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06개
-
산욕기 및 부인과 질환 약물 치료2025.11.121. 산욕기 약물 산욕기는 임신 전 상태로 회복되는 6~8주 기간이다. 산후출혈 치료에는 옥시토신, 메틸엘고노빈, 프로스타글란딘, 미소프로스톨이 사용된다. 옥시토신은 자궁 근층을 강하게 수축시키며 부작용이 드물다. 메틸엘고노빈은 평활근을 수축시키나 고혈압,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다. 산후감염 치료에는 항생제, 자궁수축제, 항응고제가 사용되며 자궁내막염, 혈전성 정맥염, 유방염, 골반연조직염 등이 주요 감염질환이다. 2. 자궁내막증 약물 자궁내막증 치료에는 경구피임제, 프로게스틴, 제스트리논, 다나졸, GnRH 활성제가 사용된...2025.11.12
-
공기매개 호흡기 감염병의 이해와 관리2025.11.151. 공기매개 세균 감염병 공기매개 호흡기 감염병은 실외에서는 흙이, 실내에서는 사람의 호흡기가 주요 근원이다. 그람양성 세균이 그람음성 세균보다 공기 전파가 더 잘 되며, 비말의 크기는 약 10μm이고 재채기 시 100m/s의 속도로 이동한다. 주요 세균 감염병으로는 화농성 사슬알균에 의한 인두염, 폐렴알균에 의한 폐렴, B군 사슬알균 감염, 황색포도알균 감염, 디프테리아, 레지오넬라증, 백일해, 수막알균성 수막염, 결핵, 한센병 등이 있다. 2. 공기매개 바이러스 감염병 공기매개 바이러스 감염병에는 감기, 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2025.11.15
-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매개감염병 예방 지식과 콘돔 사용 태도2025.11.131. 성매개감염병(STD) 예방 성매개감염병은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매독, 임질, 클라미디아, 단순포진, 생식기 사마귀, HIV/AIDS 등이 포함된다. 2021년 감염병 감시연보에 따르면 성매개감염병은 34,555건이 신고되었으며, 특히 20-29세 연령대에서 매독 65.52%, HIV/AIDS 36.9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성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 습득과 안전한 성행위 실천이 중요하며, 부족한 성교육과 무지가 주요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2. 콘돔 사용의 효과 및 중요성 콘돔은 라텍스 소재로 ...2025.11.13
-
천식(asthma) 질병보고서2025.01.121. 천식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가역적인 기도폐색 및 기도의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폐질환입니다. 기관 내 염증으로 인해 천명음, 호흡곤란, 흉통,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다양한 요인에 의해 과민반응을 반복적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기도폐색은 가역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2. 천식 원인 천식의 주요 원인으로는 알레르기 항원, 운동, 호흡기 감염, 코와 부비동 질환, 약물 및 음식 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 항원은 IgE를 매개로 하는 항체매개과민 반응을 유발하고, 운동은 기관지 경련, 호흡곤란, 기침, 천명음 등의...2025.01.12
-
감염관리 요약2025.05.081. 감염관리 감염관리의 목적은 감염된 환자나 균에 의해 colonized된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로 균이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병원감염은 입원당시 나타나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에 발생한 경우를 말하며, 그 증가 원인으로는 면역억제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향균제 내성균의 확산,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의 부재 등이 있습니다. 병원감염의 문제점으로는 진료의 질 저하, 의료비 상승, 병원 수입 감소, 재원 일수 증가, 법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 야기 등이 있습니다. 2. 감염전파 방법 감염전파의 방법에는 접촉...2025.05.08
-
수술로 인한 신체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2025.01.161. 자궁경부암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 암이 되기 이전단계인 전암단계를 상당기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전암단계에서 암으로의 진행과정은 7~10년 정도로 비교적 길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자궁경부암의 유발요인으로는 성매개감염질환 모델이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으며, 다른 요인으로는 HPV감염, 결혼과 성교의 양상, 사회경제적 특성, 포경 여부와 음경의 위생상태, 성 매개질환이나 HIV바이러스 감염, 흡연 등이 있다. 자궁경부암의 일차적 치료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이며,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주로 ...2025.01.16
-
자연분만, 조산 CASE STUDY(간호과정 2개)2025.01.021. 조산(Preterm birth, labor) 조산은 임신 20~37주 사이에 진통이 있는 것을 말한다. 원인의 50%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약 1/3은 조기파막 후에 발생한다. 조산의 위험요인을 빨리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진단과 조기진통관리, 태아 폐성숙을 위한 약물 투여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매독(Syphillis) 매독은 Treponema pallidum이라는 균에 의해 발생하며, 성접촉, 수직감염 등으로 전파된다. 태아 감염은 임산부 매독의 어느 병기에서라도 일어날 수 있으며, 조기...2025.01.02
-
응급과 재해간호 재난유형별에 따른 건강요구도2025.01.231. 자연재난 자연재난 중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풍수해는 태풍, 호우, 강풍, 풍랑, 폭풍해일을 포함하며, 이로 인한 주요 건강문제로는 익사 및 익사위기, 골절 및 타박상, 감염병, 감전, 저체온증,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문제 등이 있다. 예방을 위해 위험지역 회피, 실내 대피, 침수지역 접근 금지, 강풍에 의한 낙하물 주의 등이 필요하다. 2. 지진 지진 발생 지역의 주민들은 건물 안전성에 대한 불안과 우울감, 사회에 대한 불신 등의 심리적 증상을 겪을 수 있다. 3. 폭염 폭염은 일정 수준 이하의 기온 하강으로 인한 인명 및 재...2025.01.23
-
주사침 자상 사고 예방 교육2025.01.211. 주사침 자상 사고의 위험성 주사침 자상 사고는 사용된 주사기나 기타 날카로운 의료 기구에 의해 피부가 찔리는 사고로, 혈액매개 감염원에 노출되는 경로입니다. 주사침 손상에 의한 경피적 노출이 8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주사기 70%, 봉합용 바늘 10%에서 발생합니다. 혈액매개 감염원에는 세균, 기생충, 바이러스 등이 포함되며, HBV, HCV, HIV, 매독 등의 전파 위험이 있습니다. 2. 주사침 자상 사고 예방 방법 주사침 자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바늘에 최대한 접촉하지 않고, 바늘 제거 시 기구(켈리나 포셉)...2025.01.21
-
감염병의 발생과정 6요소와 생활 속 예방 방안2025.11.151. 감염병의 발생과정 6요소 감염병 발생에 필요한 6가지 필수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기생충, 곰팡이 등)은 숙주를 침범하여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둘째, 병원소는 병원체가 생활하고 증식하며 생존하는 장소(사람, 동물, 토양 등)이다. 셋째, 병원소로부터의 탈출은 병원체가 병원소를 나갈 수 있는 경로이다. 넷째, 전파경로는 새로운 숙주에게 운반되는 과정으로 직접 전파와 간접 전파가 있다. 다섯째, 새로운 숙주에의 침입은 병원체가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기계 등을 통해 침입하는 것이다. 여...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