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77개
-
일반생물학실험2 2.순환계 및 심장박동2025.05.051. 순환계 순환계는 동물이 영양소를 조직 세포에 공급하고, 신체 내외부의 기체 교환하고, 노폐물을 수송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계이다. 심장은 순환계에서의 펌프 역할을 하는 중추기관이다. 교감 신경이 자극되면 심박수가 증가하고 부교감 신경이 자극되면 심박수가 감소한다. 2. 심장박동 이번 실험을 통해서 순환계에 대해 알아보고, 부교감신경이 자극되었을 때 분비하는 아세틸콜린을 심장에 가했을 때의 변화와 교감신경이 자극되었을 때 분비하는 아드레날린을 심장에 가했을 때의 변화, 그리고 저온에서의 심박수 변화를 확인해보고자 했다. 3. ...2025.05.05
-
신경계통 및 호흡기계통의 구조와 기능2025.11.141.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신경계통은 중추신경계(뇌와 척수)와 말초신경계(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로 구분된다. 중추신경계는 뇌척수막으로 보호되며,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를 신체 말초 구조와 연결한다. 뇌는 대뇌, 소뇌, 뇌줄기, 사이뇌로 구성되고, 척수는 백색질의 섬유단과 회색질의 뿔로 이루어져 있다. 척수신경은 31쌍으로 감각과 운동정보를 전달하는 혼합신경이다. 2. 자율신경계통의 구조와 기능 자율신경계는 의식적 제어 없이 내장기관을 조절하는 신경계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교감신경은 응급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심...2025.11.14
-
사상체질에 따른 침 치료법에 관하여2025.01.241. 사상의학 사상의학은 19세기말 동무 이제마 선생이 기존의 음양, 오행론적 관점과는 다른 시각에서 인체를 바라보고 질병을 치료한 의학입니다. 사람을 4가지 체질로 구분하고 체질에 따라 장부대소가 다르며, 완실무병(完實無病)의 건강한 상태를 위해 각 체질별로 중요한 보명지주(保命之主)와 체질별 생리, 병리, 병증을 제시했습니다. 2. 사상체질별 침 치료법 이제마 선생의 '동의수세보원' 소음인 범론에는 소음인이 중기병(中氣病)에 걸려 혀가 말리고 말을 하지 못할 때 약으로는 빠른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합곡혈에 침 치료를 하여 놀라...2025.01.24
-
항고혈압제 적용환자의 간호2025.05.021. 고혈압 고혈압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이 받는 압력입니다. 고혈압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본태성 고혈압과 신장, 내분비선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속발성 고혈압으로 구분됩니다. 고혈압은 심장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어 심비대, 심부전, 대동맥박리,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항고혈압제 투여 목적 원인을 모르는 본태성 고혈압에 항고혈압제를 사용합니다. 항고혈압제는 말초...2025.05.02
-
약리학 정리2025.04.261. 나트륨(Na+) 나트륨(Na+)은 세포외액에서 가장 풍부한 양이온입니다. 신경자극의 전달과 칼슘의 세포내 이동에 중요하며, 염소 또는 중탄산과 결합하여 존재합니다. 나트륨의 조절은 신장에서 주로 세뇨관의 재흡수를 통하여 일어나며,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 배출되어 나트륨의 재흡수를 돕습니다. 고나트륨현증은 나트륨의 급성 증가 또는 나트륨의 소실 없이 일어나는 수분의 소실에 의하여 일어납니다. 2. 칼슘(Ca++) 칼슘(Ca++)은 뼈와 이의 구성에 필요하며, 혈액응고의 효소로 작용하고 호르몬 분비, 세포막 안정화 및 투과, 근육수...2025.04.26
-
물벼룩 심장박동 관찰2025.01.041.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이번 실험은 물벼룩이라는 생물을 통해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의 화학적 자극이 심박수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관찰하였다. 온도 변화와 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니코틴, 카페인 등의 화학물질을 처리하여 물벼룩의 심박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온도가 낮아지면 효소 활성이 감소하여 대사 작용이 줄어들어 심박수가 감소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심박수가 증가하였다. 화학물질의 경우 수용체 결합 정도에 따라 심박수 변화가 달랐는데, 아드레날린은 가장 잘 결합하여 심박수를 가장 크게 증가시켰고, 아세틸콜린은...2025.01.04
-
약리학 정리: 아드레날린 작동성 약, 자율신경계, 기관지천식, 혈액응고, 항응고제2025.05.121. 아드레날린 작동성 약 아드레날린 작동성 약물은 노르에피네프린을 1차 신경전달물질로 유리하는 신경말단에 작용하는 약물을 말한다.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대표적인 약물로, α 수용체와 β 수용체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약물은 쇼크 치료, 기관지천식 치료 등에 사용된다. 2. 자율신경계 자율신경계는 의지와 관계없이 내장, 샘, 혈관 등의 장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신경계로,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성된다. 신경전달물질로는 아세틸콜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사용된다. 자율신경계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기...2025.05.12
-
양성전립선비대증(BPH)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2025.11.141. 양성전립선비대증(BPH)의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양성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 조직의 비악성 결절이 커져 요도를 압박하거나 폐쇄하여 배뇨장애 등 하부요로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50세 이상 남성의 50%, 85세 이상의 90%에서 발생한다. 전립선이 커지면 요로를 압박하여 배뇨 시 압력이 증가하고 방광이 팽만되며, 배뇨근이 비대해진다. 임상증상으로는 배뇨시작의 어려움, 약한 요 흐름, 야뇨증, 잦은 배뇨, 요절박, 방광이 덜 비워진 느낌, 배뇨 끝에 소변이 떨어짐, 유출성 실금, 완전 요정체 등이 있다. 2. BPH의 진단검사 및...2025.11.14
-
말초신경계: 뇌신경, 척수신경, 자율신경계2025.11.161. 뇌신경(Brain nerve) 뇌신경은 12쌍으로 구성되며 감각, 운동 또는 혼합기능을 수행합니다. 후신경은 냄새 감각을, 시신경은 시각을 담당하고, 동안신경은 안구 운동을 조절합니다. 삼차신경은 얼굴 감각과 저작 기능을, 안면신경은 안면 근육 운동과 미각을 담당합니다. 청신경은 청각과 평형을, 미주신경은 인두, 후두, 식도, 심장, 위장 등의 불수의적 운동을 조절합니다. 2. 척수신경(Spinal nerve) 척수신경은 31쌍으로 경신경 8쌍, 흉신경 12쌍, 요신경 5쌍, 척수신경 5쌍, 미수신경 1쌍으로 구성됩니다. 척수...2025.11.16
-
물벼룩의 심장박동수 측정2025.04.281. 물벼룩의 심장박동 측정 이 실험에서는 물벼룩의 심장박동을 관찰하고 심장박동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의 효과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물벼룩의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니코틴 등의 화학물질이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아드레날린과 니코틴은 심장박동을 증가시켰고 아세틸콜린은 심장박동을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화학물질이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심장박동의 조절 원리 심장박동은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내부적으로는 굴심방결절이 자율적으로 전기적 신...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