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9개
-
건축공학과 건축재료실험 레포트 6. 경화콘크리트의 성질(A+)2025.01.241. 콘크리트 압축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의 각종 시험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밀도를 차지하고 있다. 압축강도는 인장강도, 탄성계수, 내구성 등 개략 값을 추정할 수 있고, 실제 구조물에 시공된 콘크리트의 품질로서, 설계에서 가정한 특성을 갖고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행한다. 2. 압축강도 시험 방법 ① 구좌로 된 가압판 바로 밑에 있는 시험기의 대 및 가압판 위에 편평한 가압판을 놓으며, 위아래 부분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지압면을 깨끗이 닦고, 공시체 아랫부분의 가압판 위에 시료를 올려 놓는다. ② 시료의 축이 윗부분 가압...2025.01.24
-
철근콘크리트공사 시공계획서 기술검토의견서2025.01.031. 철근콘크리트공사 시공계획서 검토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시공 및 품질확보를 위한 시공계획서의 적정성과 안전관리, 환경관리 계획수립 여부를 검토하였습니다. 조직도, 공정계획, 시공계획, 장비투입계획, 자재 및 인력투입 계획, 품질/안전 관리계획 등을 검토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시공계획 관리가 적정하여 승인하였습니다. 다만 동절기 공사 시 동절기공사 시공계획서 제출, 철근배근 시 구조일반사항 준수, 철근가공상세도 제출 등의 보완 사항이 있습니다. 1. 철근콘크리트공사 시공계획서 검토 철근콘크리트공사 시공계획서 검토는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2025.01.03
-
콘크리트 구성물질, 점성토의 특성, 천연골재와 인공골재 비교2025.01.131. 콘크리트 구성물질 중 배합수(물)의 역할 및 기능과 적정 사용량 기준, 과다 또는 과소 배합시 문제점 콘크리트는 주로 시멘트, 재료, 물, 그리고 필요에 따라 혼화제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구성물질이다. 그 중에서도 배합수, 즉 물은 콘크리트의 특성과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배합수의 역할과 기능은 다양하다. 먼저, 콘크리트 혼합물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시멘트와 재료를 결합하여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물의 추가는 시멘트 입자들이 활성화되어 수화 반응을 일으키고 강도를 형성하는 데 필수...2025.01.13
-
국내 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 사례와 철콘 구조 특징 및 장단점2025.05.121. 국내 고층 철근콘크리트 건물 사례 우리나라에 건설된 고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로는 종로타워, 타워팰리스, ASEM 타워, 부산광역시청,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등이 있다. 이 건물들은 고강도 콘크리트와 철골을 사용하였으며, 이중튜브 시스템, 아웃리거 및 벨트 트러스 구조 등을 적용하여 횡력 저항 성능을 높였다. 또한 철근콘크리트와 철골 구조가 혼합된 형태도 있었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장점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장점으로는 높은 압축강도, 내구력 및 내화력, 단단함과 진동/충격 저항성, 경제성, 긴 사용수명, 다양한 형태 구현 ...2025.05.12
-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최소철근비/최대철근비2025.05.121.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파괴모드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대적 저항력 차이에 따라 4가지 파괴모드로 구분됩니다. 최소철근파괴, 인장파괴, 균형파괴, 압축파괴가 그것입니다. 각 파괴모드의 특징과 발생 조건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 유형 휨설계에서 압축지배단면, 변화구간단면, 인장지배단면의 3가지 단면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단면 유형의 특징과 철근 변형률, 콘크리트 변형률 관계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3. 최소철근비와 최대철근비 규정의 이유 최소철근비...2025.05.12
-
콘크리트 공학 및 실험 - 잔골재의 밀도 흡수율 시험 결과 보고서2025.04.281. 잔골재 밀도 실험 잔골재 밀도 실험은 잔골재의 일반적인 성질을 판단하고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있어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을 알기 위하여 실시한다. 잔골재의 밀도와 흡수율은 채취장소 및 풍화의 정도에 따라 변화되므로 잔골재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2. 잔골재 흡수율 시험 잔골재의 흡수율 시험은 잔골재의 공극을 알 수 있으며, 콘크리트 배합 시 사용 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3. 시험 방법 및 순서 잔골재를 표면건조포화상태로 만들고, 500g의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어 밀도와 흡수율을 측정한다. 시험은 2회 실시하여 허용차...2025.04.28
-
다양한 섬유재료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 벽체 내진보강공법2025.01.151. SRF(Super Reinforcement with Flexibility) 공법 SRF 공법은 고연성 재료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벨트 또는 시트 형상으로 만들어 경화 후에도 인성을 갖는 우레탄계 접착제로 기둥이나 벽체 등의 압축제 콘크리트 표면에 인력으로 부착하는 보강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시공성, 친환경성, 내진성능 향상,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2. 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s (BFRP) 공법 BFRP 공법은 현무암섬유(Basalt fiber)를 사용하여 RC 조의 부식된 전단벽...2025.01.15
-
콘크리트2025.05.051. 콘크리트 역사 콘크리트는 무기질(시멘트류, 석회, 석고 등) 또는 유기질(아스팔트, 폴리머, 레진, 플라스틱 등)의 결합재인 페이스트에 의하여 골재를 결합하고 성형하는 혼합물 및 그 경화체이다. 콘크리트의 시작은 1820년경 영국에서 발명된 포틀랜드 시멘트와 이후 철망에 보강된 콘크리트의 사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로마시대 화산회와 석회석으로 만들어진 수경성 시멘트도 콘크리트의 시초로 볼 수 있다. 고대에는 석회와 석고를 이용한 모르타르가 사용되었고, 로마시대에는 포졸란이라는 화산재를 첨가한 모르타르가 사용되었다. 중세에는 ...2025.05.05
-
철골콘크리트 보의 최대철근비, 최소철근비 및 복근보의 설계 휨강도2025.05.071. 보의 최대철근비, 최소철근비 식 철근비는 보의 유효단면적과 인장 철근 단면적 간의 비이다. 철근이 지지하도록 보의 인장 강력은 설계되어야 하지만, 만약 과도하게 보강이 된 경우에는 보의 연성이 줄어들어 위험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완전한 설계가 중요하다. 최대철근비 식은 rho_max = (0.00255 beta_1) / (epsilon_a,min + 0.003) (f_ck) / (f_y) (d_t) / (d)이며, 최소철근비 식은 rho_min = (0.25 sqrt(f_ck)) / (f_y)이다. 2. 복근보를 사용...2025.05.07
-
논문정리 ) 6개 논문 선행연구 정리2025.04.281. 순환잔골재 혼입 고성능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본 연구는 천연골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용 콘크리트용 골재로 순환골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Tam이 개발한 2단계 혼합 접근법은 새로운 추가 설비를 하지 않고 재생 골재 콘크리트의 기계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2단 혼합법의 변형을 통해 재생 잔골재를 이용하여 모르타르 시편을 제작하고, 압축강도와 내화성을 일반 배합법으로 혼합한 모르타르와 비교하였다. 결과 재생잔골재를 사용한 2단 혼합 방식은 일반 혼합보다 압축강도 발현에 더 효과적이며,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