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2개
-
다이오드의 응용 실험 보고서2025.01.02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응용의 가장 간단한 예이다.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곡선을 이상화하면 다이오드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단락이 되기도 하고 개방이 되기도 한다. 반파 정류회로는 입력신호가 양인 경우만 취하고 음일 때는 버린다. 그러나 출력 전압 V_L도 입력 전압 v_i와 마찬가지로 주기함수이므로 푸리에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 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교류(AC) 전압을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전자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자 기기와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해집니다....2025.01.02
-
반파·전파·브리지 정류 및 필터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81. 반파 정류(Half-wave Rectification) 반파 정류는 다이오드 하나를 이용하여 교류 신호의 한 방향만 통과시키는 정류 방식입니다. 실험에서 측정된 피크-투-피크 전압은 7.640V, DC 평균값은 2.34V로 나타났습니다. 반파 정류기의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의 절반 주기만 출력되며, 입력과 출력의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주기는 입력의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다이오드의 PIV(피크 역전압)는 입력 전압의 절반이 됩니다. 2.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 전파 정류는 다이오드 두 개를 사용하여 교...2025.11.18
-
DC Power Supply 제작 및 정전압 IC 특성 실험2025.11.141. 전파 정류회로(Full-Wave Rectifier) 다이오드 4개를 사용한 전파 정류회로는 반파 정류회로보다 리플전압을 줄이고 출력전압을 직류 전압에 가깝게 만든다. 정류된 출력파형은 다이오드의 on/off 상태에 따라 커패시터의 충방전이 반복되며, 이를 통해 교류 성분을 제거하고 직류에 가까운 전압을 생성한다. 2. 평활회로와 리플전압 평활회로는 정류 회로를 통과한 맥형 파형을 평활한 직류로 만드는 회로이다. 커패시터와 저항을 병렬연결한 용량성 평활회로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리플전압은 커패시터의 용량에 의존하며, 용량이 클...2025.11.14
-
다이오드 정류 및 클램핑 특성 실험 보고서2025.11.161. 반파 정류기 (Half-Wave Rectifier) 반파 정류기는 다이오드를 저항과 직렬로 연결하여 AC 신호를 정류한다. 순방향 전류만 흐르므로 출력은 정류된 신호가 된다. 실험에서 1N4004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3.41V 진폭의 정현파를 30.1Hz 주파수로 입력했을 때, 최대 출력 전압은 약 2.81V였다. 다이오드의 순방향 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되어 0.6V와 0.3366V의 값을 얻었으며, 차이는 다이오드의 내부 저항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전파 브릿지 정류기 (Full-Wave Bridge Rect...2025.11.16
-
[전자회로실험] Diode 실험 보고서2025.01.221.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정류기(ideal rectifier)로써 인가전압의 극성에 따라 0의 저항 혹은 무한대의 저항을 갖는 반도체 소자이다. 즉, 한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제어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핵심 소자 중 하나이다. 다이오드가 이러한 특성을 갖게 되는 반도체 수준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하여 다이오드가 전류를 정류하는 매커니즘을 익힌다. 더 나아가 회로 구성에서 다이오드의 필요성과 중요성, 다양한 응용 방법을 다룬다. 2. 반도체 이론 실리콘 원자는 전자구조를 가지고...2025.01.22
-
중앙대학교 일반물리실험2 정류회로실험 결과2025.05.151. 정류회로 실험 실험을 통해 정류회로 실험기기의 회로도를 이해할 수 있었다. 회로도는 변압부와 정류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실로스코프로 전압파형을 측정하면서 교류가 직류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정류회로를 구성하는 순방향 다이오드와 콘덴서의 역할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전압 파형의 형태를 이해할 수 있었다. 오실로스코프의 특성과 사용법을 익힘으로써 전기적 신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2. 전압파형 분석 실험을 통해 다양한 단자 사이의 전압파형을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변압부에서의 전압 강...2025.05.15
-
[A+]전자회로설계실습 실습 3 결과보고서2025.01.101. 브릿지 전파정류회로 4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브릿지 전파정류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정류회로 양단의 전압차를 측정하는 실험을 제외하고 실험의 측정값들이 수식으로 구한 이론값들과 큰 오차를 보이지 않고 설계와 일관된 결과를 얻었지만 5KΩ의 저항을 사용했을 때보다 20KΩ의 저항의 사용했을 때 오차가 소폭 상승하였다. 2. 전압 파형 측정 Function Generator를 10Vpp, 40kHz로 설정하고 회로를 연결하여 A와 B점 사이의 전압 파형을 측정해 보았지만 원하던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는 회로의 GND와 ...2025.01.10
-
정전압 회로와 리미터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21. 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압 레귤레이터는 입력 전압의 변동 또는 부하의 변화에 관계없이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회로이다.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한 레귤레이터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도 동작하여 PN접합 다이오드 레귤레이터보다 더 작은 리플을 제공한다. 부하 저항이 증가할수록 리플이 감소하며, 내부 저항이 작은 다이오드를 사용할수록 부하 전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2. 정류회로 특성 다이오드의 한 방향 전류 흐름 특성을 이용한 정류회로는 반파 정류회로, 전파 정류회로, 브리지 정류...2025.11.12
-
교류회로 실험 결과 분석 및 오차 검토2025.11.161. 고주파수 통과 여과기(High-pass Filter) 고주파수 통과 여과기 실험에서 주파수에 따른 Vout/Vin 값을 측정했다. 0.02kHz에서 0.02051, 0.2kHz에서 0.5487, 20kHz에서 0.8512, 200kHz에서 1.000의 값을 얻었다. 이론값과 비교하면 0.02~0.2kHz 구간에서 그래프 모양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0.2kHz에서의 결과값이 이론값보다 작게 나왔다. 오차의 원인은 주파수 조정 시 발생한 오차로 예측되며, 다이얼 조정의 부정확성과 로그스케일 기록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2025.11.16
-
물리학실험: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회로 특성 분석2025.11.141. 정류회로(Rectifier Circuit)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회로. 반파 정류회로는 한 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의 한 방향만 통과시키고, 전파 정류회로는 두 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양방향 모두를 정류한다. 실험에서 반파 정류회로의 출력전압 폭은 입력신호 사인파의 반주기 폭의 약 86.825%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내부저항에서의 전력 손실 때문이다. 2. 다이오드의 특성과 저항 다이오드는 순방향과 역방향 저항을 가지며,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지수함수적으로 변한다. 실험에서 높은 전압이 걸릴...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