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4개
-
구원론에서의 칭의와 성화의 관계2025.11.141. 칭의(Justification) 칭의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화해하고 성령의 감동 가운데 믿음으로 그리스도와의 신비로운 연합이 이루어질 때 성령을 통하여 주어지는 은총이다. 칼빈에 따르면 칭의와 성화는 논리적으로는 순서를 따질 수 있지만 시간적으로는 선후를 따질 수 없으며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다. 루터는 '신자는 의인이면서 동시에 죄인'이라고 표현했으며, 이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을 통해 우리를 의롭게 보아주신 것을 의미한다. 2. 성화(Sanctification) 성화는 칭의의 결과가 아니...2025.11.14
-
삼위일체 교리의 역사적·신학적 배경2025.11.171. 삼위일체 교리의 정의와 발전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이 아버지, 아들, 성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동등하면서도 본질적으로 하나인 것으로 이해되는 기독교 성경신학의 중요한 개념이다. 성경 텍스트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초기 기독교 교리에서 발전하였으며, 아리우스주의와 니케아주의 간의 논쟁을 거쳐 형성되었다. 아리우스주의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창조물이라 주장했고, 니케아주의는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본질이 동일하다고 주장하여 삼위일체 교리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2. 역사적 배경과 니케아 공의회 삼위일체 교리는...2025.11.17
-
시편 2편 강해와 설교: 메시야의 왕권과 성도의 태도2025.11.131. 메시야의 왕권과 통치 시편 2편은 장차 온 세상을 통치할 메시야의 영광을 예견하는 시로, 세상 국가의 반역과 메시야의 왕권, 하나님의 인준, 열왕들에 대한 경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시야는 하나님이 세우신 합법적인 통치자로서 철장 권세를 가지고 의로운 심판을 행하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중적 성격(자비와 심판)을 보여줍니다. 나단의 예언과 다윗 언약을 바탕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야 되심으로 성취되었습니다. 2. 기름부음의 의미와 발전 메시야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라는 뜻으로, 구약에서 기름부음은 하나...2025.11.13
-
바울서신의 현대 교회 적용 방안2025.11.141. 바울서신과 초대교회 문제 바울서신은 초대교회에서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바울은 개교회의 갈등, 대인관계 문제, 지도자의 역할과 책임 등 현실적인 교회 내부 문제들을 직접 다루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회의 단결과 사랑의 중요성, 성령의 역할 이해 등과 연결되어 있으며, 바울의 해결책 제시는 초대교회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었다. 2. 현대 교회에 대한 바울서신의 적용 바울서신의 가르침은 오늘날 교회에도 여전히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현대 교회가 직면하는 분열과 갈등 문제, 지도자들의 도덕적 책임 문제 등이 초대교회...2025.11.14
-
교회의 교육적 사명과 구체적 영역2025.11.141. 교회의 교육적 사명의 개념 교회의 교육적 사명은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구원의 복음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신자들에게 기독교 신앙의 진리를 가르치며 신앙적 삶을 훈련하는 것이다. 칼빈은 교회를 어머니로 표현하여 양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교회는 신자들이 세상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자라나도록 해야 한다. 2. Leitourgia - 예배와 예전을 통한 하나님 섬김 예배는 신앙공동체를 형성하는 중심적 행위로, 말씀과 성찬 중심의 예배를 신앙생활의 근본으로 삼는다. 초대교회는 기쁨과 순전함으로 ...2025.11.14
-
참된 믿음이란 무엇인가2025.01.201. 구원받는 사람 모든 사람이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연합된 자만이 구원을 받을 수 있다. 만인 구원설은 잘못된 주장이며, 성경은 그리스도께 속한 자만이 구원받는다고 가르친다. 2. 참된 믿음의 정의 참된 믿음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하나님에 대한 확실한 지식과 굳건한 신뢰를 포함한다. 믿음은 성경의 진리를 배우고 그것을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3. 믿음의 근원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우리가 믿었기 때문에 구원받은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의 공로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것이다. 믿음은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2025.01.20
-
신약성경의 기질(器質) 성화와 십자가의 처리2025.11.141. 기질(器質)의 정의와 성격·행위와의 구분 기질은 사람의 구조의 가장 내적 측면으로 우리 존재의 뿌리 자체이며,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천연적인 어떠함이다. 성격은 기질과 관습과 버릇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행위는 외적 표현이다. 주 예수님은 행위에는 별로 주의하지 않으시고, 성격에는 보다 주의하시며, 기질에는 대단히 주의하신다. 기질은 전적으로 내적인 것이고, 성격은 부분적으로 내적이고 부분적으로 외적이며, 행위는 전부 외적이다. 2.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과 신약의 인물들 히포크라테스는 BC 400년경 인간의 기질을 다혈질...2025.11.14
-
성찬에서의 그리스도 임재방식에 대한 교회별 견해2025.11.131. 로마교회의 화체설(Transubstantiation) 로마교회는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임재를 물질적 의미로 해석합니다. 사제가 예전문을 낭독할 때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본질적으로 변화된다고 주장합니다. 변화 후에도 빵과 포도주의 모양과 맛은 유지되지만 본질은 변한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실체와 속성의 분리를 주장하며, 물리적인 몸이 동시에 여러 곳에 임재한다는 불가능한 교리로 비판받습니다. 2. 루터파교회의 공재설(Consubstantiation) 루터는 화체설을 거부하고 공재설을 제시했습니다. 떡과 포도주는 변화 ...2025.11.13
-
구원론에서의 칭의와 성화의 관계2025.11.171. 칭의(Justification) 칭의는 기독교 구원론에서 인간이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죽음을 통해 죄와 범죄로부터 구원받을 수 있는 지위를 의미한다. 하나님의 법을 준수하는 정당함을 나타내며, 인간이 죄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작용한다. 칭의는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개념으로도 이해되며, 구원의 과정에서 첫 번째 단계를 담당한다. 2. 성화(Sanctification) 성화는 구원론에서 인간의 삶에서 죄악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하나님과 더욱 가까워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성령의 역할을 통해 인간의 죄를 정화하고 신성하게...2025.11.17
-
주일 대표기도2025.11.161. 기독교 예배와 신앙 주일 예배에서 드리는 기도로, 하나님께 찬양과 영광을 드리며 성령의 인도함을 구하는 내용입니다. 신자들이 주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성경적 행함으로 믿음의 증거를 보이는 실천적 신앙을 추구하도록 기도합니다. 십자가의 보혈로 죄를 깨끗이 하시고 성령으로 충만하게 하여 죄에는 죽고 의에는 살아나는 삶을 살도록 인도해 달라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2. 사회정의와 나라를 위한 기도 고난당하는 자를 변호하고 궁핍한 자에게 정의를 베푸시는 주님께 지역, 사회, 나라가 복음의 능력으로 변화되기를 기도합니다. 정치적 반목과...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