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4개
-
미용 기구의 소독과 멸균: 자외선 조사 방법2025.11.181. 자외선(UV) 살균 원리 자외선은 태양 광선에 속한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전자기파로, 파장을 통해 바이러스, 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등 미생물을 파괴한다. 무균실, 수술실, 제약사, 육아실, 미용실 등에서 용기, 기구, 식품, 물, 공기 등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을 멸균하는 데 사용된다. 적절한 자외선 노출은 비타민 D 합성을 촉진하여 뼈 건강을 유지하고 구루병,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2. 네일아트 기구의 소독 및 위생 관리 네일아트 시술 시 액체형 소독제로 고객 신체와 스테인리스 도구를 소독한다. 니퍼, 메탈...2025.11.18
-
Dressing 및 정형외과 Splint2025.05.141. 상처 소독(Wound Dressing) 상처(wound)의 정의, 상처소독(wound dressing)의 목적, 상처(wound)의 분류, 상처 소독(wound dressing)의 종류, 상처 소독(wound dressing)의 제품 종류, 소독제(wound cleansing solutions)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부목 및 기타 고정 보조기(Splint & Cast / Brace) 부목(Splint)의 정의 및 목적, 유형 및 적용, 부목(Splint) 종류와 적용, 기타 고정 보조기(8자 붕대, Velpeau...2025.05.14
-
개방성 골절(Open Fracture)의 설명과 환자 case study 병원실습 발표 자료2025.05.071. 개방성 골절 개방성 골절이란 골편이 연부조직을 뚫고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말한다. 연부조직의 손상이 동반되고 혈행장애, 혈종형성의 장애가 있으며 골과 연부조직의 감염의 위험이 높다는 점에서 폐쇄성골절과 차이가 있다. 개방성 골절의 치료 원칙은 감염 예방, 연부 조직 손상의 치유 및 골절의 유합, 빠른 시일 내에 기능의 회복을 얻는 것이다. 치료 단계는 응급실에서의 초기 평가 및 응급 처치, 변연 절제술 및 세척을 포함한 연부조직에 대한 수술과 골절의 안정화를 위한 수술, 피부와 연부조직의 재건술과 골 조직의 재건술, 재활 치료...2025.05.07
-
미용기구의 형태와 용도에 따른 소독과 위생방법2025.01.291. 미용실의 위생 관리 미용실은 공중위생관리법의 관리를 받는 '공중 위생영업'에 해당하며, 시설 및 설비 기준과 미용업종사자의 위생관리의무가 규정되어 있다. 미용기구의 소독 기준 및 방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2. 미용기구별 소독과 위생방법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미용기구는 소독한 기구와 소독하지 않은 기구를 분리 보관해야 하며, 면도기는 2회용 면도날을 사용해야 한다. 자외선소독, 건열멸균소독, 증기소독, 열탕소독, 석탄산수소독, 크레졸소독, 에탄올소독 등 다양한 소독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3. 미용기구별 소독과...2025.01.29
-
감염 예방관리 간호2025.01.111. 손 위생 손 위생이 필요한 다섯 가지 시점은 환자 접촉 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접촉 후, 환자 주위 접촉 후입니다. 외관적 무균술의 기본 원리에는 멸균 물품이 비멸균에 닿으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 멸균 포장을 열 때 먼 쪽으로 펴는 것, 젖은 부위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 등이 포함됩니다. 2.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 지침에 따르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에 오염된 물건을 만졌을 때는 장갑 착용 여부와 상관없이 손을 씻어야 합니다. 환자 처치 후 다른 환자를 처치할 경우 반드시 ...2025.01.11
-
욕창 간호, 욕창 관리 (감염전담간호사 교육자료, 교육전담간호사 교육자료)2025.01.281. 욕창의 정의 및 발생 원인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나 마찰과 전단력이 결합된 압력이 가해져 모세혈관 순환장애로 인한 피부 및 피하 심부조직의 괴사가 발생한 것을 말한다.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압력, 전단력 및 마찰, 부족한 영양, 실금, 감각저하, 고령 등이 있다. 2. 욕창 호발 부위, 욕창의 분류 욕창은 주로 뼈가 돌출된 부위인 천골, 미골, 좌골결절, 대전자, 발꿈치 등에 호발한다. 욕창은 단계별로 1단계(비창백성 홍반), 2단계(표피와 진피 일부 손상), 3단계(근막 이하 조직 손상), 4단계(근막,...2025.01.28
-
병원 청소지침2025.05.131. 병실, 환자 휴게실, 복도 청소 매일 1회 이상 바이오스팟 500ppm(물 2000ml + 바이오스팟 1정) 용액으로 대걸레와 손걸레(파란색)를 사용하여 청소합니다. 다빈도 접촉 표면은 소독티슈로 닦습니다. 고무장갑(노란색)을 착용합니다. 2. 수술실, 중환자실, 검사실 청소 매일 1회 이상 바이오스팟 500ppm(물 2000ml + 바이오스팟 1정) 용액으로 대걸레(보라색)를 사용하여 청소합니다. 다빈도 접촉 표면은 소독티슈로 닦습니다. 일회용 라텍스 장갑(하얀색)을 착용합니다. 3. 화장실, 샤워실 청소 매일 1회 이상 바...2025.05.13
-
기관절개관 관리2025.01.151. 기관절개술(tracheostomy) 기도확보를 위해 기관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개구부를 만드는 것으로, 2, 3, 4번째 기관연골 부위를 절개하여 삽입함. 2. 기관절개관 드레싱을 할 때 사용하는 용액 과산화수소수: 과산화수소(H2O2)의 분자 구조는 물(H2O)에 산소가 하나 더 붙어있는 형태. 과산화수소가 단백질을 만나면, 물과 병원균을 살균하는 활성산소로 분리되어 거품을 부글부글 끓게 함. 과산화수소수의 분해된 활성산소는 강력한 독성물질이므로 희석하여 사용해야 함. 멸균생리식염수: 과산화수소수의 독성을 씻어내고, 내관이 ...2025.01.15
-
소독과 멸균2025.04.271. 소독과 멸균의 적용 원칙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 기구, 준위험 기구 및 비위험 기구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해야 한다. 고위험 기구는 멸균 처리, 준위험 기구는 높은 수준의 소독 또는 멸균, 비위험 기구는 낮은 수준의 소독을 적용한다. 2. 소독 방법 소독 시 제품 사용설명서를 확인하여 소독제 농도, 적용 시간, 유효기간 등을 준수해야 하며, 소독 대상 물품의 모든 표면이 소독제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봉한 소독제는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소독제 용기...2025.04.27
-
식품위생학 위해물질의 저감화2025.05.071. 위해물질의 저감화 안전한 식품을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에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식품으로부터 위해물질을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는 세척방법으로 효율이 높으나 미생물, 화학물질 등 미세하거나 부착성이 강한 물질은 단순 세척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위해물질 저감화 조치가 필요하다. 위해물질 저감화 조치의 다양한 방법에는 생물학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 화학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 물리적 위해요소 저감화 방법이 있다. 2. 세척 세척제는 살균이 아니라 단순히 위해...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