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3개
-
루미놀 발광 반응2025.05.141. 화학 발광 화학 반응으로 에너지를 방출할 때 열에너지와 빛을 함께 방출하는 현상을 화학 발광이라고 한다. 특정 화학 반응에서는 열에너지를 거의 방출하지 않고 가시광선을 방출하는데, 이를 '차가운 빛'이라고도 한다. 화학 발광은 화학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 에너지로 발광 물질을 높은 에너지의 들뜬 상태로 만들고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전이하며 빛을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2. 루미놀 반응 메커니즘 루미놀 용액 제조 시 섞어주는 시료들이 각각 사용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탄산 나트륨은 염기성 용액을 만들어 루미놀의 수소원자를 제거하...2025.05.14
-
액정 탐구보고서2025.01.281. 액정 액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 성질을 띠는 물질로 액체와 같이 유동성을 띠고 있으며, 결정과 같이 규칙적인 배열을 하기도 한다. 액정 중에는 전압에 따라 분자의 배열이 변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LCD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결정 구조가 변하여 색이 바뀌는 액정도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온도를 색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2. 액정의 종류 액정은 분자의 배열방식에 따라 네마틱 액정, 스메크틱 액정, 콜레스테릭 액정 등 세 종류로 나뉜다. 네마틱 액정은 막대 모양의 분자가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지만 각...2025.01.28
-
AMD 실험 결과보고서 Optical property of PEDOT_PSS, PDY2025.05.041. PEDOT:PSS PEDOT:PSS는 conductive polymer재료로서, 높은 일함수(보통 5.1eV)와 좋은 Hole affinity을 가지고 있어 정전기 방지막의 재료로 사용된다. 소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하는 Bottom emission OLED의 경우 HIL방향으로 빛이 나오고 PEDOT:PSS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HIL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HIL의 경우 ITO와 물리적, 화학적으로 궁합이 맞아야 하는데, PEDOT:PSS와 ITO 모두 친수성이기 때문에 접합력이 좋고, ITO로부터 Hole주입도 원...2025.05.04
-
전기전자공학실험-다이오드의 특성2025.04.301. 다이오드의 특성 실리콘과 게르마늄 다이오드의 특성 곡선을 계산하고, 비교하며, 측정한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회로의 직류 응답을 얻기 위해 PSpice를 이용하여 DC Sweep을 수행하고, 온도 해석의 Spice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2. 저항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하는 소자로, 단위는 옴(Ω)이며 옴의 법칙에 따라 저항, 전류, 전압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저항의 값은 색 띠로 표시되며, 4색 또는 5색 띠로 구성된다. 3. 다이오드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로, 정류와 발광 등의 특성...2025.04.30
-
1-3 AMOLED Full Device - Small Molecule report (A+)2025.05.121. AMOLED 소자 및 공정 실험 AMOLED 소자 제작 및 특성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저분자 기반 OLED 소자를 제작하고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했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주요 재료로는 PEDOT:PSS, NPBTCTA, CBP, Ir(ppy)3, TPBI 등이 있습니다. 실험 방법으로는 ITO 전극 패터닝, 기판 세척, 유기물 증착, 금속 증착 등의 공정을 거쳤습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전류-전압, 휘도-전압, 효율 특성 등을 확인했으며, 저분자 OLED와 고분자 OLED의 성능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2. 유...2025.05.12
-
디스플레이 기술의 원리와 국내 제품 사례, LCD와 OLED의 차이와 장단점, 미래2025.05.011. 디스플레이(OLED) 기술의 원리 디스플레이(Display)는 라틴어 displico에서 파생되었으며 시각 정보 표시장치를 의미합니다. OLED는 전계발광 방식으로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내는 원리입니다. 디스플레이는 발광형과 비발광형으로 분류되며, OLED는 자체 발광하는 발광형 디스플레이에 속합니다. 2. LCD와 OLED의 차이와 장단점 LCD는 액정을 이용하여 빛을 조절하는 방식이며 별도의 광원이 필요합니다. OLED는 자체 발광하므로 광원이 필요 없어 얇고 가벼우며 완벽한 검정색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OLED는...2025.05.01
-
Geometrically Stretchable OLED 실험 보고서2025.05.121. AMOLED 소자 및 공정 실험 AMOLED 소자 및 공정 실험을 통해 Geometrically Stretchable OLED(GSOLED)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M 테이프에 GSOLED를 붙여 연신 차이에 따른 소자 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전극의 투과성 향상, 신축성 디스플레이의 세대별 특징, 구부러짐에 따른 인장 및 압축 응력, GSOLED의 다양한 응용 분야 등을 확인하였다. 2. 응력완화 기판 기술 KAIST 연구팀은 고변형에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 OLED를 개발하였다. 응력완화 기판은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2025.05.12
-
루미놀의 발광 반응2025.01.181. 화학 발광 화학 반응의 결과로 에너지가 방출되는 상황은 다양하며, 연소 반응과 같이 열을 방출할 수도 있지만 빛이 방출되는 반응도 있다. 이러한 화학 발광은 앞서 알아본 인광이나 형광과 달리, 화학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얻어 발광 물질을 전자 들뜬 상태에 도달시킨다. 대표적인 발광 물질인 루미놀의 발광 반응을 통해 화학 발광하는 원리를 살펴보았다. 2. 스핀 다중도 원자 내에 존재하는 전자는 다양한 상태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양자수라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그 중 하나가 스핀 양자수이다. 두 전자가 자체적인 자전 운동을 하며 ...2025.01.18
-
OP 증폭기를 이용한 비교기 회로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31. 비교기 회로 비교기 회로는 두 입력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출력 전압을 결정하는 회로입니다. 실험을 통해 입력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작을 때 출력 전압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LED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의 상태에 따라 LED의 색이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2. 포토트랜지스터 포토트랜지스터는 빛에 의해 베이스 전류가 변화하여 콜렉터 전류가 변화하는 소자입니다. 실험을 통해 입력 전압이 증가하거나 포토트랜지스터와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출력 전압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2025.01.03
-
[A+] 다이오드1 보고서2025.05.151. 다이오드 이번 실험을 통해 다이오드는 5가 원소를 넣어 만든 N형 반도체와 3가 원소를 넣어 만든 P형 반도체를 붙여 한 쪽으로만 전기가 흐르게 하는 회로 소자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다이오드는 역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고 순방향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전압이 한 지점을 넘어서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알았으며 이것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문턱전압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 반도체는 절연체와 도체 사이 중간 정도의 전기저항을 갖습니다. 순수한 반도체의 전기전도도는 매우 낮지...2025.05.15