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783개
-
ESRD, CKD 투석실 A+ 간호과정 3개(체액과다, 피부손상위험성, 지식부족)2025.01.271. 체액 과다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체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분 및 염분 섭취 제한, 혈액투석 등의 치료적 중재를 통해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을 관리하고자 한다. 수분 섭취 제한, 저염식이, 저칼륨식이 등의 교육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적절한 식이요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2. 피부손상위험성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국소 연고 도포, 냉요법, 피부 보호 등의 중재를 통해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자 한다. 가려움증 완화와 피부 건조 예방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적절한 피부 관리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2025.01.27
-
A+ 폐렴, COPD 간호과정(CASE) 간호진단 3개 평가까지 (비효율적 호흡양상, 피부 손상 위험성, 낙상의 위험) 퐁함!!2025.01.131. 비효율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폐렴과 COPD로 인해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매 duty마다 호흡수와 깊이, 흉부팽창 양상을 관찰하고, 산소요법을 적용하며 심호흡과 기침 교육을 실시하여 호흡이 편해지도록 합니다. 또한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금연을 권장하여 증상 악화를 예방합니다. 2. 피부 손상 위험성 대상자는 부동으로 인해 꼬리뼈 부위에 피부 발적이 관찰되어 욕창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예방적 드레싱을 적용하고 2시간 간격으로 체위 변경을 하며, 영양 공급과 피부 관리를 통해 피부 상태를 호전시키고자 합니다. 3. 낙상의 ...2025.01.13
-
강박장애 케이스스터디 / 간호진단 2개(피부손상 위험성, 사회적 고립) / 정신간호학 실습2025.01.121. 강박장애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CD)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강박행동을 중지하면 불안 증상이 다시 나타나므로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감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해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 강박장애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 또는 둘 모두를 특징으로 한다. 강박사고(obsession)란 자신이 원하지 않고 불필요하다는 것도 스스로 알지만, 잘 조절되지 않으며, 마음속에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떠오르는 사고, 욕구, 심상을 뜻하며 심한 불...2025.01.12
-
급성인두염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질병과 관련된 고체온,고체온과 관련된 피부손상2025.05.081.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대상자의 체온을 1시간마다 측정하고, 매일 피부색의 변화와 오한이 있는지를 사정했다. 처방에 따라 맥시부펜시럽을 투약하고, 보호자에게 아동이 오한을 느끼면 이불을 덮어주도록 교육했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체온이 37.5도 이하로 내려갔고, 퇴원시까지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했다. 2. 고체온과 관련된 피부손상 매일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기록했다. 매일 침대시트와 베개 시트를 갈아주고 습도를 50%로 유지했다. 대상자는 하루에 800ml 이상의 수분섭취를 했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발진증상이 나타나지 않...2025.05.08
-
비효율적기도청결, 피부손상위험성 케이스(진단내린 근거들+이론적근거를 포함한 구체적인 계획)/A+레포트2025.05.141. 기도 분비물 배출 곤란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적인 호흡수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4시간마다 호흡 및 객담 양상을 사정하고, 필요시 흉부 타진, 흡인, 네뷸라이저 치료, 산소 투여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또한 적절한 습도 유지, 교육 등을 통해 대상자의 상태 개선을 도모합니다. 2. 처치와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피부 손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4시간마다 피부 상태를 사정하고, 체위 변경, 마른 린넨 유지, 기저귀 교환, ai...2025.05.14
-
A+ 직장암 케이스(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 간호문제 1. 급성통증, 2. 피부손상위험성, 3. 자존감저하 위험성)2025.01.281. 직장암 직장암은 20대 이후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 할 수 있지만 40세 이후 발병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60세 전후로 최고에 달하는데 93%가 50세 이후에 발생하며 남자에서 약간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우리나라의 발생빈도는 1980년, 전체 암의 5.8%에서 1990년, 전체 암의 6.8%로 점차 증가 추세에 있으며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발생률이 낮지만, 남성의 경우 위암, 간암, 폐암에 이어 4위를 차지하며, 여성인 경우 역시 자궁경부암, 위암, 유방암에 이어서 4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따라서 한국인에게 많이 발생하는...2025.01.28
-
<A+보장,성적인증>아동간호 수두 케이스스터디 / 피부통합성장애, 고체온, 안위손상, 지식부족 간호과정 /덴버발달검사2025.01.151. 수두 수두는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증상은 급성 미열로 시작되고 신체 전반이 가렵고 발진성 수포(물집)이 생깁니다. 수두나 대상포진의 수포에서 나오는 액의 직접 접촉 또는 공기를 통해서 전파되며, 감염자의 타액을 통해서도 전파됩니다. 전체적인 사망률은 십만 명 당 2명 정도이며, 주요 사망 원인은 성인의 경우 바이러스성 폐렴이고 소아에서는 이차적인 세균감염과 뇌염입니다. 병이 진행되면서 증상이 자연적으로 좋아지기 때문에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지만, 면역...2025.01.15
-
미숙아(간호진단1. 미성숙한 체온조절 능력과 관련된 저체온의 위험 2. 지속적인 부동자세와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2025.01.161. 미숙아의 체온조절 능력 미숙아는 상대적으로 큰 체표면적, 열생산 부족, 피하지방 부족, 영양부족 등의 이유로 체온유지가 중요하다. 체온조절을 위해서 최소한의 목욕, 보육기 주변 통풍의 최소화, 피부에 직접 접하는 물건을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등의 중재를 할 수 있다. 2. 미숙아의 피부손상 위험 미숙아는 얇은 피부와 망상조직마개의 부족으로 피부손상이 쉽게 나타난다. 따라서 테이프, 전극, 소변주머니 제거 시 주의해야 하며, 미숙아에게 알칼리성 비누를 이용한 빈번한 목욕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미숙아의 영양 적절한 영양섭취는 ...2025.01.16
-
A+ 간경화(Liver cirrhosis) case study 진단3 과정2 출혈위험성, 안위변화, 피부손상위험성2025.01.241.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입원당시 주호소가 토혈과 혈변이고 중증 간경화로 인해 식도정맥류까지 진행되어 영상검사 상 위, 식도 정맥류 소견이 관찰 가능한 환자분입니다. 출혈과 연관성있는 lab 수치도 좋지 않은데 CRRT 적용으로 인해 heparin까지 투여중입니다. 다음의 이유와 함께 출혈이란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1순위로 선정하였습니다. 2. 고체온과 관련된 안위변화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고체온 상태가 지속되는 환자분입니다. 통증이 없는 현 상태에서 환자분에게 가장 불쾌감을 주는 요인이 고체온일 것이라고 ...2025.01.24
-
성인간호학 외상성 혈흉 케이스(간호진단 4개 비효과적인 호흡양상, 낙상위험성, 안위저하, 피부손상)2025.05.081. 외상성 혈흉 혈흉은 흉막강 내에 혈액이 저류한 상태로 자연 혈흉과 외상에 의한 외상성 혈흉이 있다. 원인은 흉부외상, 흉부 수술, 폐 및 흉막 천자, 흉막종양, 폐경색, 흉막 유착이 있는 폐 파열, 흉부대혈관의 동맥류, 패혈증 등이다. 출혈은 흉벽의 손상 또는 흉내 장기의 손상에서 발생한다. 증상으로 흉통, 청색증, 혈압 하강, 맥박과 호흡수 증가, 호흡곤란, 호흡음 소실이나 감소, 병소 부위의 탁음을 틀을 수 있다. 혈흉의 진단을 가슴 X-선 촬영 검사나 흉막천자 시 혈액이 흉막강에 있는 것으로 확진한다. 흉막강에 혈액이 고...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