충격량은 뉴턴의 제 3법칙인 작용 반작용에 의하여 물체 2가 물체 1에 작용하는 힘 F_{ 21}은 물체 1이 물체 2에 작용하는 힘 F_{ 12}와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충돌 시간 TRIANGLEt도 동일하므로 충격량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모든 충돌에서, 충돌 전후의 운동량이 보존된다. 2. 역학적 에너지 보존 진자의 운동량은 충돌 전 공의 운동량과 같다. 공의 운동량 P_{ b}는 mv _{b}이고 P _{b} =P ...2025.01.22
-
자유낙하 및 포물선 운동 실험 결과 분석2025.11.151. 자유낙하 운동 공기저항을 무시할 때 자유낙하하는 물체는 일정한 중력가속도(g)를 가지고 지구중심을 향하는 일차원 운동을 한다. 정지 상태에서 출발한 물체의 낙하거리는 y(t)=1/2gt²로 표현된다. 본 실험에서는 Drop-Shot 장치와 I-CA 시스템을 이용하여 형광구의 자유낙하를 촬영하고 분석하여 중력가속도를 측정했다. 3회 반복 실험 결과 중력가속도는 각각 1145.01, 1034.91, 1012.61 cm/s²로 측정되었으며, 이론값 980 cm/s²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했다. 2. 포물선 운동 수평방향 초기속도 v...2025.11.15
-
탄동진자에 의한 탄환의 속도 측정2025.05.071. 운동량 보존법칙 실험에서는 탄동진자를 이용하여 운동량 보존법칙과 에너지 보존법칙에 의해 탄환의 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운동량은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며, 고립계에서 전체 운동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고립계의 에너지는 형태가 변해도 총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를 역학적 에너지 보존이라고 한다. 2. 탄동진자 탄동진자는 초기속력 v로 운동하는 질량 m인 탄환이 질량 M인 진자와 충돌한 후, 진자에 박힌 채 높이 h만큼 올라가는 장치이다. 이를 통해 충돌 전후의 운동량 보존과 충돌 후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확인할 수...2025.05.07
-
디스플레이 개론 기말과제2025.01.101. VFD의 동작원리 VFD는 고진공의 유리 용기내에 Cathode, Control Grid, Anode 전극을 형성시킨 3극관의 일종으로 640°C 정도로 가열된 Wire Cathode(emitter/filament)에서 방출되는 열전자가 제어 전극인 Mesh Grid에 의해 가 속 혹은 제어되어 메쉬 전극의 hole을 통과하게 되면 그 전자들이 Anode상에 도포된 형광체와 충돌하여 형광체를 여기 시켜 가시 광을 방출하게 한다. 2. Color 브라운관의 동작 원리 일반적으로 컬러 브라운관에 사용되어지는 인라인(In-Line)...2025.01.10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물리실험 탄동 진자 실험 레포트2025.01.031. 탄동 진자 실험 이 실험 보고서는 한국항공대학교에서 진행된 일반물리실험의 탄동 진자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험에서는 탄동 진자를 이용하여 탄환의 초기 속도를 구하고, 발사체를 이용하여 탄환의 초기 속도를 구한 뒤, 운동량 보존 법칙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 및 분석을 통해 실험 오차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탄동 진자 실험 탄동 진자 실험은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실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은 단순한 구조와 원리로 인해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실...2025.01.03
-
한국사 속의 화약 기술2025.01.281. 화약 기술의 발전 한국 역사상 최초로 화약 개발에 성공한 인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겸 정치가인 최무선이다. 그는 화약과 화포를 개발하여 전쟁에서 큰 역할을 했으며, 특히 주화라는 로켓형 무기를 개발했다. 주화는 화약통과 막대기, 화약 배합 등 정교한 설계로 인해 당시로서는 매우 첨단 무기였다. 또한 최무선은 천자총통 등 다양한 화포를 개발하여 조선 시대 화약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2. 화승총의 원리와 한계 당시 널리 사용된 화승총은 화약을 점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했지만, 장전 시간이 길고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등 ...2025.01.28
-
서울시립대_물리학및실험1_포물선운동실험_예비레포트&결과레포트_A+2025.04.271. 포물선 운동 포물선 운동은 비스듬하게 던져 올린 물체의 운동을 말한다. 공기저항이 없는 경우, 지구의 중력만이 작용하며 수직 방향으로는 등가속도 운동, 수평 방향으로는 등속 운동을 한다. 포물선 형태의 궤도를 갖는다. 물체의 가속도, 속도 및 위치를 성분별로 표현할 수 있다. 최고점과 수평 도달 거리를 구할 수 있다. 2. 에어 테이블에서의 포물선 운동 실제 실험에서는 에어 테이블 위에서 발생하는 포물선 운동을 측정한다. 에어 테이블을 경사각 phi로 기울이면 물체가 빗면 아래 방향으로 받는 알짜 중력가속도 g'를 계산할 수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